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 저장 중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혼합 살균제재와 항균성 얼음 병합처리 효과
Combined Effects of Sanitizer Mixture and Antimicrobial Ice for Improving Microbial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1, 2015년, pp.1715 - 1724  

최은지 (세계김치연구소 신공정발효연구단) ,  정영배 (세계김치연구소 신공정발효연구단) ,  한애리 (세계김치연구소 신공정발효연구단) ,  천호현 (세계김치연구소 신공정발효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따른 품질유지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해 혼합 살균제재(50 ppm 이산화염소수+0.5% citric acid) 세척처리와 항균성 얼음(20 ppm 이산화염소수) 냉온살균기술을 병합하여 저장 중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혼합 살균제재 세척 처리된 절임배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총 호기성 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 그리고 젖산균 수가 2.20, 0.38, 1.28과 0.75 log CFU/g 각각 감소하였다. 저장온도 $10^{\circ}C$와 비교하여 $4^{\circ}C$ 저온 저장에서 혼합 살균제재 세척/항균성 얼음 처리에 의한 미생물 감균 효과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보였으며, pH 감소와 적정산도 증가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절임배추의 염도, 경도, 색도의 결과에 있어서 저장 중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혼합 살균제재 처리는 절임배추의 초기 미생물 오염농도를 감소시키고 항균성 얼음처리와 $4^{\circ}C$ 저온 저장은 저장 중 미생물 생육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유지 및 shelf life 연장을 위한 효과적인 hurdle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bined effects of a sanitizer mixture solution and antimicrobial ice on the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s were examined. Salted Chinese cabbages were treated with a sanitizer mixture (comprised 50 ppm aqueous $ClO_2$ and 0.5% citric acid), packed in 2% brine and antimicrobia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 ppm 이산화염소와 0.5% citric acid를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여 절임배추를 세척하고 20 ppm 이산화염소수로 제조한 항균성 얼음과 저온 저장방법을 병합함으로써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 및 저장성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따른 품질 유지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해 혼합 살균제재(50 ppm 이산화염소수+0.5% citric acid) 세척처리와 항균성 얼음(20 ppm 이산화염소수) 냉온살균기술을 병합하여 저장 중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혼합 살균제재 세척 처리된 절임배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총 호기성 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 그리고 젖산균 수가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한국 고유의 전통식품인 김치는 염수를 이용하여 절인 배추나 무를 각종 부재료와 양념 혼합공정을 거쳐 그대로 또는 발효시켜 가공한 것으로 국민 1인당 1일 평균 약 65 g을 섭취하는 다소비 식품이다(1,2). 또한 배추 등 채소가 주원료이므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에서 각종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을 골고루 제공하는 부식으로서 정장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와 면역조절 등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다(3,4).
전처리 가공된 절임배추의 장점은? 하지만 광범위한 도시화와 여성의 사회활동 확대로 맞벌이 가구 및 단체급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구조가 변화하면서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상품 김치 및 절임배추의 구입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5).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전처리 가공된 절임배추는 일반 소비자뿐 아니라 단체급식소와 김치 제조업체에서 이용함으로써 편의성 제공, 원재료의 저장비용 절감, 노동인력 및 시간 단축 등 장점을 갖는다(6). 또한 배추의 저장방법 개선에 따른 수급안정화를 위해 절임배추로 제조하여 저장 및 유통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6,7).
김치의 특징과 효능은? 한국 고유의 전통식품인 김치는 염수를 이용하여 절인 배추나 무를 각종 부재료와 양념 혼합공정을 거쳐 그대로 또는 발효시켜 가공한 것으로 국민 1인당 1일 평균 약 65 g을 섭취하는 다소비 식품이다(1,2). 또한 배추 등 채소가 주원료이므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에서 각종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을 골고루 제공하는 부식으로서 정장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와 면역조절 등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 JL, Oh CK, Oh MC, Kim SH.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32-741. 

  2. Yu DJ, Shin YJ, Kim HJ, Song HJ, Lee JH, Jang SA, Jeon SJ, Hong ST, Kim SJ, Song KB. 2011. Microbial inactivation in kimchi saline water using microwave plasma sterilization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3-127. 

  3.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17-1726. 

  4. Lee SY, Song YO, Han ES, Han JS. 2012.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kimchi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51-361. 

  5. Cha SM, Han GJ, Lee SR, Park YH. 2010. A study on the use of salted cabbage and the purchasing promotion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Food Culture 25: 198-206. 

  6. Kim YW, Jeong JK, Lee SM, Kang SA, Lee DS, Kim SH, Park KY. 2009. Effect of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film on extension of shelf-life of brined Baechu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67-1772. 

  7. Lee KH. 2008.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nitation of chinese cabbage and salted Chinese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96. 

