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 및 식품 융합 '식치(食治)' 콘텐츠 연구(제1보) -오미자와 콩을 이용한 오미갈수(五味渴水)의 건강증진 효과 및 품질개선 실증 연구-
Establishment of Korean Medicine and Food convergence Contents 'Sikchi' for Health Promotion(1) -A Study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Omigalsu using Omija and Soybea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163 - 171  

김유진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  양혜정 (한국식품연구원) ,  김민정 (한국식품연구원) ,  장대자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조리서와 한의서, 역사서 등 고문헌에는 건강과 음식, 치료에 관한 다양한 기록들이 있으며, 이러한 기록을 통해 '식치(食治)'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식치(食治)는 '의료와 식품이 같은 원리로 작용한다' 라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의 뜻을 포함하는 의미로 전통지식으로만 그치지 않고 현대의 식문화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치(食治)의 원리를 바탕으로 고문헌의 기록된 식품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해 현대의 건강식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인의 대표적인 대사질환 중 하나인 혈당 조절과 관련이 있는 오미자, 콩, 꿀을 주원료로 하는 전통음료인 '오미갈수(五味渴水)'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문헌의 기록을 토대로 전통 오미갈수를 재현하였을 때 꿀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의 엉김현상이나 섭취 후 혈당 상승 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꿀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 소재를 발굴하였다. 이 소재를 활용하여 새롭게 제조한 오미갈수를 전통 오미갈수와 비교 시험을 통해 새롭게 제조한 오미갈수의 건강증진 및 품질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지식의 하나인 식치의 원리를 활용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의 식품바이오, 헬스케어 등 의료 및 식품 분야의 다양한 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records on health, food and treatment are written in ancient documents of Korea such as old recipe books, Korean medical books and history books, through these records, the principle of Sikchi can be discovered. Sikchi includes the meaning of medicine and food work on the same principle, an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의 조리법과 한의서에 기록된 건강효능에 관하여 과학적 실증실험을 통해, 새로운 원료의 발굴 또는 기술 개발, 더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개발과 같은 식품과학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인 콘텐츠를 발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E. K. Jung, T. N Lee, S. Y. Choung, S. Y. Park, and N. M. Joo, "Development of Tigernuts Galsu for Lactating Women's Water Supply and Skin Care," Korean J. of Food Cookery Science. Vol.34, No.2, pp.125-135, 2018. 

  2. Serdar Oktay and Erhun Kemal Ekinci, "Medicinal food understanding in Korean gastronomic culture," J. of Ethnic Foods, Vol.6, No.4, pp.1-12, 2019. 

  3. J. S. Lee, "Literature Review on the Omija activities in The DONGEUIBOGAM," J.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ol.5, No.1, pp.1-6, 1995. 

  4. S. Y. Cho, W. J. Yoo, S. W. Ahn, N. I. Kim, "The Formation of Sogal Concept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Korean J. of Oriental Medicine, Vol.13, No.2, pp.1-14, 2007. 

  5. E. S. Han, "Standardization of the Recipe for the Korean Traditional Drink Omigalsu," J.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ol.23, No.3, pp.320-331, 2013. 

  6. M. H. Noe, D. J. Jang, and J. H. Nam,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isine Menu in Siuijeonseo,"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Vol.27, No.6, pp.127-137, 2021. 

  7. Brian K. Tibbot, and Ronald W. Skadsen,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α-glucosidase gene from barle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229-241,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