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환자 중증도 분류에 있어 병원전단계와 병원단계의 RTS (Revised trauma score) 비교
Comparison Prehospital RTS (Revised trauma score) with Hospital RTS in Trauma Severity Assess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8 no.3, 2015년, pp.177 - 181  

이승엽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응급의학과) ,  전영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응급의학과) ,  한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sessment of the trauma severity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of trauma patients. But we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in assess the severity because of scarcity of current first-aid records resources. Methods: We presumed that Applying the Revised trauma score which consist of vit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구급 일지 상의 평가만으로 외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구급대원이 중증외상을 초기에 인지하지 않아 중증 외상 세부사항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병원 전단계 중증도를 판단을 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현장에서 구급대원이 작성한 구급일지를 바탕으로 병원에서 의료진이 평가한 내용과의 일치도를 평가하여 구급대원의 분류 적절성을 판단하고, 글라스고우 코마 스케일(이하 GCS) 와 revised trauma score(이하 RTS)를 사용하는 새로운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병원 전단계에서의 외상치료체계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대원은 외상환자를 무엇에 따라 분류하는가? 구급대원은 이송하는 모든 외상환자에 대해“구급대원 현장처치 표준지침”에 따라 의식상태, 동공반응, 활력징후, 신체검사 소견, 손상기전으로 현장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병원 도착 직후 응급의학과 의사가 동일한 내용으로 환자를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RTS는 구급단계 및 병원단계에서 평가한 GCS,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이하 SBP) 및 호흡수(Respiratory Rate, 이하 RR)의 신체이학적 지수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구급대원 현장처치 표준지침은 무엇을 기반으로 하는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구급 단계 환자 평가는 2011년 처음으로 제정된“구급대원 현장처치 표준지침”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는 구급일지 상 의식상태, 동공반응, 생체징후로 이루어지고, 또한 중증 외상의 경우 중증 외상 세부 사항표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침은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서 2011년에 제안한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 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 지침은 기존의 연구결과 및 전문가 합의에 의해 생리학적 기준, 신체검사 소견, 손상 기전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의학적 질병 상태 및 특수 상황을 고려하는 4단계 분류에 해당하는 각 항목을 제시한 것이다.(5) 하지만 이러한 평가만으로 외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구급대원이 중증외상을 초기에 인지하지 않아 중증 외상 세부사항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병원전단계 중증도를 판단하기 어렵다.
RTS는 무엇을 근거로 계산하는가? 구급대원은 이송하는 모든 외상환자에 대해“구급대원 현장처치 표준지침”에 따라 의식상태, 동공반응, 활력징후, 신체검사 소견, 손상기전으로 현장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병원 도착 직후 응급의학과 의사가 동일한 내용으로 환자를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RTS는 구급단계 및 병원단계에서 평가한 GCS,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이하 SBP) 및 호흡수(Respiratory Rate, 이하 RR)의 신체이학적 지수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Evans J, Wessem KJP, McDougall D, Lee K, Lyons T, Balough ZJ. Epidemiology of traumatic deaths: comprehensive population-based assessment. World J Surg 2010; 34: 158-63. 

  2. McCoy CE, Chakravarthy B, Lotfipour S.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s: In conjunction with the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published by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st J Emerg Med 2013;14: 69-76. 

  3. CHAMPION HR, Sacco WJ, Copes WS, Gann DS, Gennarelli TA, Flanagan ME. A Revision of the Trauma Score. J Trauma 1989; 29: 623-9. 

  4. Baker SP, O'Neill BW jr.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J Trauma 1974; 14: 187-96. 

  5. Sasser SM, Hunt RC, Faul M, Sugerman D, Pearson WS, Dulski T, et al.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s: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Expert Panel on Field Triage, 2011. MMWR Recomm Rep 2012; 61(RR-1): 1-20. 

  6. Kim DK, Hong KJ, Noh H, Hong WP, Kim YJ, Shin SD, et al. Measure of agreement between prehospital EMS personnel and hospital staffs using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s. J Trauma Inj 2014; 27: 126-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