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균변화율을 활용한 눈썹 메이크업 유형별 섹시미 감성이미지 차이
Eyebrow Make-up Type Using an Average rate Sensitivity Image for the Difference of Perceived Sexines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9 no.5, 2015년, pp.34 - 47  

김진경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 ,  박정신 (중부대학교 미용분장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xiness is the image of a person who attracts attention regardless of his/her age, and today's society has created a more positive impression by transforming the image into something others consider even more attractive. Consequently, we begin to take interest in makeup, - a means of portraying a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 (2009)에서도 언급한 바, 얼굴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요소의 중심에 있으며, 그 사람의 인상과 성격을 보여주는 메이크업으로 얼굴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중요 이미지 중 하나인 섹시미 이미지를 전체 인상 결정의 중심 요소인 눈썹 메이크업을 통해 유형별 섹시미 이미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눈썹 메이크업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따른 섹시미 감성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눈썹 메이크업 형태별 기울기를 평균변화율이라는 수리적 공식으로 수치화 시켰다. 또한 그 값에 따라 제작된 자극물을 통해 연구자와 피 실험자와의 객관적인 소통을 하고자 하였고, 이로써 설문에 따른 응답의 신뢰를 높임으로써 얼굴 이미지 감성 평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눈썹 메이크업 형태의 기울기를 평균변화율이라는 수리적 공식을 통하여 값을 구하여 자료화함으로써 감성 평가와 측정 평가 중심의 연구 병행이 이루어져 연구자와 피 실험자간의 소통을 객관화 시켜 섹시미 이미지 감성 평가의 연구에 신뢰도를 높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눈썹 메이크업에 관한 섹시미 이미지 평가에 개인적인 시각적 추측이 아닌 구체적인 값과 결과를 제시한 연구로써 앞으로 정확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평균변화율을 활용하여 각 눈썹 형태별 기울기를 수치화 시켜, 평균값으로 제작된 눈썹을 설문에 적용하여, 이를 토대로 이미지를 평가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눈썹 메이크업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따른 섹시미 감성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눈썹 메이크업 형태별 기울기를 평균변화율이라는 수리적 공식으로 수치화 시켰다. 또한 그 값에 따라 제작된 자극물을 통해 연구자와 피 실험자와의 객관적인 소통을 하고자 하였고, 이로써 설문에 따른 응답의 신뢰를 높임으로써 얼굴 이미지 감성 평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이와 같은 방법으로 눈썹 메이크업 형태에 대한 시각적 관점의 추측보다는 각 눈썹의 기울기에 대한 평균변화율 값을 구함으로써 수치로 확인 할 수 있고, 기존 연구에 나타난 눈썹 형태들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연구자마다 다르게 제시했던 눈썹 메이크업을 유형별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고, 각 형태에 대한 모델을 수치로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기존의 선행 연구가 눈썹 형태별로 달라지는 높이의 변화를 정확한 값이 아닌 연구자들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해 자극물을 제시하여 연구자와 피 실험자간의 소통이 객관적이지 않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점이라 사료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평균변화율이라는 수리적 공식을 적용하여 정확한 기울기 값을 적용한 눈썹 자극물을 제작하여 섹시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객관적 신뢰도를 높이는 연구의 필요성을 갖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ck, G. (2013). The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ethods of Modification Make-up according to facial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2. Cho, M., &Park, K. (2013). The Study of Baby Face Make-up Changing Eyebrows with Point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3), 437-447 

  3. Ha, S., &Cho, K., &Kim, C. (2005). The Optical Illusion Effect of Line Applied to Eyebrow Make-up, Journal of Fashion Business, 9(2), 28-39 

  4. Jang, Y. (2006). A Study on the mage Make-up design for Making Better Looks - Centering around the facial for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Seoul, Korea 

  5. Jo, S. (2013). A Study on Semi-permanent Special Make-up Technique for Effective Eyebrow Corr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6. Kang, E. (2003). The Influence of the Eyebrow Make-up on Facial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gsung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B, Park, Byun, Cha, and Heo. (2010). Understanding of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Seoul: Gyeongmunsa 

  8. Kim, J. [Jiyang]., &Yim., &Chun. (2013).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image and media involvemen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2), 164-178 

  9. Kim, J. [JiYoung]., & Kan, H. (2004). Study on image of Femme Fatale represnted on Costumes in the Movie ‘Chicago’. Journal of Fashion Business, 8(1), 16-33 

  10. Kim, Y. [Younhyee]. (2004). A Study on the Face Image through the Eyebrow Make-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Y. [Yeaseong]., & Kim, S. (2008). A Study on the Facial shapes and the Eyebrow Make-up, Journal of the Korea Soc. Beauty and Art, 9(3), 77-92 

  12. Kim, Y. [Youngsuk]. (2011). A Study on Make-up Image and Color Preferred by Men of 20s-3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5(3), 55-66 

  13. Lee, K., &Kim, J. (2006). Influence of physiognomic Correction Makeup on Facial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4(1), 19-27 

  14. Lee, H. (2009). A Study on the shape of eye brows affecting the visual image of f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J. [Jaeyun].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image makeking according to gen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J. [Jungeun]. (2003). The Study on Image Presentation by Eye Make-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17. Park, J. (2012). A Mathematical Analysis of Eyebrow Make-up Design ,Kor. J. Aesthet. Cosvetol, 10(3), 463-468 

  18. Yang, J. (2010). A Study on Image Perception of Suitable Makeup Technique and Hair Style in Six Types Fa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Seoul, Korea 

  19. Yu, H. (2008). A Study on the Image Makeup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