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1, 2015년, pp.75 - 80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 소재로써 어성초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빵시 최적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어성초 분말을 밀가루 대신 0.3, 0.5, 1.0%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어성초 분말이 제빵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어성초 분말의 조회분 9.98%, 조지방 7.50%, 조단백질 17.79%를 나타내었고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5.44 mg/mL이었으며, DPPH 라디칼의 소거능은 77.61%, 아질산염 소거능은 15.38%를 나타내었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pH는 5.08-5.14로 대조구(pH 5.16)에 비해 다소 낮았다. 식빵의 pH는 5.18-5.21로 모든 처리구가 반죽의 pH보다 높았으나,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발효능은 대조구와 동일하였고, 어성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굽기 손실률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빵의 무게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1% 범위 내의 첨가에 의한 식빵 무게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식빵의 부피는 어성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비용적도 감소하였다. 빵반죽, 빵의 표면과 내부의 색도는 어성초 분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L^*$값과 $a^*$값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빵반죽과 빵 내부의 $b^*$값은 어성초 분말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았다. 어성초 분말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총 폴리페놀 함량도 어성초 분말 첨가 식빵이 $806.18-1092.10{\mu}g/mL$으로 대조구의 $731.47{\mu}g/mL$보다 높았다. 맛, 풍미와 씹힘성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어성초 분말 첨가 식빵이 낮게 평가되었으나 각 시료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고. 색은 어성초 분말 첨가 식빵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종합적 기호도는 HTP-0.5가 3.78가 가장 높았으며, HTP-1.0가 3.00으로 가장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HTP; in ratios of 0, 0.3, 0.5 and 1.0% of the total flour). We found that addition of HTP decreased the pH of dough, whereas the pH of bread remained unchanged. HTP caused no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어성초 관련 연구로는 대부분이 어성초 자체의 생리 활성 및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는 어성초 분말을 활용한 설기떡(7),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액(8), 어성초 즙과 분말을 이용한 김치(9), 어성초와 둥글레 구기자를 배합한 혼합음료(10), 표고버섯, 더덕, 어성초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청국장(11) 등 소수의 연구만이 진행되어 있어 어성초 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어성초를 밀가루 대신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어성초 분말이 제빵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성초는 어떤 약초인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몸의 신진대사를 도와 혈액을 맑게 하고 신장 기능을 촉진시켜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등 효능이 알려진 민간약초이다. 어성초 잎의 일반 성분은 수분 10.
식물자원으로서 어성초 잎의 일반 성분은 어떠한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몸의 신진대사를 도와 혈액을 맑게 하고 신장 기능을 촉진시켜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등 효능이 알려진 민간약초이다. 어성초 잎의 일반 성분은 수분 10.5%, 조단백질 12.5%, 조지방 4%, 조회분 13.0%, 조섬유 13.8%으로 무기성분과 섬유질이 풍부할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자원이다 (3). 더욱이 성초에는 kaempferol, quercitrin, quercetin 같은 polyphenol류와 piperolactam, aristolactam, splendidine 같은 alkaloids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및 항산화 효능(4)뿐만 아니라 고지혈증 억제(5), 항종양 작용(6)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 성초에는 들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과 효능은 무엇인가? 8%으로 무기성분과 섬유질이 풍부할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자원이다 (3). 더욱이 성초에는 kaempferol, quercitrin, quercetin 같은 polyphenol류와 piperolactam, aristolactam, splendidine 같은 alkaloids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및 항산화 효능(4)뿐만 아니라 고지혈증 억제(5), 항종양 작용(6)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 관련 연구로는 대부분이 어성초 자체의 생리 활성 및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는 어성초 분말을 활용한 설기떡(7),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액(8), 어성초 즙과 분말을 이용한 김치(9), 어성초와 둥글레 구기자를 배합한 혼합음료(10), 표고버섯, 더덕, 어성초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청국장(11) 등 소수의 연구만이 진행되어 있어 어성초 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HJ, Jung SI, Hwang YI.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the plain bread added with onion juice. J. Life Sci. 19: 781-786 (2009) 

  2. Lee WK, Kim SH, Choi CS, Cho SM.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hardtack added with acorn jelly powder and acorn ethano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76-382 (2012) 

