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중수 타입의 외관이 투명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ransparent Sunscreen of Water-in-Oil Emulsion Typ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2 no.3, 2015년, pp.469 - 479  

곽재훈 (Department of Cosmeceutical Science, Daegu Hanny University) ,  조용훈 (Department of Cosmeceutical Science, Daegu Hanny University) ,  변상요 (Cosmetic Science Major, Dept. of Applied Biotechnology, Ajou University) ,  김태훈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Daegu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수성을 지니고 사용 시 백탁 현상이 없는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제재를 개발 하는 방법이다. 외관이 투명한 자외선 차단제는 유화물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투명도를 통하여 외관이 투명한 유중수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를 연구하였다. 지속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유중수 타입의 에멀젼을 연구하고 제형의 수상부 및 유상부의 비율을 조정하여 유중수형 유화의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제형을 설계하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 결과,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가 0.004이하일 때 투명한 유중수형 에멀전을 형성 할 수 있었으며, 내상부인 수상의 함량이 70% (w/w) 이상에서 안정한 유중수형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임상 시험을 통하여 투명한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 A 차단지수와 자외선 B차단 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A 차단지수는 $3.01{\pm}0.30$ 으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B 차단지수는 $30.99{\pm}1.65$로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developing method of a transparent sunscreen cosmetic which has waterproofing property and no white turbidity when applied to skin. The transparent sunscreen is prepared by exploiting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oil-phase and water-phase of water-in-oil(W/O) em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중수형을 통하여 내수성을 지니고, 피부에 적용했을 때 백탁 현상이 없는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제재를 개발하고 투명성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중수형을 기본으로 수상부 및 유상부의 비율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유화물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투명도를 통하여 외관이 투명한 유중수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 제형을 설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중수형 에멀젼을 통하여 내수성을 지니고 사용 시 백탁 현상이 없는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제재 기술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투명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제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 차이를 확인 하였으며, 유중수 에멀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상부와 유상부의 함량 조절을 통하여 안정한 유화물을 개발 하고자 실험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외선이 피부에 주는 이로운 효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C (200∼280 ㎚), UVB (280∼320 ㎚), UVA (320∼400 ㎚)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기 때문에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자외선은 UVB, UVA이다[1]. 자외선은 피부표면의 살균작용, 비타민 D의 생합성 등 피부에 유용한 측면이 있는 반면, 피부에 침투된 UVA+B는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유발시키고,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시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변형시켜 탄력을 감소시키는 등 피부노화 및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된다[5-7].
자외선 차단제의 유형별 특징은 무엇인가? 이처럼 피부 노화 속도를 줄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의 유형은 유화물의 내상 및 외상의 조성 혹은 유화제에 따라 유중수형 에멀젼과 수중유형 에멀젼으로 구분할 수 있다[8,9]. 수중유형 에멀젼의 경우 사용감은 우수하나 내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땀이나 물에 의해 자외선 차단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중 수형 에멀젼은 수중유형 에멀젼에 비해 내수성은 우수하지만 낮은 사용감과 시간 경과에 따른 경시적 안정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10,11]. 사람의 피부는 친수성의 성질보다 친유성의 성질에 더 가깝기 때문에, 최근에는 피부에 더 적합한 유중 수형 에멀젼이 기초제품으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12].
자외선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C (200∼280 ㎚), UVB (280∼320 ㎚), UVA (320∼400 ㎚)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기 때문에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자외선은 UVB, UVA이다[1]. 자외선은 피부표면의 살균작용, 비타민 D의 생합성 등 피부에 유용한 측면이 있는 반면, 피부에 침투된 UVA+B는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유발시키고,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E. M. DeSimone,"Sunscreen and suntan products", handbook of nonpre-sciption drugs, 7th ed., Chapter 26, p.499-511,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1982). 

  2. K. Sato, A mechanism of UVA induced pigmentation and UVA Protection, SOFW J., 7, 12(2007). 

  3. D. L. Bissett, D.P. Hannon and T. V. Orr, An animal model of solar-aged skin : histological, physical, and visible changes in UV-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Photochem. Photobiol, 46(3), 367-378 (1987). 

  4. R. G. Christine, A Edith, C, Monique, J, P, Ortonne, and B Robert, Nitric oxide produced by ultraviolet-irradiated keratinocytes stimulates melanogenesis. J. Clin. Invest., 99(4), 635(1997). 

  5. L. H. Kligman, and A. M. Kligman, The nature of photoaging : its prevent and repair. Photo-dermatology, 3(4), 215-227 (1986). 

  6. M. A. Pathak, Sunscreens and their use in the preventive treatment of sunlight-unduced skin damage. J. dermatol surg. Oncol, 13(7), 739-750(1987). 

  7. S. R. Plastow, J. A. Harrison, & A. R. Young. Early changes in dermal collagen of mice exposed to chronic UVB irradiation and the effects of a UVB sunscreen. J investigative dermatology, 91(6), 590-592(1988). 

  8. F. O. Opawale, and D. J. Burgess, Influence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lipophilic surfactants on water-in-oil emulsion stability, J. Colloid and interface Sci., 8(4), 137(1998). 

  9. M. J. Rosen, Relationship of sturcture to properties in surfactants. J. Am. Oil Chem. Soc, 51, 461-169(1974). 

  10. B. Tal-Figiel, The formation of stable W/O, O/W. W/O/W cosmetic emulsions in an ultrasonic field, Chem. Eng. Res. Des, 85(5), 730-734(2007). 

  11. M. P. Aronson, M. F. Petko, High concentrated water-in-oil emulsion : Influence of electrolyte on their properties and stability. J. Colloid and Interface Sci, 159(1), 134-149(1993). 

  12. G. A. van Aken, and F. D. Zoet, Coalescence in highly concentrated coarse emulsions. Langmuir, 16(18), 7131-7138 (2000). 

  13. J. Z. Sun, M. C. E. Erickson and J. W. Parr, Refractive index matching and clear emulsions. J. Cosmet. Sci, 56, 253-265 (2005). 

  14. J. M. Suk, et al, Characteristic of MED measurement Value of Trial Subjects from Ultraviolet Irradiation, J. Soc. Cosmet. Sci. Kor 39(3), 251-257(2013) 

  15. C. H. Villa, L. B. Lawson, Y. Li, and K. D. Papadopoulos, Internal coalescence as a mechanism of instability in water-in-oil-in-water double-emulsion globules, Langmuir, 19(2), 244-249(2003). 

  16. J. M. Williams, High Iternal Phase Water-in-Oil Emulsions: Influence of surfactants and Cosurfactants on Emuldion Stability and Foam Quality, Langmuir, 7(7), 1370-1377(1991). 

  17. J. Czarnecki and K. Moran, On the stability Mechanism of Water-in-Oil Emulsion in Petroleum Systems, Energy Fuels, 19(5), 2074-2079(2005). 

  18. K. J. Lissant, Structure of high-internal-phase-ratio emulsions, J. Colloid Interface Sci., 47(2), 416(197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