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개방데이터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Dat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0, 2015년, pp.135 - 146  

박고은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  김창재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데이터 개방은 민간을 포함한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재이용하여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신(新) 산업, 일자리 창출로 창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공공데이터 개방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정책이며, 개방의 성공 사례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공공개방데이터는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품질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와 표준화의 미흡으로 인한 오류데이터 발견 및 활용성 저하 문제가 제기되며, 품질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데이터 품질과 공공데이터 품질, 공공 서비스 품질에 관한 복합적 시각을 적용한 연구를 통해 개방 공공데이터가 갖춰야 할 품질 특성에 대해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모델을 수정 및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특성으로 공공성, 활용성, 신뢰성,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활용 활성화를 위해 갖춰야 할 품질 특성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data open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Korea Government 3.0. By making open data available to the private sector, the goal is to create jobs, increase innovatio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Public data open is a policy that emphasized its importance worldwide. Open data should have ad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개방데이터가 갖춰야 할 품질 특성 및 부특성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 논의가 부족했던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활용 촉진을 위한 방향으로써의 품질 특성을 제시 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기존의 연구에서 미흡했던 개방 공공데이터가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개방되는 공공데이터에 적용 시켜 검증하지 못한 점이 한계로 남으며,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제 공공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공공데이터 품질 특성 및 품질 관리의 실증적 연구를 본 논문의 향후과제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개방데이터 품질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 품질, 공공데이터 품질, 공공 서비스 품질에 관해 사전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해외의 공공데이터 개방 사례를 조사하여, 그 중 미국의 공공개방데이터 품질에 관한 정의 및 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개방데이터가 갖춰야 할 품질 특성 및 부특성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 논의가 부족했던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활용 촉진을 위한 방향으로써의 품질 특성을 제시 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는 제시된 품질 특성이 현장에서 실제로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되고 관리되어지는지에 대해 실제 공공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데이터 품질 특성은 실제로 현장에서 유효하게 활용이 가능한 속성임을 목표로 두고 연구되었다는 점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 이렇게 가치와 위험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공공데이터의 개방 발전을 위해 각 데이터 보유 기관에서는데이터 품질 특성 기준을 세우고 세부 특성에 따른 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양질의 데이터 제공과 위험요소의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공공데이터 품질 특성을 통해 시사된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국제 표준에서 제시한 공공데이터의 품질특성을 참조하여 공공개방데이터가 갖추어야 할 품질 특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공공데이터 관리자 설문을 통해 현장에서 공공데이터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사항을 도출하여 본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 개방의 목표는 무엇인가? 공공데이터 개방은 민간을 포함한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재이용하게 하여, 이를 통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신(新)산업, 일자리 창출로 창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1]
공공데이터는 무엇인가? “공공데이터”란 데이터베이스, 전자화 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한다[10].
공공데이터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데이터 활용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공공데이터 활용은 기대만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데이터 활용 성과들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 주요한 원인으로 제기되는 것으로 공공데이터의 품질 관리와 표준화의 미흡으로 인한 오류데 이터 발견 및 활용성 저하 문제를 들 수 있다[2]. 더욱이 각 기관의 개방 데이터 품질 관리 방향 정립에 도움이 되는 공공개방데이터 품질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부재하다. 공공데이터 개방이 공급자 중심의 개방 계획에 따라 추진되고 있어 그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 또한 공공데이터 관련 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에 품질 가이드라인의 부재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Republic of Korea,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2014 

  2.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Completion report for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public data quality", 2014 

  3. English, L. P., "Improving Data Warehouse and Business Information Quality: Methods for Reducing Costs and Increasing Profits", John Wiley & Sons, 1999 

  4. Wang, R. Y. and D. M. Strong, "Beyond accuracy: what data quality means to data consumer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2, No.4, pp.5-34, 1996 

  5. Larry P. English, "Improving Data Warehouse and Business Information Quality.", New York : Wiley, 1999 

  6. Redman, T. C, Data Quality for the Information Age, Norwood, MA: Artech House, 1996 

  7. Wang, R. Y. et al. "Data quality", Vol. 2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 

  8.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Data Quality Management Maturity Model Ver 1.0, 2006 

  9. ISO/IEC 25012:2008, "Software engineering -Software product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SQuaRE) - Data quality model,", 2006 

  10.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Article 2 (Definitions), 2013 

  11.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dministrative guideline of public data", 2014 

  1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Public Information Quality Management Manual", 2012 

  13. US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Guidelines for Ensuring and Maximizing the Quality, Objectivity, Utility, and Integrity of Information Disseminated by Federal Agencies", 2001 

  14. Davies, Tim, "Open data barometer: 2013 global report." World Wide Web Foundation and Open Data Institute, 2013 

  15. Hun Young Lee.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Cheong Ram, 2016 

  16. Seung Ho Jung, D.H.Jeong,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in Data Quality of Public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ol.3 No.4, pp.251-266, 2013 

  17.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pp.15-29, 1998 

  18. Yang Ho Woo, M.Y. Hong, "A Feasibility Study on quality measurement of public service.", Journal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16 No.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