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4, 2015년, pp.490 - 498  

이혜경 (수성대학교 간호학과) ,  남춘연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job satisfaction in office worke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eight industries in B Ku in D city, an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10 until October 10, 2014. Job satisfaction was assessed using the Minneso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여가활동과 관련된 연구(Song, 2009), 직무만족, 자아정체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다룬 연구(Lee & Kim, 2010) 등이 이루어졌으며, 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불만족,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련성 연구는 많이 볼 수 있으나 개인적 정서상태인 우울과 정신건강에 중요한 변수인 심리적 행복감을 직무만족도와 관련하여 진행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관련 요인을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 감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향후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도 증진 전략 및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278명의 산업체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의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술자리 등 집단주의 문화, 직무갈등, 합리적 소통 결여, 성적 차별 등), 직무요구(업무량 증가, 과도한 직무부담, 업무다기능), 직무불안정과 심리적 행복감이 확인되었고, 이들 변인이 직무만족도의 43.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확인하여 향후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 증진 전략 및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와 제 변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직장인의 정신건강증진 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만족이란? 직무만족은 직무에 대한 태도의 하나로써 한 개인의 직무나 직무경험 평가 시에 발생하는 유쾌하고 긍정적인 정서상태이며,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진다고 밝혀졌다 (Karsli & Iskender, 2008).
직무스트레스는 어떤 경우에 발생되는가?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과 업무환경 간의 부조화에서 발생된다. 즉 환경조건이 개인의 능력을 초과하거나 직무환경 때문에 개인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발생하며(Philip & Lee, 1980),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이나 직위, 근무기간, 고용형태, 교대근무 등 직업관련 변수 외에도 건강관련 행위의 실천 여부,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 인성이나 자기존중심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보고(Lee & Park, 2013)가 있다.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와 제 변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 및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확인  한다.  ∙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S. J., Koh, S. B., Kang, D.,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17(4), 297-317. 

  2. Chon, K. K., Kwon, K. D., & Kim, S. K. (1999). An attempt to revise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CES-D: I.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6(1), 429-451. 

  3. Chung, E. K., Han, E. R., & Woo, Y. J. (2013). Medical residents'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ed factor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5(1), 39-46. 

  4. Chung-Yan, G. A. (2010). The nonlinear effects of job complexity and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5(3), 237-251. 

  5. Hamdan-Mansour, A. M., & Marmash, L. R. (2007).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l health of Jordani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45(10), 31-39. 

  6. Han, S. Y.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ent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on perceived job stress of financial compani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4), 1612-1619. 

  7. Karsli, M. D., & Iskender, H. (2009).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provided by the administr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their institutional commitment.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 2252-2257. 

  8. Kessler, R. C., Berglund, P., Demler, O., Jin, R., Merikangas, K. R., & Walters, E. E. (2005). Lifetimeprevalence and age-of 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 593-602. 

  9. Kim, S. L., Jung, H. S., Lee, B. I., Lee, J. E., & Rhee, K. Y. (2003). Factor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work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NIOSH job stress model.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2), 190-199. 

  10. Kim, J., Yoon, S. Y., & Cheon,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activity, leisu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0(30), 79-96. 

  11. Kim, M. S. (2008). A path model for personality typ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119 rescu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1), 169-181. 

  12. Kim, I. S., & Kim, D. K. (2012).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in youth sports clubs: The case of Korea and Japa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1(6), 941-953. 

  13. Kim, Y. A., & Kim, K. E. (2012). Teacher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s predi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on infant teacher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9(1), 105-121. 

  14. Kim, S. Y., Lee, D. O., & Ham, W. T. (2013). The effect of psychological happines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employees' participation in life spor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4(1), 887-898. 

  15. Koustelios, A. D. (2001).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Greek teache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15(6), 354-358. 

  16. Lee, Y. J. (2002). Relationship with physical self-concept on the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7. Lee, Y. H., & Kim, B. W.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2(1), 135-145. 

  18. Lee, K. H., & Park, H. K. (2013).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Mediating role of empowerment and autonom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2117-2133. 

  19. Nam, H. S. (2013).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8(2), 175-185. 

  20. Philip, B. N., & Lee, M. (1980). The changing role of the American teacher: Current and future sources of stress. In Cooper C. L., Marshall, J.(Eds.) White collar and professional stress. New York: John Wiley. 

  21. Song, S. H. (2009).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Sport Science, 21, 69-78. 

  22. Stewart, W. E., Ricci, J. A., Chee, E., Hahn, S. R., & Morganstein, D. (2003).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31), 35-44. 

  23. Suh, J. H. (2010). Workers: Job stress is high and job satisfaction is low. Journal of Midas, 10, 102-105. 

  24. Um, T. S., & Kim, H. S. (2013). Impact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depression among local public serva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Science, 34, 135-158. 

  25. Weiss, D. J., Dawis, R. V., England, G. W., & Lofquist. L. H. (1967).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apolis, USA: University of Minnesota. 

  26. Wendy, R., Boswell, J. T., & Boudreau, J. N.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job change and job satisfaction: The honeymoon-hangover effe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882-892. 

  27. Wright, T. A., & Bonett, D. G. (2007).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nonadditive predictors of workplace turnover. Journal of Management, 33(2), 141-160. 

  28. Wright, T. A., & Cropanzano, R. (2000).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84-94. 

  29. Yang, M. H. (1998).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cognitive-affective states scale. Journal of Korean Sport Psychology, 9(2), 113-123. 

  30. Yoon, S. H., Bae, J. Y., Lee, S. W., An, K. E., & Kim, S. E. (2006).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Science, 19(6), 3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