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고창 갯벌어장 바지락의 어장적지평가
Suitable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chang(Hajun)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5 = no.70, 2015년, pp.484 - 491  

전승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최윤석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조윤식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김영태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최용현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지락 양식장의 생산력은 적지 선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생산량 관리를 위해서는 양식품종에 적합한 서식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5월 곰소만에 위치한 고창 갯벌어장의 9개 정점에 대하여 서식지 적합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이하 HSI)를 평가하였다. 평가인자로 바지락의 성장(해수유동, 클로로필 a), 생존(퇴적물 입도-모래, 실트질 점토), 수질환경(용존산소, 염분)을 선정하였고, HSI기법을 이용한 갯벌어장 적지 평가를 수행하였다. HSI 가점은 객관적 판단을 위해 가중치를 고려한 가정과 고려하지 않은 가정을 함께 시도하였다. 평가결과, 고창 갯벌어장의 하부조간대(HSI; No weight: 0.60~0.76, Weight: 0.47~0.70)가상부조간대(HSI; No weight: 0.25~0.27, Weight: 0.09~0.10)보다 높은 적합지수를 나타내었으며, 해수유동과 퇴적물이 바지락 선호 서식지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현재 고창 바지락 양식장 이외의 잠재적인 적지를 고려할 수 있고, 갯벌어장 최적 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ductivity of Manila clam(Ruditapes philippinarum) aquaculture farm is closely related to suitable site selection, so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habitat suitable for aquaculture species in order to manage yield. This study evaluated the habitat suitable index(HSI) with 9 sites for tidal f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바지락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고창 갯벌어장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 특성 파악과 바지락의 생태 연구 자료를 통해 갯벌환경과 바지락간의 상관성을 활용하여 적정 HSI를 가점하고, 이를 바지락 양식장 최적 관리 방안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S식은 서식지의 생태학적 환경용량(Ecological Carrying Capacity)과 선형적 관계에 부합되며 양식생물의 생리·생태와 환경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저 생산량이 나타나는 등 바자락 감소의 원인은 무엇인가? 일반해면을 제외한 천해양식 생산량은 2000년 이후 2004년에 27,570 M/T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12년 천해양식 생산량이 12,623 M/T으로 급감하여 2013년에 4,580 M/T으로 최저 생산량이 나타나기도 하였다(MOF, 2015). 이러한 바지락 감소의 원인은 남획, 해양 오염, 서식지 파괴, 간척에 의한 갯벌 변화 때문으로 추측되고 있으며(Park et al., 1999; Baek et al.
전라북도가 바지락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전라북도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위치한 곰소만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바지락 천해양식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NFRDI, 2014a).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전국 바지락 생산량은 18,145 ~ 40,642 M/T이고, 전라북도 바지락 생산량은 1,206 ~ 17,986 M/T으로 전라북도에서 전국 바지락 생산량의 최대 약 47 %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해면을 제외한 천해양식 생산량은 2000년 이후 2004년에 27,570 M/T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12년 천해양식 생산량이 12,623 M/T으로 급감하여 2013년에 4,580 M/T으로 최저 생산량이 나타나기도 하였다(MOF, 2015).
곰소만의 위치는 어디인가? 바지락은 우리나라 식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고, 웰빙 식품으로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라북도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위치한 곰소만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바지락 천해양식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NFRDI, 2014a).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전국 바지락 생산량은 18,145 ~ 40,642 M/T이고, 전라북도 바지락 생산량은 1,206 ~ 17,986 M/T으로 전라북도에서 전국 바지락 생산량의 최대 약 47 %를 생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k, M. J., Y. J. Lee, K. S. Choi, W. C. Lee, H. J. Park, J. H. Kwak and C. K. Kang(2014), Physiological disturb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alter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a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78, No. 1-2 pp. 137-145. 

  2. Chang, J. H., S. O. Ryu and Y. J. Jo(2007), Long-term Variation of Tidal-flat Sediments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8, No. 3, pp. 357-366. 

  3. Chang, J. H. and Y. G. Jo(2000), Tidal Deposits of Gomso Bay, Western Coast of Korea: Sedimentary Environment, Stratigraphy and Holocene Sea-Level Changes, The Journal of Basic Sciences, Vol. 18. pp. 135-158. 

