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S-전자코를 사용한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생수병과 뚜껑의 이취 이행 분석
Analysis of Off-flavor Generated fro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Water Bottles and Caps by Using an Electronic Nos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4, 2015년, pp.425 - 430  

한현정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수원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효연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선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동혜민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노봉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료인 생수와 포장 용기인 페트병과 뚜껑에서 야기되는 이취 성분의 존재여부를 MS-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취가 나는 생수는 농도별로 DF2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취의 원인이 페트병 혹은 페트병의 뚜껑이라고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뚜껑에서 휘발 성분이 페트병 보다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에서 나는 이취가 페트병보다는 뚜껑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을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온 분획의 결과로 보아 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2,4-di-tert-butylphenol, 노난올과 데칸올이 페트병과 뚜껑에 포함되어 있다고 추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ff-flavor generated from PET water bottles and their caps by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The ion fragment data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nose were used for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In the case of increased con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 분석을 통해 원료인 생수와 포장 용기인 페트병과 뚜껑에서 야기되는 이취성분의 존재여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T를 고온조건, 높은온도에 장기간 보관 시 문제되는 점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병은 음료에 폭넓게 사용되는데, 특히 생수병으로 사용된다(3). 이러한 생수용 페트병 성형 과정에서 고온조건에 노출되고 제품이 높은 온도에 장기간 보관될 시 페트의 잔류 또는 분해물질들이 식품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증대된다고 보고되었으며(4) 생수용 페트병에서는 주로 알데하이드(aldehyde)류가 물 쪽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PET는 주로 어디에 사용이 높은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병은 음료에 폭넓게 사용되는데, 특히 생수병으로 사용된다(3). 이러한 생수용 페트병 성형 과정에서 고온조건에 노출되고 제품이 높은 온도에 장기간 보관될 시 페트의 잔류 또는 분해물질들이 식품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증대된다고 보고되었으며(4) 생수용 페트병에서는 주로 알데하이드(aldehyde)류가 물 쪽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먹는 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는 소비자에게 어떤 인식을 가지게 하는가? 먹는 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는 경도, 탁도와 함께 소비자들의 불만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이는 자신이 마시는 물에서 냄새가 난다는 사실이 이 물이 안전하지 못하다는 믿음으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된다(1). 이러한 이미(off-taste)와 이취(off-flavor) 같은 품질저하 문제는 식품 내용물의 안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소비자 기호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uchet A, Hochereau C. Analysis of trace compounds responsible for tastes and odors in drinking waters: Water analysis. Analusis 25: M32-M34 (1997) 

  2. Jung EM, Kim DJ, Lee KT.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bottles and determination of their migration content into mineral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19-24 (2014) 

  3. Ewender J, Franz R, Mauer A, Welle F. Determination of the migration of acetaldehyde from PET bottles into non-carbonated and carbonated mineral water. Deut. Lebensm-rundsch. 99: 215-221 (2003) 

  4. Villain F, Coudane J, Vert M. Thermal degrad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Study of polymer stabilization. Polym. Degrad. Stabil. 49: 393-397 (1995) 

  5. Choi JO, Jitsunari F, Asakawa F, Park HJ, Lee DS. Migration of surrogate contaminants in paper and paperboard into water through polyethylene coating layer. Food Addit. Contam. 19: 1200-1206 (2002) 

  6. Izaguirre G, Hwang CJ, Krasner SW, McGuire MJ.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from cyanobacteria in three water supply systems. Appl. Environ. Microb. 43: 708-714 (1982) 

  7. Mehran MF, Nickelsen MG, Golkar N, Cooper WJ. Improvement of the purgeandtrap technique for the rapid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pollutants in water. J. High Res. Chromatog. 13: 429-433 (1990) 

  8. Kim TJ, Kim BJ, So HY, Kwang H. Analysis of trace odorous compounds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in water by using GC/MS. Anal. Sci. Technol. 15:534-539 (2002) 

  9. Shin HS, Ahn HS. Simple, rapid, and sensitive determin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water by GC-MS. Chromatographia 59: 107-113 (2004) 

  10. Palmentier J-PFP, Taguchi VY, Jenkins SWD, Wang DT, Ngo KP, Robinson D. The determination of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in water using isotope dilution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Water Res. 32: 287-294 (1998) 

  11. Lloyd SW, Lea JM, Zimba PV, Grimm CC. Rapid analysis of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in water using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procedures. Water Res. 32: 2140-2146 (1998) 

  12. Song YS, Al-Taher F, Sadler G. Migration of volatile degradation products into ozonated water from plastic packaging materials. Food Addit. Contam. 20: 985-994 (2003) 

  13. Skjevrak I, Due A, Gjerstad KO, Herikstad H. Volatile organic components migrating from plastic pipes (HDPE, PEX and PVC) into drinking water. Water Res. 37: 1912-1920 (2003) 

  14. Marcato B, Guerra S, Vianello M, Scalia S. Migration of antioxidant additives from various polyolefinic plastics into oleaginous vehicles. Int. J. Pharm. 257: 217-225 (2003) 

  15. Strube A, Buettner A, Groetzinger C.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lastic-like off-odor in mineral water. Water Sci. Technol. 9: 299-30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