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점도 W/O 에멀젼의 유화 안정성 증진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적용
Emulsion Stability of Low Viscosity W/O Emulsion and Application of Inorganic Sunscreen Agen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3, 2018년, pp.985 - 1001  

연제영 ((주)잇츠한불 종합연구원 제3연구실) ,  서정민 ((주)잇츠한불 종합연구원 제3연구실) ,  김태훈 ((주)잇츠한불 종합연구원 제3연구실) ,  심재곤 ((주)잇츠한불 종합연구원 제3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 에멀젼; 안정성; 유화제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O/W 에멀젼에 비해 안정화가 어려운 W/O 에멀젼, 특히 유동성이 높은 저점도 W/O 에멀젼의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유화제, 전해질, 유화 안정화제, 겔화제 등을 적용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이번 실험에서는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를 주 유화제로 하면서 PEG-30 dipolyhydroxystearate와 Cetyl PEG/PPG-10/1 dimethicone을 보조 유화제로 하는 유화 체계에, 전해질로 Sodium chloride를 0.5 %, 유화 안정화제로 Distearyldimonium chloride를 1 %, 유상 겔화제로 Glyceryl behenate/eicosadioate를 0.5 % 적용한 유화 입자도 작고 조밀하며 점도도 2,000 cps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한 저점도 W/O 에멀젼을 제조할 수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에멀젼 베이스에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적용 실험을 통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저점도 플루이드형 자외선 차단제품의 개발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ied the various experiments using the emulsifier, electrolyte, stabilizer and gelling agent in order to improve a stability of low viscosity W/O emulsion. As a result, when we used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as a main emulsifier, PEG-30 dipolyhydro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W/O 에멀젼을 위한 여러 조건들을 전체적으로 검토해 보았고, 특히 유동성이 높은 저점도 에멀젼의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단계적으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여 보았다. W/O 에멀젼의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된 유화제 적용 실험에서는 계열에 따라 Glyceryl ester, Sugar ester, Glucose ester,PEG ester, Modified silicone계를 이용해 총 17종의 유화제를 선정하여 실험에 적용해 보았으며,이밖에 오일의 종류(극성, 비극성), 전해질의 영향, 유화 안정화제의 영향, 수상 및 유상 겔화제의 영향 등을 조사하여 보다 안정한 저점도의 W/O 에멀젼을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적용 실험을 통하여 사용감과 안정성 우수한 저점도 플루이드형 자외선 차단제품의 개발 가능성도 검토해 보았다.
  • W/O 에멀젼의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된 유화제 적용 실험에서는 계열에 따라 Glyceryl ester, Sugar ester, Glucose ester,PEG ester, Modified silicone계를 이용해 총 17종의 유화제를 선정하여 실험에 적용해 보았으며,이밖에 오일의 종류(극성, 비극성), 전해질의 영향, 유화 안정화제의 영향, 수상 및 유상 겔화제의 영향 등을 조사하여 보다 안정한 저점도의 W/O 에멀젼을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적용 실험을 통하여 사용감과 안정성 우수한 저점도 플루이드형 자외선 차단제품의 개발 가능성도 검토해 보았다.
  • 오일로는 Caprylic/capric triglyceride, C12-15 alkyl benzoate,Cyclopentasiloxane을 적용해 보았고,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된 Titanium dioxide와 Zinc oxide는 각각 Coco-caprylate/caprate와Cyclopentasiloxane으로 분산된 베이스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무기 분체의 분산 함량에 맞게 처방에서의 오일 총 함량은 38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또한 오일로 Cyclopentasiloxane이 적용되는 샘플은 유화제로 PEG-10 dimethicone을 처방하여 따로 유화 안정성을 확인해 보았다. 에멀젼의 제조방법은 2.
  • 본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O/W 에멀젼에 비해 안정화가 어려운 W/O 에멀젼, 특히 유동성이 높은 저점도 W/O 에멀젼의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단계적으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았다. W/O 에멀젼의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된 유화제 적용 실험을 일차적으로 진행해 본 결과, 저점도의 W/O 에멀젼을 만족시키는 유화능이 우수한 유화제는 예상대로 많지 않았으며, 장기 안정도에서도 만족할만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W/O 에멀젼을 위한 여러 조건들을 전체적으로 검토해 보았고, 특히 유동성이 높은 저점도 에멀젼의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단계적으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여 보았다. W/O 에멀젼의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된 유화제 적용 실험에서는 계열에 따라 Glyceryl ester, Sugar ester, Glucose ester,PEG ester, Modified silicone계를 이용해 총 17종의 유화제를 선정하여 실험에 적용해 보았으며,이밖에 오일의 종류(극성, 비극성), 전해질의 영향, 유화 안정화제의 영향, 수상 및 유상 겔화제의 영향 등을 조사하여 보다 안정한 저점도의 W/O 에멀젼을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멀젼은 어떻게 분류 하는가? 일반적으로 에멀젼은 유상이 수상에 분산되어있는 O/W (Oil-in-Water) 에멀젼과 수상이 유상에 분산되어 있는 W/O (Water-in-Oil) 에멀젼으로 나눌 수 있다. W/O 에멀젼은 외상의 오일이 피부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고 내수성이 높아 메이크업 제품 및 자외선 차단 제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사람의 피부가 친수성의 성질보다는 친유성에 가깝기 때문에 W/O 에멀젼이 O/W 에멀젼에 비해 피부에 더 적합한 제형으로도 알려져 있다[1,2].
W/O 에멀젼의 안정성을 개선해야하는 이유는? O/W 유화는 계면활성제 선정이 상대적으로 용이해 안정화가 가능한데, 예를 들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POE 체인을 조절할 수 있어 엔트로피 반발을 증대시키기도 하고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킬 수가 있지만, W/O 유화는 연속상에 전기 이중층이 없고 안정도의 중요 인자인 정전기적 반발력이 없어 일반적으로 W/O 에멀젼의 제조가 쉽지 않다[4]. 또한 W/O 유화에서는 보통 친유성 계면활성제를 선택하는데 친유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이 낮아 계면에 흡착되어야 할 계면활성제가 유상 중에 분산 용해되는 경향이 커서 물과 오일의계면 안정화를 유도하기 어려우며[5], 무거운 사용감의 개선을 위해 실리콘 오일과 극성 오일을 다량 사용 시에도 경시 변화에 안정한 W/O 에멀젼을 얻는 것이 어렵다[6]. 특히 점도가 낮은 저점도 W/O 에멀젼의 경우는 유화 입자가 크게 형성되고 입자간의 상호 합일(Coalescence)이나응집(Flocculation), 크리밍(Creaming) 등의 현상이 더욱더 촉진되는 경향이 있어 실제 제품화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W/O 에멀젼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에멀젼은 유상이 수상에 분산되어있는 O/W (Oil-in-Water) 에멀젼과 수상이 유상에 분산되어 있는 W/O (Water-in-Oil) 에멀젼으로 나눌 수 있다. W/O 에멀젼은 외상의 오일이 피부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고 내수성이 높아 메이크업 제품 및 자외선 차단 제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사람의 피부가 친수성의 성질보다는 친유성에 가깝기 때문에 W/O 에멀젼이 O/W 에멀젼에 비해 피부에 더 적합한 제형으로도 알려져 있다[1,2].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화 화장품은 O/W 에멀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그 이유는 W/O 에멀젼의 사용감이 다소 무겁고 번들거리며, 특히 유화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 A. van Aken, F. D. Zoet, "Coalescence in highly concentrated coarse emulsions", Langmuir, Vol.16, No.1, pp. 7131-7138, (2000). 

