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종사자의 안전한 개인보호장비 탈의를 위한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Using Design to Make Doff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afer for Healthcare Worker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6 no.3, 2020년, pp.17 - 26  

마틱 조라나 (SimTigrate Design Lab) ,  오예인 (SimTigrate Design Lab) ,  임리사 (건축학과, 텍사스공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evidence that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doffing area in a biocontainment unit (BCU) can have a measurable impact on increasing the safety of frontline healthcare workers (HCW) during doffing of high-leve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nd proposes 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시설의 물리적 환경은 추가적인 조치없이 스스로 감염원을 없앨 수는 없지만, 의료종사자 및 다른 사용자들의 행동을 유도하여 위험행동을 줄이거나 없애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에 소개된 연구들은 PPE 탈의공간 디자인에 있어 효과적인 설계전략을 주의 깊게 적용하면 의료종사자의 위험 행동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고, 그들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도 또한 줄일 수 있음을 보고한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진료 및 치료를 위해 PPE가 필요한 BCU, 음압실, 격리실 등의 환자치료공간의 디자인에 있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설계전략의 적용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마지막으로 이러한 설계 원칙이 적용된 환경이 PPE 탈의 시 안전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연구 결과 및 설계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에볼라의 치료 및 관련 시설을 기준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 결과 및 설계 전략은 COVID-19 및 고위험 감염병을 치료하는 의료시설 환경에, 또한 기타 다른 시설을 의료시설로 전환하기 위한 설계 전략의 일부로 도움이 될 수 있다.
  • 특히나 이 BCU 레이아웃은 비말, 공기, 접촉의 경로로 감염되는 감염환자를 치료하는 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 레이아웃의 의료시설 내에서의 위치로는 외부에서의 신속하게 이동하면서도 다른 환자 및 의료시설과의 접촉을 줄일 수 있도록 1층의 출입구 근처에 설치하거나 고층에 설치하는 경우 전용 엘리베이터를 확보하고 엘리베이터 출입구 근처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 이는 의료종사자의 부상, PPE 및 주변환경의 감염으로 이를 수 있는 위험이 있는데,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고 의료종사자가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돕는 발판, 스툴, 손잡이 등을 설치해야 한다. 이때 의자를 사용하면 의료종사자에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만, 신발 커버를 제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더 많은 면적을 세척해야 하고 앉아서 작업할 때 접촉으로 인한 오염 위험이 발생하기에 의자보다는 고정된 손잡이 등을 설치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특히 손잡이의 위치는 의료종사자의 위험 행동을 고려한 적절한 곳에, TO와 의료종사자가 서로를 볼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해야 한다.
  • 본 논문은 BCU환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로, 본 연구의 결론은 감염환자를 치료하는 다양한 의료시설에 적용 가능하지만,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공항 및 검역시설, 기존 다른 시설을 의료시설로 전환하거나 하는 등 다양한 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적용성을 높이는 연구가 추후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의료종사자뿐만 아니라 고위험 감염병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사자들의 안전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특히 PPE 착탈의 공간에 대한 설계전략은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 외에 설계전략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바이오 봉쇄병실 및 고위험 감염환자를 치료하는 환자실의 의료종사자들의 PPE 착탈의 공간에 대한 세부적인 설계전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료시설에서, 특히 바이오 봉쇄병실에서의 탈의 공간 환경 디자인이 의료종사자의 행동 및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의료종사자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탈의공간 설계 원칙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설계 원칙이 적용된 환경이 PPE 탈의 시 안전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각 환자 병실의 내부 창문은 병실에 내장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과 더불어 환자의 상태 관찰, 의료종사자 간 소통, 그리고 격리된 환자와 가족과의 소통을 용이하게 한다. 탈의 공간과 환자 병실 사이를 잇는 창문과 복도로 이어지는 창문은 TO가 의료종사자의 PPE 탈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가설 설정

  • 1) 의료종사자와 훈련된 관찰자(Trained Observer, TO)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것

