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선정요(飮膳正要)·식료제병(食療諸病)』의 식치(食治)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od Cure in Eumsunjungyo Singnyojaebyeong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8 no.4, 2015년, pp.155 - 177  

홍진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cures in Eumsunjungyo Singnyojaebyeong. The diseases described in Singnyojaebyeong still occur frequently in modern tim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cipe of food cures for applying to the modern time treatment. Methods : I categorized the major sym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飮膳正要란? 『飮膳正要』는 1330년 원나라때 忽思慧가 편찬한 식이요법서로서 天曆 3년(1330)에 文宗에게 바쳤다1). 진귀한 음식의 조리법과 여러 本草書, 명의의 처방, 매일 먹는 곡식, 고기, 과일, 야채 가운데 몸을 보하는 것 등을 모아 3권의 책으로 묶었다.
飮膳正要은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는가? 『飮膳正要』는 1330년 원나라때 忽思慧가 편찬한 식이요법서로서 天曆 3년(1330)에 文宗에게 바쳤다1). 진귀한 음식의 조리법과 여러 本草書, 명의의 처방, 매일 먹는 곡식, 고기, 과일, 야채 가운데 몸을 보하는 것 등을 모아 3권의 책으로 묶었다.
飮膳正要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飮膳正要』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로는 김천호의 Mongol秘史의 음식문화2), Shinoda Osamu의 中國의 近世食經考 (1)3), 金明培의 東아시아의 喫茶와 喫湯 硏究4), 홍진임의『飮膳正要』의 編制와 內容에 관한 硏究5)가 있다. 『飮膳正要』를 언급한 3편의 연구 외에 『飮膳正要』 자체를 연구한 것으로는 홍진 임의 『飮膳正要』의 編制와 內容에 관한 硏究가 있지만 『飮膳正要』의 食治方을 고찰한 국내 연구는 아직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M Kim ed.. The Encyclopedia of Orienatal Herbal Medicine. Seoul. Jung Dam publisher. 1997. 

  2. Nam SH trans.. Sikgyeong. Seoul. Jayumungo. 2002. 

  3. Son IY. Jooryejeongui. Beijing. Junghwaseoguk Publisher. 1987. 

  4. Lee HW. Food culture of Chinese.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2010. 

  5. Jin JP, Jang JS trans.. Edible medicinally Medical herbs Dictionary. Seoul. Bubin Publishers Co.. 2013. 

  6. Korean Medicine Larg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Medicine Large Dictionary. Seoul. Jung Dam publisher. 2010. 

  7. Heo Jun. Lee NG trans.. Yugyeong. Seoul. Bubin Publishers Co.. 2011. 

  8. Hole SY. Eumseonjeongyo. Beijing. China Chinese Medicine Publishers Co.. 2009. 

  9. Kim MB. A Study on the Tea-Drinking and Tang-Drinking in East Asia. Journal of The Korean Tea Society. 1999. 5(2). 

  10. Kim MH, Chung HK. Review of Food Therapy and Development of Diet Therapy Program for Diabetes Melltus in Sikryochany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013. 28(6). 

  11. Kim JD. Literature on Food Cure and Diet Therapy depending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History Association. 2013. 12(1). 

  12. Kim CH. The Dietary Culture of Secret History of Mongol's. Mongolian Studies. 2003. 15. 

  13. Kim HK, Kim TW, Kim NI. Old people's Health and Food therapy in medical books of Chosun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012. 25(1). 

  14. Kim H. A study on medical treating the royal family with eating food in Choson Dynasty.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2008. 45. 

  15. Shinoda O, Han BJ. Review of Chinese Food Literature (1).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91. 1(2). 

  16. Song JC et al.. A Review on Thirst Disease Prescription in Sikr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2. 25(3). 

  17. Shin JH, Song JC, Eom DM. Pork as Food Therapy in Shikr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3). 

  18. Sim HA, Song JC, Eom DM. A Review on the Food-Therapy with Five-Vegetable in Sikr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5). 

  19. Ahn SY et al.. Research on Alimentotherapy Definitions and Applied Theor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gntal Medicine. 2008. 14(2). 

  20. Ahn SW, Choi H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uibangyoochui, Methods of Medical Treatment. 2000. 6(1). 

  21. Oh JH. Analysis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Appearing in "Yi, SeikKan Experience Prescriptions" Which is a Book on Medicine in Joseo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 with a Focus on Medical Treating with Eating Foods Using Porridge and Rice.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ventive. 2013. 17(1). 

  22. Jeong YH et al.. Review of the Origin and Meaning of Ginseng Millet Water Gruel (Insamsokmieum) used for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015. 30(4). 

  23. Chen LK. A Brief History of Alimen Totherapy in Chinese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1998. 13(2). 

  24. Hong YJ et al.. A Review on the Food-Therapy with Chicken in Sikr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5). 

  25. Hong JI.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the Contents of Eumsunjung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5. 2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