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 난임부부 지원사업 참여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Level of Couple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3, 2015년, pp.179 - 189  

황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NSPI) who received a treatment of IVF (in vitro fertilization) or IUI (intra-uterine insemination). Methods: Using the 2013 NSPI Satisfaction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외에서 난임여성을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시술대상자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변수들과 우울정도와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시도한 연구가 매우 드문 상태이고, 있어도 일부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규모의 대상으로 정부에서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시술비 지원사업에 참여한 대상자의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시술비 지원 뿐만 아니라 난임여성의 정신적 위기를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저출산 현상이 나타난 원인은 무엇인가? 8세를 기록했다[1]. 이런 초저출산은 경제적 요인, 양육 및 교육 등 사회구조적 요인과 출산 당사자인 가임여성의 문화, 인식의 변화가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국가차원의 획기적 결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시대적 상황에 따라 아이를 갖지 않으려는 부부도 있지만, 자녀를 간절히 갖기 원하는데도 임신이 되지 않아 힘들어하는 경우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난임여성 중 체외수정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체외수정 대상자의 경우 연령에 따라 우울은 차이가 없었지만, 난임기간이 60개월 이상인 경우 우울한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단순히 연령 보다는 언제 결혼했고, 그에 따른 난임기간이 얼마나되었는지 등 세분화하여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선행연구에서도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심리적 문제가 증가한 결과들이 있었다[6,12,14].
난임이란 무엇인가? 난임은 35세 미만에서는 12개월 이내에, 35세 이상에서는 6개월 이내에 아이를 갖기 원하는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가졌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은 상태로 정의하며, 미국에 있는 15~44세의 기혼여성 중 약 6%,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15~44세 여성의 약 11%가 난임이라고 보고하고 있다[2]. 우리나라는 15~39세 유배우 가임여성 중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이 되지 않는 일차성(원발성) 난임경험 여성의 비율은 약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2013 birth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5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29406&pageNo4&rowNum10&amSeq&sTarget&sTxt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rtility FAQ's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cited 2013 June 20] Available from: http://www.cdc.gov/reproductivehealth/Infertility/index.htm#1 

  3. Hwang NM. The status of infertility and policy direction in Korea.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03;82:88-97. 

  4. Lee SH, Yoon TK, Choi YM, Kim KC, Lee YD, Hwang NM, et 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in 2011. NSPI(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Evaluation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2012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0833-10. 

  5. Boivin J, Griffiths E, Venetis CA. Emotional distress in infertile women and failur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meta-analysis of prospective psychosocial studies. The British Medical Journal. 2011;342:d223. http://dx.doi.org/10.1136/bmj.d223 

  6. Ramezanzadeh F, Aghssa MM, Abedinia N, Zayeri F, Khanafshar N, Shariat M, et al. A survey of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depression and duration of infertility. BMC Womens Health. 2004;4(1):9. http://dx.doi.org/10.1186/1472-6874-4-9 

  7. Ogawa M, Takamatsu K, Horiguchi F. Evalu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female infertility patients. Biopsychosocial Medicine. 2011;5(1):15. http://dx.doi.org/10.1186/1751-0759-5-15 

  8. Lee JH. An analytical study on psychosocial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the effe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being in infertility treatment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3. 131 p. 

  9. Chang EY. Women's experiences of pregnancy after infertility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8. 86 p. 

  10. Lee YJ. An Ethnography on infertile women's grief in Korea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8. 123 p. 

  11. Domar AD, Zuttermeister PC, Friedman R. The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A comparison with patients with other medical conditions.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1993;14:45-52. 

  12. Hwang NM.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161-187. 

  13. Kim MO.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2):163-172. 

  14. Min SW, Kim YH, Cho YR. Stress,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8;12(1):19-32. 

  15. Valsangkar S, Bodhare T, Bele S, Sai S.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nfertility on marital, sexual satisfaction indi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J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2011;4(2):80-85. http://dx.doi.org/10.4103/0974-1208.86088 

  16. Kim JH, Shin H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12-320. 

  17. Irwin M, Artin KH, Oxman MN. Screening for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 criterion validity of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99;159(15):1701-1704. http://dx.doi.org/10.1001/archinte.159.15.1701 

  18. Verberg MF, Eijkemans MJ, Heijnen EM, Broekmans FJ, de Klerk C, Fauser BC, et al. Why do couples drop-out from IVF treatment? A prospective cohort study. Human Reproduction. 2008;23(9):2050-2055. http://dx.doi.org/10.1093/humrep/den219 

  19. Domar AD, Rooney KL, Wiegand B, Orav EJ, Alper MM, Berger BM, et al. Impact of a group mind/body intervention on pregnancy rates in IVF patients. Fertility and Sterility. 2011;95(7):2269-2273. http://dx.doi.org/10.1016/j.fertnstert.2011.03.046 

  20. Kim MO. The effect of a mind-body therapeutic program for infertile women repeating IVF treatment on uncertainty, anxiety, and implantation rat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93 p. 

  21. Bae KJ, Ro SO, Kim JA. The study of loneliness in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6):1379-1391. 

  22. Gourounti K, Lykeridou K, Vaslamatzis G. Increased anxiety and depression in greek infertile women results from feelings of marital stress and poor marital communication. Health Science Journal. 2012;6(1):69-81. 

  23. Verhaak CM, Smeenk JMJ, Minnen A van, Kremer JAM, Kraaimaat FW.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on emotional adjustment before, during and after consecutive fertility treatment cycles. Human Reproduction. 2005;20(8):2253-2260. http://dx.doi.org/ 10.1093/humrep/dei015 

  24. Mindes E, Ingram K, Kliewer W, James C. Longitudinal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supportive social interaction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women with fertility problem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56(10):2165-2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