  • 2) PPE 탈의 순서를 정형화할 것

  • 3) PPE 탈의 시 의료종사자가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디자인할 것

  • 4) 가장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으로 유도할 것

  • 5) 상황 주의력을 높일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위험 감염병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고위험 감염병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설계사항이 고려된 환자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자실을 미국에서는 바이오 봉쇄병실(Biocontainment Unit, BCU) 혹은 특수 치료 병실(Special Care Unit, SCU), 중증 감염병 병실(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Unit, SCDU), 특수 격리 병실(Special Isolation Unit, SIU)로 명명하고 있다.
바이오 봉쇄병실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바이오 봉쇄병실에는 의료종사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오염을 억제하기 위한 고도의 개인 보호 조치 및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Smith, et al., 2006).
개인보호장비 탈의과정이 까다로운 이유는 무엇인가? 잠재적으로 오염된 개인보호장비(PPE)의 안전한 탈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 고도 감염병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는 가장 어려운 단계 중 하나이다. 이 과정은 특히 몇 시간의 진료 후 바쁘고 피로한 의료종사자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자칫 벌어진 실수나 위험 행동이 치명적인 병원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상당히 까다롭다(Casanova, et al., 2008; Casanov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전익진, & 채혜선., 2020, 명지병원 간호사 2명 확진..."방호복 착탈 과정에서 감염 의심", https://news.joins.com/article/23763183, 중앙일보, 2020.06.20. 

  2. Baloh, J., Reisinger, H. S., Dukes, K., da Silva, J. P., Salehi, H. P., Ward, M., . . . Herwaldt, L., 2019, "Healthcare workers' strategies for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69(Supplement_3), S192-S198. 

  3. Beam, E. L., Gibbs, S. G., Boulter, K. C., Beckerdite, M. E., & Smith, P. W., 2011, "A method for evaluating health care worker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echniqu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9(5), pp. 415-420. 

  4. Casanova, L., Alfano-Sobsey, E., Rutala, W. A., Weber, D. J., & Sobsey, M., 2008, "Virus transfer from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healthcare employees' skin and cloth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4(8), pp. 1291. 

  5. Casanova, L. M., Erukunuakpor, K., Kraft, C. S., Mumma, J. M., Durso, F. T., Ferguson, A. N., ... & Jacob, J. T., 2018, "Assessing viral transfer during doffing of Ebola-leve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a biocontainment unit",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66(6), pp. 945-949. 

  6. Casanova, L. M., Teal, L. J., Sickbert-Bennett, E. E., Anderson, D. J., Sexton, D. J., Rutala, W. A., & Weber, D. J., 2016, "Assessment of Self-Contamination During Remova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Ebola Patient Car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7(10), pp. 1156-1161. doi:10.1017/ice.2016.169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Guidance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Be Used by Healthcare Workers During Management of Patients with Ebola Virus Disease in U.S. Hospitals, Including Procedures for Putting On (Donning) and Removing (Doffing)", Atlanta, GA: CDC. https://www.cdc.gov/vhf/ebola/healthcare-us/ppe/guidance.html, 2019.12.12.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a, "How COVID-19 Spreads",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prevent-getting-sick/how-covid-spreads.html, 2020.5.20.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b, "What healthcare personnel should know about caring for patients with confirmed or possibl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hcp/caring-for-patients-H.pdf, 2020.4.18 

  10. Doll, M., Feldman, M., Hartigan, S., Sanogo, K., Stevens, M., McReynolds, M., . . . Bearman, G., 2017, "Acceptability and Necessity of Training for Optim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e",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38(2), 226-229. doi:10.1017/ice.2016.252 

  11. DuBose, J. R., Matic, Z., Sala, M. F. W., Mumma, J. M., Kraft, C. S., Casanova, L. M., . . . Jacob, J. T., 2018, "Design Strategies to Improve Healthcare Worker Safety in Biocontainment Units: Learning from Ebola Preparednes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pp. 1-7. 

