$\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결혼이주 임신여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에 따른 모-태아애착과 모성정체성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according to Typ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Immigration Pregnancy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3, 2015년, pp.232 - 240  

나현 (목포미즈아이병원) ,  문소현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stress coping types of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i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based on each types. Methods: 151 married immigrant women who visited 3 women'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스트레스보다도 스트레스 반응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모-태아애착과 모성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 임신여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유형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유형에 따른 모-태 아애착과 모성정체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설문지 내용의 이해를 높이고자 각 설문지를 대상자의 공용어인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로 번역하였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직원 중 한국거주 10년 이상의 한국어에 능통한 각 나라 대졸 출신 원어민 2명으로부터 역 번역을 하였다. 번역된 설문지 내용을 결혼이주 여성이 충분히 이해하고 설문이 가능한가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예비조사를 시행하였 다. 설문지 작성 소요시간은 대략 30~40분이었으며, 설문지 회수는 외래 간호사가 하여 바로 밀봉하였으며, 매일 연구자가 외래를 방문하여 수집된 자료를 회수하였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 임신여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에 따른 모-태아애착과 모성 정체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 임신여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에 따른 모-태아애착과 모성정체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도는 평점 평균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결혼이주 여성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세계화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는 1990년대 국제결혼의 증가로 결혼이주자들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2008년 초에는 전체 인구의 2%를 넘어설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국내에 체류하는 결혼이주자는 2012년에 148,498명으로 전년대비 2.
어떤 경우에 태어날 아이와의 애착관계가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는가? 임부의 긍정적 정서 상태를 유지 하는 것은 임부뿐만 아니라 태아의 안녕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태아의 심장 박동이나 운동능력, 신체적 건강과 연관이 되며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며 기질과 문제 행동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15]. 임신과 같은 사건 발생 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태어날 아이와의 애착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부모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역할 수행 뿐 아니라 자신감이 저하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16]. 개인이 어떤 상황에 놓였을 때 스트레스라는 평가를 하게 되면, 대처 노력을 하게 되고 적응에는 다양한 대처방식이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강조하고 있으며[6], 이러한 측면에서 스트레스 대처 유형이 모-태아애착과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임신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점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임신은 여성의 정상적인 생리적 과정이지만 임신으로 인해서 건강문제가 나타나게 되는데, 심리적으로 태아와 임부 자신의 건강에 대한 염려, 분만에 대한 두려움, 배우자 및 기타 가족과의 인간관계와 역할변화, 가사 및 일상 활동의 제한, 남아 선호, 약물복용 등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가 심할 때 적절히 해결되지 않으면 임신에 대한 행복감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임신을 거부하는 요인이 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3 April 29].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vwcdMT_ATITLE01&parmTabIdM_02_01_01#SubCont 

  2. Lee IS, Park YS. Awareness of health and self-care in the pregnant women.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996;10(1):11-24. 

  3. Lederman RP, Ledermna E. Psychological adaptation in pregnancy: Assessment of seven dimension of maternal development. New York Jersey: Prentice Hall; 1984. 

  4. Reeder S, Martin L. Maternity nursing. 1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1987. 

  5. Kim TI, Kwon YJ, Kim MJ.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ing experiences of the marred immigrant women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2): 85-97. 

  6.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mpany; 1984. 

  7. Billing AG, Moos RH. Life stressors and social resources affect posttreatment outcomes among depressed pati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85;94(2):140-153. 

  8. Lazarus RS. Cognition and motivation in emotion. The American Psychologist. 1991;46(4):352-367. 

  9. Shin HS, Khu BY. Stress coping and its relationship to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1;9(1):189-225. 

  10. Park WH, Oh YJ. The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08;17(4):167-176. 

  11. Ahn SH, Park YS. Psychological adaptation in pregnancy and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1992;22(2):157-173. 

  12. Mackey MC, Coster-Schulz MA. Women's views of the preterm labor experience. Clinical Nursing Research. 1992;1(4): 366-384. 

  13. Hart R, McMahon CA. Mood stat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pregnanc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6;9(6):329-337. 

  14. Miller. C. Making a difference: Yoga in pregnancy. Birth Gazette. 1996;13(1):34-35. 

  15. Gutteling BM, de Weerth C, Willemsen-Swinkels SH, Huizink AC, Mulder EJ, Visser GH, et al. The effects of prenatal stress on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 of 27-months-old toddler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005;14 (1):41-51. 

  16. Buist A, Morse CA, Durkin S. Men's adjustment to fatherhood: Implications for obstetric health car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3;32(2):172-180. 

  17. Chung CS. Pregnancy, delivery and cultural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dissertation]. Gyeongnam: Inje University; 2011. 

  18. Cranley MS.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1981;30(5):281-284. 

  19. Osgood CE, Suci GJ, Tannenbaum, PH.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57. 

  20. Walker LO. Investigating the semantic properties of two concept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Texas; 1977. 

  21. Hair JF, Black WC. Cluster analysis. In: Grimm LG, Yamold PR, editor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p. 147-205. 

  22. Istvan J. Stress, anxiety, and birth outcomes: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Psychological Bulletin. 1986;100(3):331-348. 

  23. Jeung JH, Kim S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the stress coping styl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3;20(6):1159-1177. 

  24. Moon EH, Kim JY, Jeung MK, Son HM, Oh JA. Anxiety-depression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s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and normal pregnant wom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6;9(2):128-139. 

  25. Kim JH. Experience and fetal attachment in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8. 

  26. Park MK, Lee YS.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ful life events, maternal-fetal attachment behaviors and childbirth variables during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999;3(1):47-61. 

  27. Kang SK, Chung MR.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an's stress, temperament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2012;21(2):213-223. 

  28. Kim HJ. The study of the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behavior by pregnant women.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1997;7(14):83-96. 

  29. Sung YS.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the maternal identity in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5. 

  30. Lee JY, Choi ES. Stress and coping style of high-risk pregnant women's spou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234-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