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젖소의 산유수준과 자동착유시스템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ilking Levels and Automatic Milking System of Dairy Cattle 원문보기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v.21 no.2, 2015년, pp.65 - 70  

남인식 (한경대학교) ,  장경만 (한경대학교) ,  손용석 (고려대학교) ,  기광석 (국립축산과학원) ,  정하연 (국립축산과학원) ,  강희설 (국립축산과학원) ,  박성민 (국립축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three hundred and fourteen dairy cows were used in this study to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ilking levels and automatic milking system (AMS). Cow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ir milking levels (over 50 kg/day, 49~40 kg/day, 39~30 kg/day, 29~20 kg/day, 19~10 kg/day). 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MS를 설치 및 운용하는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AMS를 무리 없이 운용하고 운용기간이 충분하여 AMS 운용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는 2012년 이전에 AMS를 설치하여 운용중인 5개 농가를 선정하였다.
  • , 2014)가 대부분으로 AMS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향후 AMS 도입을 희망하는 농가에서 AMS와 관련된 보다 다양한 자료를 접한 후에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량과 AMS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AMS 구입을 희망하는 농가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AMS설치 농가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를 산유량 수준에 따른 5개 그룹으로 나누어 평균착유횟수, AMS에 의한 착유거부 횟수, AMS에 머무는 시간,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 유속 등을 비교 하여 AMS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동착유시스템은 언제 어디서 처음 도입되었는가? 자동착유시스템(AMS, Automatic milking system) 은 1990년대 초 낙농 선진국인 네덜란드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현재에는 미국과 유럽 등 대규모로 낙농업을 하는 국가에서 주로 사용하며 그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Svennersten-Sjaunja Pettersson, 2007). 이에 따라 AMS 도입 및 운용이 활발한 유럽은 AMS 농가의 생산성 (Rasmussen et al.
최근 축산업에서 외국인 노동자 대신 AMS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인 이유는? , 2014). 그러나 외국인 노동자의 경우 경영주와 원활한 대화가 어려우며, 이직율이 높아 농장경영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므로 농장에서 필요한 고정 노동력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AMS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많은 농장에서 AM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당 가격이 3억~4억에 이르는 고가의 설비를 구입하여 설치하는 것은 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AMS와 젖소의 산유량과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일착유횟수는 산유량당 얼마로 조사되었는가? 본 연구는 AMS와 젖소의 산유량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착유횟수, AMS에 의한 착유거부 횟수, AMS에 머무는 시간,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 유속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일착유횟수는 산유량 50 kg 이상 그룹과 49~40 kg그룹에서 각각 3.85회, 3.62회 이었으나 가장 낮은 19~10 kg 그룹에서는 1.95회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은 산유량 50 kg 이상 그룹과 49~40 kg그룹에서 각각 347, 321분, 19~10 kg 그룹은 262분이 소요되어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B.S., Jeon, B.S., Back, K.S., Park, S.J., Lee, H.J., Lee, W.S., Kim, B.S., Park, S.B., Kim, H.S., Ju, J.C., Khan, M.A., 2005. The effects of variation factors on milk yield and variation in milk yield between milking, milk components milking duration, and milking flow rate in Holstein dairy cattle. J. Anim. Sci & Technol. 47, 919-924. 

  2. Ahn, B.S., Ju, J.C., Jeon, B.S., Back, K.S., Park, S.B., 2006. Genetic parameters for milking duration, milk flow and milk yield per milking in Holstein dairy cattle. J. Anim. Sci & Technol. 48, 487-492. 

  3. ARC. 1980. The Nutrient Requirements of Ruminant Livestock. Common wealth Agricultural Bureaux. Slough. England. UK. 

  4. Balch, C.C., 1958. The observation of the act of eating in cattle. Br. J. Nutr. 12, 3330-3345. 

  5. Berglund, I., Pettersson, G., Svennersten- Sjaunja, K., 2002. Automatic milking: Effects on somatic cell count and teat end quality. Livest. Prod. Sci. 78, 115-124. 

  6. Cho, K.H., Choi, J.P., Byung, W.Y., Lee, D.H., Kong, H.S., Park, J.D., Lee, H.K., 2009. Analysis of dairy milking flow in Holstein cow using the lactocorder. J. Anim. Sci & Technol. 51, 265-272. 

  7. de Koning, K., Slaghuis, B., van der Vorst, Y., 2003. Robotic milking and milk quality: Effects on bacterial counts, somatic cell counts, freezing points and free fatty acids. Ital. J. Animl. Sci. 2, 291-299. 

  8. Hagen, K., Langbein, J., Schmied, C., Lexer, D., Waiblinger, S. 2005. Heart rate variability in dairy cows-Influences of breed and milking system. Physiol. Behave. 85, 195-204. 

  9. Han, H.Y., 1994. Record analysis for mastitis control. 1994. Korean J. Vat. Res, 30. 592-615. 

  10. Ki, K.S., Jeong, Y.H., Park, S.J., Kim, S.B., Lee, W.S., Lee, H.J., Lim, D.H., Kim, H.S., Kwon, E.G., Cho, M.Y., Jeo, J.M., 2011. Comparison of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auto milking system (AMS) use in dairy cow. J. Lives. Hous. & Env. 17, 189-196. 

  11. Melin, M., Wiktorsson, H., Norell, L., 2005. Analysis of feeding and drinking patterns of dairy cows in two cow traffic situations in automatic milking system. J. Dairy. Sci. 88, 71-85. 

  12. Moon, J.Y., Chang, K.M., Nam, I.S., Park, S.M., Oh, N.S., Son, Y.S., 2014. Effects of automatic milking systems on raw milk quality and milk fat properties with or without feeding protected fat. Korean J. Dairy Sci. Technol. 32, 63-70. 

  13. Nam, I.S., Heo, B.M., Park, H.K., Min, T.H., Son, Y.S., Park, S.M., Kwon, E.G., Chang, K.M., 2014. Effect of types of milking instrument and season on milk composition in Holstein-fiesian lactating cows. J. Lives. Hous. & Env. 20, 97-104. 

  14. Nam, I.S., Kim, H.S., Seo, K.M., Ahn, J.H., 2014. Analysi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n productivity,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laying hen in Korea. Korean J. Poult. Sci. 41, 93-98. 

  15. Rasmussen, M.D., Blom, J.Y., H Nielsen, L.A., Justesen, P., 2001. Udder health of cows milked automatically. Livest. Prod. Sci. 72, 147-156. 

  16. Pearce, G.R., 1965. Rumination in sheep: The investigation of some possible control mechanisms. Aust. J. Agri. Res. 16. 837-856. 

  17. SAS. 2000.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8.0 Edition. SAS Instute. Inc. Cary, NC. 

  18. Stewart, S., Godden, S., Rapnicki, P., Reid, D., Joihnson, A., Eicker. S., 2002. Effects of automatic cluster remover settings on average milking duration, milk flow, and milk yield. J. Dairy Sci. 85. 818-823. 

  19. Svennersten-Sjaunja, K.M, Berglund, I., Pettersson, G., 2000. The milking process in an automated milking system, evaluation of milk yield, teat condition and udder health. in: robotic milking: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in lelystad, Netherlands, Wageningen, 277-288. 

  20. Svennersten-Sjaunja K.M., Pettersson, G., 2007. Pro and cons of automatic milking in Europe. J. Animl. Sci. 2008. 86, 37-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