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3, 2015년, pp.268 - 277  

이홍자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김춘미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숙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factor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pouse's support, and social support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3% 더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14].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한국과 중요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 결혼이주여성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혼 등 가족해체율이 높아지고 있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사회 ‧ 인구학적 특성, 사회적 지지 및 배우자 지지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결혼이민자의 국적을 비율로 나타내시오. 9%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결혼이민자의 국적을 살펴보면 중국(40.2%), 베트남(26.3%), 일본(8.3%), 필리핀(7.3%) 순으로 중국이 가장 많으나 이는 조선족을 포함한 숫자이므로 순수한 외국이민자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여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2].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에서 적응하고 높은 살의 질을 얻기 위해서 무엇이 제공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에 적응하고 높은 삶의 질을 담보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부관계증진, 한국어 교육, 건강증진, 그리고 경제역량강화 등의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대상자 맞춤형으로 제공되어야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국내 적응과 삶의 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정착하게 되는 결혼이주여성들은 한 가정의 주부, 아내, 어머니로서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으므로[3] 이들의 국내 적응과 삶의 질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2005년 전국규모로 이루어진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실태조사결과 이들은 한국에서 정착하는 동안 한국어 의사소통, 사고방식이나 가치체계, 생활습관의 차이, 경제적 어려움, 비효율적 신체적 정신적 질병치료 등으로 기대했던 삶의 질을 충족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Imigration Service. KIS statistics 2014 [Internet]. Gwachon: Korea Imigration Service. 2015 [cited 2015 April 11].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doc_html/attach/imm/f2015//20150701229489_1_1.pdf.files/PDFBook.html 

  2. Korea Imigration Service. KIS statistics 2015 January monthly report [Internet]. GwaChon: Korea Imigration Service. 2015 [cited 2015 April 11].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HP/COM/bbs_0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7&strWrtNo167&strAnsNoA&strOrgGbnCd104000&strRtnURLIMM_6070&strAllOrgYnN&strThisPage1&strFilePathimm/ 

  3. Lee JH, Jin SJ, Ju HJ, Cho YS. The impa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family health: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87-98.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87 

  4. Seol DH, Kim HS, Yoon HS, Lee HK, Yim KT, Chung KS, et al. Foreign wives' 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June. Report No.: 11-146000-002610-01.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User Manual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cited 2015 April 11].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77932/1/WHO_HIS_HSI_Rev.2012.03_eng.pdf 

  6. Kim JH.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2. 66 p. 

  7. Kim S.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A case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rural Korea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94 p. 

  8. Kim M, Kim A. The impact of Korea immigrant women's resourc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 and life. Family and Culture. 2012;24(2):64-100. 

  9. Seo MS, Park KS, Park HM, Park HO. A study on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Menopause. 2013;19(2):112-121. 

  10. Kim HO. Quality of life in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Gimhae city- [master's thesis]. [Kimhae]: Kaya University; 2014. 80 p. 

  11. Kim MJ.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accultur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2011;19(3):1-28. 

  12. Kim HJ.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1):5-11. 

  13. Joo YJ. Research on the delivery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4. 86 p. 

  14. Statistics Korea. 2013 marriage, divorce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5 April 1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smart/news/file_dn.jsp?aSeq313207&ord2 

  15. Chang SB, Lee KH. An analytic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for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d a hysterec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9;19(2):160-172. 

  16. Abbey A, Abramis DJ, Caplan RD.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on emotional well-being.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5;6(2):111-129. 

  17. Stoker MJ, Stoker GC, Beaumont G.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ity of Life Research. 1992;1(6):385-396. 

  18. Yoon JS, Kook SH, Lee MS.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KvSBQO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8;37(2):280-294. 

  19. Yoo EK, Kim HJ, Kim MH.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2):171-180. http://dx.doi.org/10.4040/jkan.2012.42.2.171 

  20. Park JS, Chung YJ, Ryu HS. The effects of marriage commitment and marital stress on QOL in intermarried Korean husband. Minjok Yeonku. 2015;61:168-189. 

  21. Chang OJ, Park JY. A study on marit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Korean husbands. Family and Culture. 2009;21(2):1-27. 

  22. Song JH, Lee TY. A study on marital adjustment factors among multicultural coupl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0;30(2):164-192. 

  23. Jang HS, Lee YJ.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tyl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07;20(4):17-32. 

  24. Chu HH, Park OI, Kim JH, Park JS. The effect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adjustment for the immigrant woman's husband.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8;13(4):85-101. 

  25. Lee EJ. A study on family values of Vietnamese women [dissertation]. [Seoul]: Donggk University; 2015. 157 p. 

  26. Oh GS, Kim YJ.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Chungbuk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2013;3(1):15-25. 

  27. Kim H, Yoo S, Cho S, Kwon EJ, Kim S, Park JY.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health risk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5):79-89. 

  28. Kim CM, Park MS, Kim EM. Married immigrant women's utilization of health care and needs of health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e. 2011;22(3):333-34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3.333 

  29. Jung YA, Choi WG. The present state and task of married immigrant women's information literacy.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2012;13(3):293-312. 

  30. Kim YH, SEO YJ.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mmigrant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Journal of Woman's Studies. 2014;24(1):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