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이언트마늘을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시킬 시에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강되는 유효성분을 측정하여 기존의 일반마늘 및 이를 숙성시킨 일반흑마늘과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자이언트마늘에서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 수분은 감소하였으며 회분, 조단백, 조지방은 증가하였고, 일반마늘에서 일반흑마늘로 숙성 후에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pH는 숙성 후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숙성 후 증가했지만 자이언트흑마늘과 일반흑마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환원당의 경향도 유사하였다. 총 피루브산의 함량은 숙성 후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구성 아미노산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histidine, lysine, argin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 많게는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숙성 후 총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비율이 더 높았다.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arginine, cysteine, lysine, phosphoethanolamine, urea를 제외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taurine, phosphoethanolamine, ${\beta}$-alanine, ethanolamine이 신규 생성 되었다. 무기질의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구리, 철, 마그네슘, 나트륨이 증가하였다. S-Allyl-L-cysteine의 함량은 자이언트흑마늘이 자이언트마늘에 비해 약 4배 증가했으며 일반흑마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Allylmercaptocysteine도 마찬가지로 숙성시에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이언트마늘의 가공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rlic has been consumed for a long time as a food in Korea. Among commercial garlic products, aged black garlic is known to contain bioactive ingredients. Giant garlic is large garlic with a mild and sweet flavor.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bioactive effects of giant garlic.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자이언트마늘을 숙성시킨 자이언트흑마늘을 섭취함으로써 자이언트마늘과 흑마늘의 장점이 접목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이언트마늘을 흑마늘로 숙성시킬 시에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강되는 유효성분을 측정하여 기존의 일반마늘 및 이를 숙성시킨 일반흑마늘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자이언트마늘의 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Different letters (a-c) with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 3)Different letters (a-d) with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자이언트마늘은 어느 지역에서 재배되는가? 미국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자이언트마늘은 캘리포니아, 유럽, 태국, 그리스, 이집트, 이란 등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미국의 농산물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특히 태국에서 요리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14,16).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영광, 부안, 서산, 의성, 군위 등의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성분은 생산지나 재배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연구된 바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그밖에 Ca, P, Fe 등의 무기질과 SAC, SMC 등의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17).
마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마늘(Allium sativum L.)은 백합과(Liliaceae)의 파 속 (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지방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인도, 미국 및 남부 유럽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1). 사람들이 마늘을 오랜 기간 섭취해오면서 마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로써 항암, 항균, 노화 방지 및 항산화, 항혈전성, 혈압 강하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되었다(2).
마늘의 입증된 생리활성은 무엇인가? )은 백합과(Liliaceae)의 파 속 (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지방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인도, 미국 및 남부 유럽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1). 사람들이 마늘을 오랜 기간 섭취해오면서 마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로써 항암, 항균, 노화 방지 및 항산화, 항혈전성, 혈압 강하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되었다(2). 이에 따라 마늘은 향신료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의 소재로 이용되며 우리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식품으로 자리잡아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hin DB, Seog HM, Kim JH, Lee YC. 1999.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93-300. 

  2. Beak KH, Kim SS, Tak SB, Kang BS, Kim DH, Lee YC.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 suspensions using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Korean J Food Preserv 12: 351-356. 

  3. Lee JM, Cha TY, Kim SH, Kwon TK, Kwon JH, Lee SH. 2007.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98-1204. 

  4. Hwang JB, Ha JH, Park WS, Lee YC. 2004. Changes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The output of condiment vegetable.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F#SubCont (accessed Jun 2015). 

  6. You BR, Kim HR, Kim MJ, Kim MR.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black garlic and lab-prepared fermented and aged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66-371. 

  7. Lawson LD. 1998. Garlic; a review of its medicinal effects and indicated active compounds. In Phytomedicines of Europe: 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y. Lawson LD, Bauer R,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176-209. 

  8. Shin JH, Lee HG, Kang MJ, Lee SJ, Sung N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33-940. 

  9. Shin JG, Choi DJ, Lee SJ, Cha JY, Kim JG,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Life Sci 18: 1123-1131. 

  10. Nakagawa S, Kasuga S, Matsuura H. 1989. Prevention of liver damage by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mponents in mice. Phytotherapy Res 3: 50-53. 

  11. Chae HJ, Park DI, Lee SC, Oh CH, Oh NS, Kim DC, Won SI, In MJ. 2011. Improv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by enzyme treatment and lactic acid bacteria cultivation in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60-664. 

  12. Brewster JL. 2008. Onions and other vegetable alliums. CABI, Wallingford, UK. p 16-18. 

  13. Guenaoui C, Mang S, Figliuolo G, Neffati M. 2013. Diversity in Allium ampeloprasum: From small and wild to large and cultivated. Genet Resour Crop Evol 60: 97-114. 

  14. Rattanachaikunsopon P, Phumkhachorn P.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elephant garlic oil against Vibrio cholerae in vitro and in a food model.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1623-1627. 