  2. W. G. Cho, B. S. Kim, "Rheological behaviour of water-in-oil emulsions using quaternium-18 hectorite",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26, No.4, pp. 407-414, (2009). 

  3. W. H. Kim, K. S. Lee, K. K. Le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y and stability of W/O emulsion by various structures of emulsifie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38, No.2, pp. 119-131, (2012). 

  4. J. D. Kim. Theory of interface phenomena. p.822, Arche Publishing House, (2000). 

  5. Y. S. Kang, K. Y. Gyeong, M. J. Rang, D. H. Bae, Y. G. Lee, W. G. Cho, S. G. Choi, S. G. Han. Cosmetics . living and healthcare science. p.452, Shin Kwang Publishers, (2008). 

  6. J. Y. Yeon, B. R. Shin, T. G. Kim, J. M. Seo, C. H. Lee, S. G. Lee, H. B. Pyo, "A study on emulsion stability of O/W and W/S emulsion according to HLB of emulsifie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40, No.3, pp. 227-236, (2014). 

  7. M. P. Aronson, M. F. Petko, "High concentrated water in oil emulsion: Influence of electrolyte on their properties and stability", J. Colloid and Interface Sci., Vol.159, No.1, pp. 134-149, (1993). 

  8. C. I. Park, W. G. Cho, S. J. Lee, "Emulsion stability of cosmetic creams based on water in oil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Vol.15, No.3, pp. 125-130, (2003). 

  9. S. M. Hodge, D. Rousseau, "Flocculation and coalescence in water-in-oil emulsions stabilized by paraffin wax crystals", Food Res. Int., Vol.36, No.7, pp. 695-702, (2003). 

  10. S. M. Hodge, D. Rousseau, "Continuous-phase fat crystals strongly influence water-in-oil emulsion stability", J. Am. Oil Chem. Soc., Vol.82, No.3, pp. 159-164, (2005). 

  11. A. Macierzanka, H. Szelag, T. Moschakis, "Phase transitions and microstructure of emulsion systems prepared with acylglycerols/zinc stearate emulsifier", Langmuir, Vol.22, No.6, pp. 2487-2497, (2006). 

  12. J. D. Kim, J. H. Jung, "Surface Chemistry in Biocompatible Nanocolloidal Particl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30, No.3, pp. 295-305, (2004). 

  13. H. J. Yang, J. H. Kim, W. G. Cho, S. N. Park, "The stability of emulsion formed by phase inversion with variation of HLB of surfactant",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26, No.2, pp. 117-123, (2009). 

  14. B. W. Brooks, H. N. Richmond, "Dynamics of liquid-liquid phase inversion using nonionic surfactants", Colloids and Surfaces, Vol.58, No.1, pp. 131-148, (1991). 

  15. I. Matsaridou, P. Barmpalexis, A. Salis, I. Nikolakakis, "The influence of surfactant HLB and oil/surfactant ratio on the formation and properties of self-emulsifying pellets and microemulsion reconstitution", AAPS PharmSciTech., Vol.13, No.4, pp. 1319-1330,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