  3. Kyong KC.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to foods. MS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989) 

  4. Cha JY, Jeon BS, Park JW, Moon JC, Cho YS. Effect of fermented compositions containing Inonotus obliquus with Houttuynia cordata on growth of human AGS gastric and HCT-15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02-207 (2004) 

  5. Chung CK, Hanm SS, Lee SY, Oh DH, Choi SY, Kang IJ, Nam SM.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s on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enzyme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205-211 (1999) 

  6. Kim DH, Lim JJ, Lee JJ, Jung WC, Shin HJ, Lee HJ, Kim GS, Kim S. Antibacterial and therapeutic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 murine salmonellosis. Korean J. Enviro. Agric. 27: 156-162 (2008) 

  7. Eun SD, Kim MY, Chun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4: 23-30 (2008) 

  8. Kim ML. A study on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fermentability and fermented broth for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6: 122-127 (2009) 

  9. Kwak HJ, Jang JS, Kim SM.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Houttuynia cordata. Korean J. Food Nutr. 22: 332- 337 (2009) 

  10. Kang MK, Kim IC, Chang KH. Optimization of produ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beverage prepared using Hot-water extracts of Polygonatum odoratum, Houttuynia cordata and Lycium chinensis. Koran J. Food Preserv. 17: 835-846 (2010) 

  11. Park JS. Na HS. Properties of cheonggukjang tablet prepared with medicinal herb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149-155 (2011) 

  12. MFDA. Food Standard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won, Korea. p. 301 (2002) 

  13. Singleton VL, Joseph A, Rossi J.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ibdic-phosphotungsit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4.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5.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 Biol. Chem. Tokyo. 51: 1333-1338 (1987) 

  16. Bae. JY, Park LY, Lee SH.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8-913 (2008) 

  17. Kim EJ, Kim SM.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1998) 

  18. Chung HC, Lee JT, Kwon OJ.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G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01-1205 (2004) 

  19. Kim HY, Oh MS. Comparisons of bread baking properties using domestic and imported flour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6: 27-32 (2001) 

  20. Yu SK, Shin YM Kim M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substituted with green barley. Chungnam J. Hum. Ecol. 19: 64-71 (2006) 

  21. Kang MJ, Lee JY, Shin JH, Choi SY, Lee SJ, Yang SM, Sung NJ. Feeding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on the quality property of pork loin at chille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22-227 (2007) 

  22. Jeong HR, Kwak JH, Kim JH, Cho CN, Jeong CH, Jeo HJ.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a Culinar herb). Korean J. Food Preserv. 17: 720-726 (2010) 

  23. Kim JY, Yi YS, Lim YH. Biologic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herbal plant extracts against Candia spec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42-48 (2009) 

  24. Tian L, Shi X, Yu L, Zhu J, Ma R, Yang X. Chemical composition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olyphenol rich extract from Houttuynia cordata tea. J. Agr. Food Chem. 60: 4641-4648 (2012) 

  25. Kim HS, Kim MJ, Cheong C, Kang SA. Antioxidant properties in water and 70% ethanol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 Acad. Ind. 14: 5091-5096 (2013) 

  26. Kim YS, Chun SS, Tae JS, Kim RY.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quality of dough. Korean J. Soc. Food Cook. Sci. 18: 573- 578 (2002) 

  27. Roels SP, Cleemput G, Vandewalle X, Nys M, Delcour JA. Bread volume potential of variable quality flours with constant protein level as determined by factors governing mixing time and baking absorption levels. Cereal Chem. 70: 318-323 (1993) 

  28. Lee JY, Lee KA, Kwak EJ.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57-765 (2009) 

  29. Hong SY, Shin GM.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Nutr. 21: 485-491 (2008) 

  30. Im JG, Kim YH. Effect of green tea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Korean J. Cook. Sci. 15: 395-400 (1999) 

  31. Yoon HS, Kim JW, Kim SH, Kim YG, Eom HJ.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Aronia melano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73-280 (2014) 

  32. Yoon MH, Jo JE, Kim DM, Kim KH, Yook HS. Qualith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40-134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