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5, 2015년, pp.885 - 893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가 시행한 ICILS 2013의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였다. ICILS 2013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18개 참여국 중 컴퓨터 정보 소양 점수가 높은 호주, 체코, 노르웨이, 폴란드와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ICT 활용 실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ILS 2013의 교사 설문지 중에서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9문항을 선택하였는데, 문항들은 교사의 컴퓨터 이용 실태, 수업에서 ICT 활용 현황, 학교의 ICT 활용 지원 환경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컴퓨터 사용 실태를 보면, 컴퓨터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며 컴퓨터에 대한 자아효능감도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컴퓨터 활용은 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지만 교수학습과 관련된 컴퓨터 활용에서는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수업에서 활용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이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대한 활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학습활동이나 교수활동에서도 교사주도의 정보 제공이나 과제 제시에 대한 활동의 비중은 높지만 협업이나 상호작용이 많은 활동에서는 낮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은 ICT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점보다는 부정적인 관점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학교에서 컴퓨터 관련 자원을 지원하는 정도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사 항목 대부분에서 호주나 체코에 비해 지원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충분한 ICT 기기나 컴퓨터가 구식 모델이고 디지털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기서 드러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ICT 교육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더불어 학생활동 중심의 ICT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utilizing the teacher survey data of the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2013. The ICILS target population consisted of all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평가에서 사용된 교육맥락 변인 조사 결과를 활용해서 최근 국내 과학 교사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다른 주요국과 비교하여 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에 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이에 관한 비슷한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일부 지역이나 한정된 적은 인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이고 대부분 연구가 ICT 도입 초기인 2000 초․중반에 수행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평가에서 사용된 교육맥락 변인 조사 결과를 활용해서 최근 국내 과학 교사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다른 주요국과 비교하여 볼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 비교 평가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표집된 교사를 대상으로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었다.
  • 학교에서 ICT 활용을 위한 교육 환경이 얼마나 잘 조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학교에서 교수학습에 ICT를 사용하는 것과 ICT 활용을 위한 지원여건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교수학습에 ICT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은 교수학습에서 ICT 활용 시 예상되는 여러 현상과 관련된 질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긍정적인 응답과 부정적인 응답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ICILS 2013의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였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은 수업 중에 컴퓨터를 활용하는 비중이 6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어떤 활동이 가능해졌는가? 최근 스마트기기가 우리의 일상생활 변화에 미친 영향을 생각해 보면 정보 통신기술(ICT)이 사회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확히 가늠할 수 있다. 이제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정보를 스스로 만들 수 있고, 빅데이터와 같이 기존에는 얻을 수 없었던 새로운 정보도 생성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 중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은 매우 핵심적인 능력이며, 이것은 21세기의 정보화 사회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을 가르치기 위해 국외에서는 어떤 정책을 시행하고있는가? 이에 따라 교육에서도 기존의 교과 지식뿐만 아니라 핵심 역량으로서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여겨지고 있다. 영국의 경우 2008년에 이미 ICT를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하였으며, 최근에는 ICT를 넘어 컴퓨터 프로그램 코딩을 포함하는 ‘컴퓨팅’ 과목으로 변경하여 교육하고 있다(Sung & Kim, 2015). 미국의 경우, 컴퓨터 학회 내 컴퓨터 교사 협회(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CSTA)에서 초 ․ 중등학생을 위한 컴퓨터 과학교육 과정 표준 권고안(K-12 Computer Science Standard)을 제시하였다(Seehorn et al, 2011).
제7차 교육과정기의 ICT 교육은 어떻게 나뉘어지는가?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과학과 교수학습에서 ‘컴퓨터 통신망과 멀티미디어를 적절히 활용하여 장차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ICT 교육은 ‘ICT 소양 교육’과 ‘ICT 활용 교육’으로 나누고, 제7차 교육과정 도입초기에는 모든 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이 10% 이상 되도록 하기도 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00). 2001년부터 전교육인적자원부는 효율적인 수업개선을 지원하기 위하여「ICT 활용 학교교육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 KERIS,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J., Yoo, H., Kim, H., & Park, S. (2004).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Based Science Unit- Focusing on 'Reproduction' of Science 1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2), 193-201. 

  2. European Commission. (2013). Survey of Schools: ICT in Education- Benchmarking Access, Use and Attitudes to Technology in Europe's Schools. Brussels: Author. 

  3. Fraillon, J., Ainley, J., Schulz, W., Friedman, T., & Gebhardt, E. (2014). Preparing for life in a digital age: The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nternational report. Cham: Springer. 

  4. Fraillon, J., Schulz, W., & Ainley, J. (2013).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Assessment framework. Amsterdam: IEA. 

  5. Heo, G. (2013). Computer-Aided Education : Multi-Level Analysis on the Using ICT Ability and Using Computers for Learning through PISA 2009 Dat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1), 51-61. 

  6. Jung, J., Moon, B., Jung, J., & Lee, M. (2004). The Effects of Learning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n Earth History and Crust Movement Units of Science Textbook for Eighth Grad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094-1105. 

  7. Jung, M., & Carstens, R. (Eds.). (2015). ICILS 2013 user guide for the international database. Amsterdam: IEA. 

  8.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 (2008). IEA Study Data Repository. Retrieved May. 15, 2015 from http://rms.iea-dpc.org/. 

  9. Kim, H., Park, H., & Seo, J. (2008). Impact of ICT in Education in PISA 2006. Seoul: KERIS. 

  10. Kim, Y., Seo, J., & Kim, Y. (2011), A Study on the Use of IC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Educational Research, 51, 181-204. 

  11. Kim, S., Park, J., Chon, K., Kim, M., Lee, Y., Seo, J., & Kim, M. (2014). Finding from ICILS for Korea: ICILS 2013 international results. Seoul: KICE. 

  12. Ministry of Education. (2000). Guidelin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3.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5. Ministry of Education & KERIS. (2014). 2014 White Paper on ICT in education Korea. Seoul: KERIS. 

  16. Noh, T., Cha, J., & Kim, C. (1999). The Effect of Computer - Assisted Instruction Using Molecular - Level Animation and Worksheet in High School Chemistry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1), 128-136. 

  17. Sung, J., & Kim, H. (2015).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mputer Education in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1), 45-54. 

  18. Seehorn, D., Carey, S., Fuschetto, B., Lee, I., Moix, D., O'Grady-Cuniff, D., Boucher Owens, B., Stephenson, C., & Verno, A.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New York: ACM/CSTA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