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mote Observatory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in Science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5, 2015년, pp.697 - 709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  백상호 (양벌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과학영재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구축한 후, 이를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과학영재에게 적용하여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A초등학교와 B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본 결과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 기초탐구능력과 통합탐구능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탐구능력과 통합탐구능력을 종합한 과학탐구능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소로는 개방성, 협동성, 끈기성, 창의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기심, 비판성, 자진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지구 외부 세계와 학습자가 분리된 채 이루어진 천문교육을 스마트 인프라의 적용을 통해 참여와 공유, 융합을 구현하여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at shaping remote observatory system environment for schools, developing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using that system and applying it to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figure out effects on their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and attitude. in order to figu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격천문대 환경을 구축한 후, 이를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과학영재에게 적용함으로써 과학탐구능력 및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707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이상과 같은 학교 현실에서 천문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원격천문대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투입하여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천문 교육 분야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천체관측 단원 수업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그러나,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는 천체관측 단원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실내 강의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과 교사 모두 체험 중심의 천체관측 프로그램을 원했으나 천문우주교육을 하는데 있어 천체망원경이나 장비의 부족, 밤에 운영되는 시간상의 문제와 학생 안전지도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한제준, 2010). 또한, 천문단원은 초등학교 2학년, 5학년, 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에서까지 다루어지고 있지만,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단원이고, 교사들에게는 가르치기 어렵고 자신 없는 단원으로도 나타나고 있다(고재근, 1994).
천체 관측 경험은 학생들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또한, 천체들의 공간 운동에 의한 현상들을 교실 속에서 설명하는 것보다 학생들에게 직접 육안 관찰, 또는 천체 망원경 등을 통한 관찰 활동을 함으로써 달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키울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으며, 교실 활동보다는 달을 직접 관찰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실제로 천문 현장 체험학습 등을 통한 천체 관측 경험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며, 천문관련 개념에 대한 사고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천문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유병욱, 2012).
원격천문대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천체망원경을 선택한 이유는? 실제 관측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원격 제어가 가능한 천체망원경이다. 실제 관측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우선 원격 제어 관측을 위해 GOTO 기능이 탑재된 천체망원경을 선택하였으며, 망원경에서 관측한 고화질 영상을 전송이 가능하도록 접안부에 HD CCD를 적용하였다. 또한 원격으로 망원경의 돔을 개폐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프레임을 제작하여 강우 등의 기상상황에서 망원경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고재근(1994). 천체관측자료의 활용을 통한 탐구력 신장 방안. 현장교육 연구논문 발표대회 연구 보고서, 1-46. 

  2.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5-6학년), (주)금성출판사. 

  3.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4. 김인철(2013). 초등학생의 일일 과학 체험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남대학교. 

  5. 백상호, 이재호(2015).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사)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2), 73-78. 

  6. 신명렬, 이용섭(2011a).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7. 신명렬, 이용섭(2011b). IM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2), 337-356. 

  8. 양종우, 김현문, 김희수(2013). 인터넷 기반 원격천체관측 시스템 개발. 현장과학교육 연구논문, 7(2), 77-84 

  9. 유병욱(2012), 천문 중심 현장체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0. 채동현(2000). 천체관측을 통한 학습이 천문성취도, 천문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8(2), 79-101. 

  11. 한제준(2010).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천체관측 경험 실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12. Lelliott A., & Rollnick, M (2010). Big ideas: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aserch 1974-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nomy concepts in the planetari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3), 1771-1779. 

  13. Subramaninam, K., & Padalkar, S. (2009). Visualization and reasoning in expla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