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2, 2012년, pp.171 - 180  

유은광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진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희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508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su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생활 적응 척도로서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히고, 더 나아가 이주 여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생활 적응 척도로서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히고, 더 나아가 이주 여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삶의 질을 높이고자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여성은 결혼을 통한 이주를 하므로 새로운 결혼 생활 적응과 더불어 이민자로서 한국 생활 적응의 문제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확인하므로서 추후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과 이주 여성을 위한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주 여성의 적응에 중요한 지표인 삶의 질을 측정하고 삶의 질 관련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같은 내적 요인의 역할을 파악함으로써 결혼 이주 여성의 안정적인 적응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의 제한 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두 포괄하여 확인하지 못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주 여성의 삶의 질을 추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탐색을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한다.
  • 또한 이외에도 NGO 단체, 건강 가정 지원센터, 민간기관 및 글로벌 센터 등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정책의 최대 목적은 이주 여성의 한국사회의 문화적 적응을 돕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 추구로 고려되므로 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 적응의 성공정도를 최종적으로 삶의 질로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은 무엇인가? 삶의 질은 개개인이 향유할 수 있는 양적, 경제적 물질적 생활여건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생활만족의 정도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개념(Oh & Yoon, 2006)으로서 결혼 이주 여성의 일생에 관한 행복 및 생의 목표 달성과 직접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결혼이민여성의 국적은 순서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이 현저히 증가하여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간의 결혼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그 증가세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현재는 11%가 넘어 일반적인 결혼의 한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결혼이민여성의 국적은 주로 중국 조선족, 중국한족이 절반을 넘고, 베트남, 일본, 필리핀, 몽골, 태국, 러시아 등의 순이며, 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여성의 이주화라는 특징을 가지며, 국가 간, 지역 간의 불균등한 경제적 발전에 기인할 뿐 아니라 그 안에는 인종, 계급, 젠더 등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Jang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H. S., & Kim, K. S. (2009).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and Chinese women who are employed and married.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1), 127-144. 

  2. Aro, H. (1994).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depress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89(s377), 59-64. http:// dx.doi.org/10.1111/j.1600-0447.1994.tb05804.x 

  3. Baik, H. W. (1993). Comparison of psychological characte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dx.doi.org/10.10 37/0033-295X.84.2.191 

  5. Bentsen, S. B., Wentzel-Larsen, T., Henriksen, A. H., Rokne, B., & Wahl, A. K. (2010).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improvement in health statu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in pulmonary rehabilitation-An exploratory stud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1, 5-13. http://dx.doi. org/10.1016/j.pec.2009.11.019 

  6. Chino, B., Nemoto, T., Fujii, C., & Mizuno, M. (2009). Subjective assessments of the quality of life, well-being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3, 521-528. http://dx.doi.org/10.1111/j.1440-1819.2009.01995.x 

  7. Flaskerud, J. H., & Uman, G. (1996). Acculturation and its effects on selfesteem among immigrant Latina women. Behavioral Medicine, 22, 123-133. http://dx.doi.org/10.1080/08964289.1996.9933773 

  8. Fry, P. S. (2001).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erspectiv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s of older adults following spousal loss: An 18-month follow-up study of widows and widowers. The Gerontologist, 41, 787-798. http://dx.doi.org/10.1093/geront/41.6.787 

  9. Hong, D. A. G., & Chae, O. H. (2006). Family life and conflicts of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 729-741. 

  10. Hong, H. Y. (1995).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Jang, M. S., & Lee, O. K. (2009). A research on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Seoul through the capacity development for employment or businesses. Seoul: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12. Jun, H. J., Min, S. H., Lee, M. Y., & Choi, H. Y. (2009). Path of the variables to migrant women's families heal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2), 5-27. 

  13. Kim, E. K. (2008). The factors related t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foreign wives who live in small tow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6), 83-94. 

  14. Kim, H. S. (2010). Social integration and health policy issues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7, 561-570. http://dx.doi.org/10.1111/j.1525-1446.2010.00883.x 

  15. Kim, K. B., & Sok, S. R. (2010). A comparison of the health and 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middle-aged Korean and Chinese women.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7, 463-469. http://dx.doi.org/10.1111/ j.1466-7657.2010.00816.x 

  16. Kim, S. J. (2006).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depressi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7. Kim, S. K., Kim, Y. K., Cho, A. J., Kim, H. R., Lee, H. K., Seol, D. H., et al. (2010). A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09.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8. Kim, S. Y., Jeon, E. Y., Sok, S. R., Oh, H. K., & Kim, K. B. (2009). Quality of life of Korean and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A comparis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5(6), 28-34. 

  19. Kuehner, C., & Buerger, C. (2005). Determinants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depressed patients: The role of self-esteem, response style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6, 205-213. 

  20. Kye, S. J., Kang, H. K., & Jeong, M. S. (2009). The study on the marital life factors for the multi-culture families: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multi-culture family in Yongsan-Gu.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3), 31-57. 

  21. Mann, M., Hosman, C. M., Schaalma, H. P., & de Vries, N. K. (2004). Selfesteem in a broad-spectrum approach for 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19, 357-372. http://dx.doi.org/10.1093/ her/cyg041 

  22.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 571-579. 

  23. Oh, S. H., & Yoon, D. S. (2006).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life on the elderly among urban, farm and island a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119-147. 

  24. Panchanadeswaran, S., & Dawson, B. A. (2010). How discrimination and stress affects self-esteem among Dominican immigrant women: An exploratory study.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26, 60-77. http:// dx.doi.org/10.1080/10911350903341069 

  2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Seol, D. H. (2005). Foreign wives' 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7. Sherer, M., Maddux, J. E., Merca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8. Shin, S. M. (2004). A study on house wives' self esteem, level of the stress perceived and coping style for stress. Understanding People, 25, 47-62. 

  29. Strecher, V. J., DeVellis, B. M., Becker, M. H., & Rosenstock, I. M. (1986). The role of self-efficacy in achieving health behavior change. Health Education Quarterly, 13, 73-92.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Group. (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 assessment: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41, 1403-1409. http://dx.doi.org/10.1016/0277-9536- (95)00112-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