  15. Lu X, Ross CF, Powers JR, Aston DE, Rasco BA. 2011.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and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ed infrared spectroscopy. J Agric Food Chem 59: 5215-5221. 

  16. Fritsch RM, Friesen N. 2002. Evolution, domestication and taxonomy. In Allium Crop Science: Recent Advances. Rabinowitch HD, Currah L, ed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p 5-30. 

  17. Rabinowitch HD, Brewster JL. 1989. Onions and allied crops: biochemistry food science minor crop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20-22. 

  18. Gantait S, Mandal N, Das PK. 2010. Field evaluation of micropropagated vs. conventionally propagated elephant garlic. J Agricultural Technology 7: 97-103. 

  19. Lee JS, Kim IJ, Youn CK, Ahn KS, Kim KH, Nam SY. 2013. Effect of sow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var. ampeloprasum) in the middle regio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31(Suppl 2): 51. 

  20. Lee SJ, Kim IJ, Youn CK, Ahn KS, Kim KH, Nam SY, Kim HS. 2013. Compares of characteristics in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var. ampeloprasum) and northern type garlic.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ermented Oriental Medicines (ISOF2013) & 2013 Fall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Wonju, Korea. p 61. 

  21. Hirschegger P, Galmarini C, Bohanec B. 2006. Characterization of a novel form of fertile great headed garlic (Allium sp.). Plant Breeding 125: 635-637. 

  22. Block E, Naganathan S, Putman D, Zhao SH. 1992. Allium chemistry: HPLC analysis of thiosulfinates from onion, garlic, wild garlic (ramsoms), leek, scallion, shallot, elephant (great-headed) garlic, chive, and Chinese chive. Uniquely high allyl to methyl ratios in some garlic samples. J Agric Food Chem 40: 2418-2430. 

  2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77-788. 

  24. Kim JY, Lee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25. Me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6. Schwimmer S, Weston WJ. 1961. Onion flavor and odor, enzymatic development of pyruvic acid in onion as measure of pungency. J Agric Food Chem 9: 301-304. 

  27.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28. Shin JH, Choi DJ, Chung MJ, Kang MJ,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ged garlic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74-1181. 

  29. Kim MS, Kim MJ, Bang WS, Kim KS, Park SS. 2012. Determination of S-allyl-L-cysteine, diallyl disulfide, and total amino acids of black garlic after spontaneous shortterm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61-665. 

  30. Park KY. 2012.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fermented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7(1): 1-8. 

  31. Stoll A,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s on alliin, 1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 Enzymol Relat Subj Biochem 11: 377-400. 

  32. Jeon SY, Baek JH, Jeong EJ, Cha YJ. 2012.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gar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6-122. 

  33. Lee JW, Ko HR, Shim KH. 1998.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Korean J Food & Nutr 11: 499-505. 

  34. Kang MJ, Yoon HS, Jeong SH, Sung N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d garlic of during processing. Korean J Food Preserv 18: 898-906. 

  35. Kim HK, Jo KS, Min BY. 1985.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method in garlic, pepper and onions products. Food Research Business Report, Agriculture & Fishery Development Corporation, Gyeonggi, Korea. 

  36. Schwimmer S, Guadagni DG. 1961. Relation between olfactory threshold concentration and pyruvic acid content of onion juice. J Food Sci 27: 94-97. 

  37. Lee HY. 2001. Effects of pyruvate and carnitine supplementation on blood fatigue factors and lipid components during prolonged exercis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8. Kim HY, Kim IH, Nam TJ. 2009.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essential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J Life Sci 19: 1591-1597. 

  39. Lee YM. 2000. The effect of dietary taurine supplementation on plasma glucose, plasma and liver lipid concentration, and plasma and urinary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diabetic rat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40. Park YH. 2014. Effects of 4 weeks of ${\beta}$ -alanine supplementation 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1. Kim EA, Mann SY, Kim SI, Lee GY, Hwang DY, Son HJ, Lee CY, Kim DS. 201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ycurd forming lactic acid bacteria which produce GABA from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20: 705-711. 

  42. So DY. 2013. Study on components by cultivars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solution by maturation condition in Prunus mume.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43.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ivum L.). Korean J Food Preserv 12: 161-165. 

  44. Tak HM, Kim GM, Kim JS, Hwang CR, Kang MJ, Shin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black garlic with probiotics. J Life Sci 24: 549-557. 

  45. Kodera Y, Suzuki A, Imada O, Kasuga S, Sumioka I, Kanezawa A, Taru N, Fujikawa M, Nagae S, Masamoto K, Maeshige K, Ono K. 2002.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s-allylcysteine, an amino acid derived from garlic. J Agric Food Chem 50: 622-632. 

  46. Sin DB. 2011. Changes in biological sulfur compounds in garlic and chromatographic methods in their analysis. Bulletin of Food Technology 24: 2-17. 

  47. Yang ST. 2013. Inhibitory effects of S-allylmercaptocysteine derived from aged garlic o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hepatocytes. J Fd Hyg Safety 28: 8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