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구급대원의 PPE(Personal Protective Equipment)착용 시 CPR 동작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on Analysis of CPR on EMT Who Wearing PP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0 no.5, 2015년, pp.74 - 79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정재한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김승용 (한국교통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홍은정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경용 (강원대학교 응급의료재활학과) ,  한용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ts effect on changes in the joint angle and the success ra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conduc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hen wearing and not wearing 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argeting 20 paramedics with more than 5 year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이와 같은 기본적인 문제점들에 대해서 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특히 국내 소방공무원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개인보호장비 착용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급대원이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한 후 병원전 단계에서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경우 구급대원의 신체활동과 임무수행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구급대원 들의 개인보호장비 개발 등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은 어떤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가? 현재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소방본부는 생활안전의 확보를 위한 생활소방 서비스를 국민들에게 확대함으로써 안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소방공무원들은 제한된 동작으로 많은 활동을 수행하며 그러한 일을 할 때 신체적 요구도가 아주 많은 직업 중 하나로서1) , 화재 진압 및 각종 재난대응 상황에서 화학적인 유해물질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인 또는 물리학적인 유해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화재 및 재해 재난의 특수 작업환경으로 소방공무원의 건강은 항상 위협받고 있다. 특히 산업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석면분진에 의하여 피부나 호흡기 장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고, 불안전한 연소의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2) .
CBRN 특수 재난의 특성은? CBRN(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특수재난의 경우 일반 재난과 달리 재난에 의해 발생한 환자에 대한 인명구조 및 응급처치 이외에도 화생방 및 핵 물질의 확산 및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난 현장을 오염도에 따라 구역화 하고 오염물질의 탐지, 채취, 수거, 제독 및 오염 환자 격리와 같은 추가적인 현장 처치 과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CBRN 특수재난 대응을 위해서는 일반 자연재난 상황과 달리 현장 재난 대응 체계 각 구성 요소들의 핵심 기능이 작동 가능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고유한 CBRN 대응 관련 제반 기술 및 장비 사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3) .
개인보호장비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이와 같이 특수 재난에 노출되는 인력들에 대해 위험한 환경(온도, 신체적, 생물학적, 환경적 및 화학적) 등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개인보호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가 현재 개발되어 있다1) . 개인 보호 장비는 소방복(turnout coat), 바지, 부츠, 장갑, 호흡기구 (breathing apparatus) 및 헬멧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염이나 고열뿐만 아니라 위험한 액체, 신체 및 전기적 위험성에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4). Boorad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 Coca, W. J. Williams, R. J. Roberge and J. B. Powell, "Effects of Firefighter Protective Ensembles on Mobility and Performance", Appl. Ergon., Vol. 41, No. 4, pp. 636-641, 2010. 

  2. G. G. An, "A Study on the Approaches to Protect Fire Officers from Occupational Diseases-Focusing on Gyungsangnam-Do",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2010. 

  3. J. M. Chung, D. H. Seol, J. B. Park, K. S. Seo, J. H. Lee and H. D. Kim, "Analysis of Transportation of Victims of the Subway Fire in Dae-gu," Jour. Kor. Soc. Emer. Medi., Vol. 14, No. 5, pp. 514-521, 2003. 

  4. H. J. Park, S. Y. Kim, K. Morris, M. Moukperian, Y. J. Moon and J. Stull, "Effect of Fire-fighter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n Gait", Appl. Ergon., Vol. 48, pp. 42-48, 2015. 

  5. L. M. Boorady, J. Barker, Y. A. Lee, S. H. Lin, E. Cho and S. P. Ashdown, "Exploration of Firefighter Turnout Gear Part 1: Identifying Male Firefighter user Needs" Jour. Text. Appar. Technol. Manag, Vol. 8, pp. 1-13, 2013. 

  6. S. S. Chiou, N. Turner, J. Zwiener, D. L. Weaver and W. E. Haskell, "Effect of Boot Weight and Sole Flexibility on Gait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irefighters in Stepping Over Obstacles", Jour. Hum. Factors Ergo. Soc., Vol. 54, pp. 373-386, 2012. 

  7. A. Punakallio, "Balance Abilities of Workers in Physically Demanding Jobs: with Special Reference to Firefighters of Different Ages", Jour. Spor. Sci. Med., Vol. 13, No. 1, pp. 1-47, 2005. 

  8. T. M. Sobeih, K. G. Davis, P. A. Succop, W. A. Jetter and A. Bhattacharya, "Postural Balance Changes in on-duty Firefighters: Effect of Gear and Long Work Shifts", Jour. Occup. Environ. Med., Vol. 48, pp. 68-75, 2006. 

  9. D. L. Smith, "Firefighter Fatalities and Injuries: the Role of Heat Stress and PPE", Firefighter Life Safety Research Center, 2008. 

  10. A. Coca, R. Roberge, A. Shepherd, J. B. Powell, J. O. Stull, and W. J. Williams, "Ergonomic Comparison of a Chem./Bio Prototype Firefighter Ensemble and a Standard Ensembles on Mobility and Performance" Appl. Ergon, Vol. 104, No. 2, pp. 636-641, 2007. 

  11. K. Park, K. S. Rosengren, G. P. Horn, D. L. Smith and E. T. Hsiao-Wecksler, "Assessing Gait Changes in Firefighters due to Fatigue and Protective Clothing", Safe. Scie., Vol. 49, No. 5, pp. 719-726, 2011. 

  12. R. Ben-Abraham, I. Gur, Y. Vater and A. A. Weinbroum, "Intraosseous Emergency Access by Physicians Wearing Full Protective Gear", Acad. Emerg. Med., Vol. 10, No. 2, pp. 1407-1470, 2003. 

  13. K. Park, P. Hur, K. S. Rosengren, G. P. Horn and E. T. Hsiao-Wecksler, "Effect of Load Carriage on Gait due to Firefighting Air Bottle Configuration", Ergonomics, Vol. 53, No. 7, pp.882-891, 2010. 

  14. A. Punakallio, S. Lusa and R. Luukkonen, "Protective Equipment Affects Balance Abilities Differently in Younger and Older Firefighters", Avia. Spa. & Envir. Medi., Vol. 74, pp.1151-115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