  8. Park SS, Sung JM, Jeong JW, Park KJ, Lim JH. 2013.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s with electrolyzed water washing and a low storage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15-620. 

  9. Kingsley DH, Vincent EM, Meade GK, Watson CL, Fan X. 2014. Inactivation of human norovirus using chemical sanitizers. Int J Food Microbiol 171: 94-99. 

  10. Gomez-Lopez VM, Lannoo AS, Gil MI, Allende A. 2014. Minimum free chlorine residual level required for the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trihalomethane generation during dynamic washing of fresh-cut spinach. Food Control 42: 132-138. 

  11. Bermudez-Aguirre D, Barbosa-Canovas GV. 2013. Disinfection of selected vegetables under nonthermal treatments: Chlorine, acid citric, ultraviolet light and ozone. Food Control 29: 82-90. 

  12. Park SS, Sung JM, Jeong JW, Park KJ, Lim JH. 2006.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40-246. 

  13. Singh N, Singh RK, Bhunia AK, Stroshine RL. 2002.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ozone, and thyme essential oil or a sequential washing in killing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and baby carrots. LWT-Food Sci Technol 35: 720-729. 

  14. Kim JY, Kim HJ, Lim GO, Jang SA, Song KB. 2010.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ultraviolet-C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strawberry fruit “Flamengo”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8-145. 

  15. Song HJ, Chun HH, Jo WS, Song KB. 2012.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V-C irradiation on decontamination and growth of microbes during storage of celery and cherr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02-407. 

  16. Shin JH, Chang S, Kang DH. 2004. Application of antimicrobial ice for reduction of foodborne pathogen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on the surface of fish. J Appl Microbiol 97: 916-922. 

  17. Lee YD, Yoo HL, Park JH. 2013. Biocontrol of biofilmforming Bacillus cereus by using organic acid, ethanol, and sodium chlorid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120-125. 

  18. Kim SA, Rhee MS. 2015. Synergistic antimicrobial activity of caprylic acid in combination with citric acid against both Escherichia coli O157:H7 and indigenous microflora in carrot juice. Food Microbiol 49: 166-172. 

  19. Li J, Lin T, Lu Q, Wang JJ, Liao C, Pan Y, Zhao Y. 201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actericidal efficien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ice and available chlorine decay kinetics during storage. LWT-Food Sci Technol 59: 43-48. 

  20. Wang JJ, Lin T, Li JB, Liao C, Pan YJ, Zhao Y. 2014. Effect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ice on quality of shrimp in dark condition. Food Control 35: 207-212. 

  21. Rey MS, Miranda JM, Aubourg S, Barros-Velazquez J. 2012. Improved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of clams (Venerupis rhomboideus), oysters (Ostrea edulis) and mussels (Mytilus galloprovincialis) by refrigeration in a slurry ice packaging system. Int J Food Sci Technol 47: 861-869. 

  22. Feliciano L, Lee J, Lopes JA, Pascall MA. 2010. Efficacy of sanitized ice in reducing bacterial load on fish fillet and in the water collected from the melted ice. J Food Sci 75: M231-M237. 

  23. Lee SW, Cho SR, Han SH, Rhee C. 2009. Effects of the low temperature and low salt solu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 Nutr 22: 377-386. 

  24. Han GJ, Choi HS, Lee SM, Lee EJ, Park SE, Park KY. 2011.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115. 

  25. Chang SK, Lee HH, Hong SI, Han YS. 2010. Effect of organic acid treatment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buckwheat spro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90-197. 

  26. Jung SH, Park SJ, Chun HH, Song KB. 2014.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fumaric acid on the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paprika (Capsicum annuum L.). J Appl Biol Chem 57: 83-87. 

  27.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Method 4-54. 

  28. Yang H, Zheng J, Huang C, Zhao X, Chen H, Sun Z. 2015. Effects of combined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hitosan coatings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maintenance of fresh-cut bamboo shoots (Phyllostachys praecox f. prevernalis.) during storage. Food Bioprocess Technol 8: 1011-1019. 

  29. Jin HH, Lee SY. 2007. Combined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inhibiting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mungbean sprouts. J Food Sci 72: M441-M445. 

  30. Park KJ, Lim JH, Kim BK, Kim JC, Jeong JW, Jeong SW. 2008.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on redu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prouting radish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 754-759. 

  31. Jeong JK, Park SE, Lee SM, Choi HS, Kim SH, Park KY. 2011. Quality changes of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with low temperature stored baechu cabb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479. 

  32. Oh YA, Kim SD. 1997.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04-410. 

  33. Lee CH, Hwang IJ, Kim JK. 1988. Macro- 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42-748. 

  34. Kim HJ, Song HJ, Song KB. 2011.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with ultraviolet-C on the quality of red chicory and pak choi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45-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