  4. Cho, T. C., S. B. Lee and S. Y. Kim(2001),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Journal of Korean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34, No. 3, pp. 245-253. 

  5. Cho, Y. S., S. J. Hong, W. C. Lee, H. C. Kim and J. B. Kim(2013), Suitable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in Jindong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19, No. 6, pp. 597-605. 

  6. Cho, Y. S., W. C. Lee, S. J. Hong, H. C. Kim, and J. B. Kim(2012), GIS-based suitable site selection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oyster farms in Geoje-Hansan Bay, Korea,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56, pp. 10-16. 

  7. Folk, R. L.(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 Publishing Co., Austin TX, U.S.A, p. 170. 

  8. Fostner, U. and G. T. W Wittmann(1981), Metal pollu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Springer-Verlag, New York, p. 486. 

  9. Gibson, L. A., B. A. Wilson, D. M. Cahill and J. Hill(2004), Modelling habitat suitability of the swamp antechinus(Antechinus minimus maritimus) in the coastal heathlands of southern Victoria. Austr. Biol. Conserv., Vol. 117, pp. 143-150. 

  10. Jeong, Y. H., Y. T. Kim, K. H. Kim, S. Y. Kim, B. H. Kim and J. S. Yang(2006), Mass Balance of Salts, DIP, DIN and DON in the Gomso Tidal Fl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1, No. 2, pp. 68-81. 

  11. Jung, T. S. and J. K. Jeong(2013), Spatial Distribution and Time Variation of M2 Tide and M4 Tid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5, No. 4, pp. 255-265. 

  12. KHOA(2015), Korea Ocean Observing and Forecasting System, [online] http:/www.khoa.go.kr/tdnet/, (accessed 08.29.15). 

  13. Lee, I. T. and S. S. Chun(2001), Role of Sand Shoal in the Intertidal Flat Sedimentation, Gomso Bay, Southwester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2, No. 2, pp. 120-129. 

  14. Longdill, P. C., T. R. Healy and K. P. Black(2008), An integrated GIS approach for sustainable aquaculture management area site selection,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51, pp. 612-624. 

  15. Malouf, R. E. and W. P. Breese(1977), Seasonal changes in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water flow rate on the growth of juvenile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Thunberg, Aquaculture, Vol. 12, pp. 1-13. 

  16. MOF(2010), Marine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 495. 

  17. MOF(2015),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online] http://www.fips.go.kr/jsp/sf/ss/ss_fishery_kind_list.jsp?menuDepth070103, (accessed 08.28.15). 

  18. Mulholland, R.(1984), 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s: Hard clam, Biological Report FWS/OBS-82/10.77,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U.S. Dept. Int, Washington D.C., p. 12. 

  19. Nath, S. S., J. P. Bolte, L. G. Ross and J. A. Manjarrez(2000), Application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in aquaculture, Aquacultural Engineering, Vol. 23, pp. 233-278. 

  20. NFRDI(2014a), 100 Items of Fishery Products(Shellfish),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p. 118-136. 

  21. NFRDI(2014b), 2/2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 1151 

  22. Park, J. S. and S. Y. Kim(2009), Growth status of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mso Ba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1, No. 2, pp. 230-236. 

  23. Park, K. I., H. S. Yang, D. H. Kang and K. S. Choi(2010), DENSITY DEPENDENT GRWOTH AND MORTALIT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ARED IN CAGES IN GOMSO-BA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 26, No. 1, pp. 91-95. 

  24. Park, K. I., K. S. Choi and J. W. Choi(1999), Epizootiology of Perkinsus sp. Found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msoe Bay,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32, No. 3. pp. 303-309. 

  25. Shin, Y. K., Y. Kim, E. Y. Chung and S. B. Hur(2000),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Journal of Korean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33, No. 3, pp. 223-218. 

  26. USFWS(1980), Habitat as a basi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Ecological Services Manual 101. Division of Ecological Servic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U.S. Dept. Int., Washington, D.C., p. 29. 

  27. Vincenzi, S., G. Caramori, R. Rossi and Giulio A. DE Leo(2006), A GIS-based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commercial yield estimation of Tapes philippinarum in a Mediterranean coastal lagoon (Sacca di Goro, Italy), Ecological Modelling, Vol. 193, No. 1, pp. 90-1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