  12. Dubost, C., Pasquier, P., Kearns, K., Ficko, C., Rapp, C., Wolff, M., . . . Merat, S., 2015, "Preparation of an intensive care unit in France for the reception of a confirmed case of Ebola virus infection", Anaesth Crit Care Pain Med, 34(6), pp. 349-355. doi:10.1016/j.accpm.2015.10.002 

  13. Fischer, W. A., 2nd, Weber, D. J., & Wohl, D. A., 201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rotecti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Ebola Outbreak", Clinical Therapeutics, 37(11), pp. 2402-2410. doi:10.1016/j.clinthera.2015.07.007 

  14. Hallihan, G., Baers, J., Wiley, K., Davies, J., Kaufman, J., Conley, J., & Caird, J., 2015a, "Human factors evaluation of simulated Ebola virus disease patient scenarios: System factors associated with donning and doffing during triage, treatment and transport", Alberta Health Services, University of Calgary, 21. 

  15. Hallihan, G., Baers, J., Wiley, K., Davies, J., Kaufman, J., Conly, J., & Caird, J., 2015b," Human Factors Evaluation to Identify Systems Factors to Improve Safety During Donning and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in Ebola Virus Disease Management Scenarios", Paper presented at the Open Forum Infectious Diseases. 

  16. Herlihey, T. A., Gelmi, S., Cafazzo, J. A., & Hall, T. N. T., 2017, "The Impact of Environmental Design on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a Healthcare Environment: A Formative Human Factors Trial",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pp. 1-6. doi:10.1017/ice.2017.68 

  17. Kaiser Health News, T. G., 2020, "Lost On The Frontline", https://khn.org/news/lost-on-the-frontline-health-care-worker-death-toll-covid19-coronavirus/, 2020.6.23. 

  18. Kang, J., O'Donnell, J. M., Colaianne, B., Bircher, N., Ren, D., & Smith, K. J., 2017,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mong health care personnel: Results of clinical observations and simulations", Am J Infect Control, 45(1), pp. 17-23. doi:10.1016/j.ajic.2016.08.011 

  19. Kwon, J. H., Burnham, C.-A. D., Reske, K. A., Liang, S. Y., Hink, T., Wallace, M. A., . . . Fraser, V. J., 2017, "Assessment of healthcare worker protocol deviations and self-contamination du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onning and doffing",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38(9), pp. 1077-1083. 

  20. Matic, Z., Humphreys, B., & DuBose, J., 2020, "Design Strategies for Biocontainment Units: Creating Safer Environments", White Paper. 

  21. Remuzzi, A., & Remuzzi, G., 2020, "COVID-19 and Italy: what next?" The Lancet. 

  22. Smith, P. W., Anderson, A. O., Christopher, G. W., Cieslak, T. J., Devreede, G. J., Fosdick, G. A., . . . Warfield, K. L., 2006, "Designing a biocontainment unit to care for patients with 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a consensus statement", Biosecurity and Bioterrorism, 4(4), pp. 351-365. doi:10.1089/bsp.2006.4.351 

  23. The Lancet, 2020, "COVID-19: protecting health-care workers", Lancet (London, England), 395(10228), 922. 

  24. Tomas, M. E., Cadnum, J. L., Mana, T. S., Jencson, A. L., & Donskey, C. J., 2016, "Seamless Suits: Reducing Personnel Contamination Through Improve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esign",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37(6), pp. 742-744. doi:10.1017/ice.2016.79 

  25. Tomas, M. E., Kundrapu, S., Thota, P., Sunkesula, V. C., Cadnum, J. L., Mana, T. S., . . . Donskey, C. J., 2015, "Contamination of Health Care Personnel During Remova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JAMA Intern Med, 175(12), pp. 1904-1910. doi:10.1001/jamainternmed.2015.4535 

  2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8, "HPP Funds Regional Treatment Network for Ebola and Other Special Pathogens" 

  27. Wong, M. F., Matic, Z., Campiglia, G. C., Zimring, C. M., Mumma, J. M., Kraft, C. S., . . . & Dubose, J. R., 2019, "Design Strategies for Biocontainment Units to Reduce Risk During Doffing of High-leve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69(Supplement_3), S241-S247. doi:10.1093/cid/ciz617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Ebola virus disease",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ebola-virus-disease, 2020.2.23. 

  29. Zimring, C. M., Matic, Z., Sala, M. F. W., Mumma, J. M., Kraft, C. S., Casanova, L. M., . . . Dubose, J. R., 2018,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Why does design matter for safe doffing of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39(11), pp. 1375-13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