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hown in the accident analysis from 2007, it has been found that causes of accidents on large-scale projects are different from those found in general construction projects. A 300-question survey regarding systematic and practical aspects of safety problems at construction sites was distribu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국내 산업안전보건법상의 건설현장 안전관리자자격 기준을 검토하였고 공사금액 및 상시근로자 수에 근거하여 건축 및 토목공사로 구분, 선임토록 하는 현 기준을 확인하였다.
  • 설문내용은 예비조사 측면에서 실시한 10개 건설사 33매의 분석 내용들을 기초로 설문지 내용을 설계하여 연구자문회의(대형건설사 안전부장 주축)를 거쳐 확정토록 한다. 조사는 국내 지역별, 공사 종류별로 균형 잡힌 샘플링을 방법을 적용하여 최대한 편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 조사는 국내 지역별, 공사 종류별로 균형 잡힌 샘플링을 방법을 적용하여 최대한 편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설문지는 우편, Fax, E-mail 등으로 현장에 배포토록 하고 수집된 설문은 통계처리 전문가에 의뢰하여 유의도, 상관관계 등의 분석을 시도하여 종합적 해석을 하도록 한다.
  • 설문항목의 타당성 검증측면에서 현장 경험이 풍부한 30대 건설사 안전관리 부서장들의 설문결과를 기준그룹(Control group)의 의견으로 설정하여 전체 설문의 편차가 어느 정도 발생하는 지를 파악, 선별토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토록 하였다[4]⑸.
  •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측면에서 국내 및 국외 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분석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안전관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등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향 등을 반영 보완토록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제시된 6개 회사는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사로서 2007년도 재해율 실적이 가장 양호한 회사가 0.
  • 한다. 조사는 국내 지역별, 공사 종류별로 균형 잡힌 샘플링을 방법을 적용하여 최대한 편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설문지는 우편, Fax, E-mail 등으로 현장에 배포토록 하고 수집된 설문은 통계처리 전문가에 의뢰하여 유의도, 상관관계 등의 분석을 시도하여 종합적 해석을 하도록 한다.

대상 데이터

  • 본 설문조사는 전국 규모 6대 광역시에 750매를 배부하였고 일반적 회수율 15%~20%를 추정하면 110~ 150매 정도를 회수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회수 방법은 우편, 팩스, 이메일 등을 이용하였으며 현장 안전관리자는 5년 이상의 경력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 정도를 회수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회수 방법은 우편, 팩스, 이메일 등을 이용하였으며 현장 안전관리자는 5년 이상의 경력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손기상, 갈원모, 양학수,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상기준 및 적정 요율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2005, pp. 113 - 118 

  2. 김종국, '건설공사의 추락재해 안전 대책에 관한 연구 : 철근 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경상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 최훈,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 방법',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Alex K, W. C.,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in Hong Kong', Hong Ko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ssociation, 1998 

  5. OHSA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ssessment Series 18802', V8, 1999 

  6. 積算委員會, '土木工事積算基準', (財)建設物價調査會,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