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장 중 극미량 납 분석을 위한 ICP-MS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ICP-MS method for trace level analysis of Pb in plasma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8 no.5, 2015년, pp.309 - 316  

이성배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  김용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  이용훈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  안병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  김남수 (순천향대학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  이병국 (충주의료원 건강관리과) ,  신호상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ICP-MS의 혈장 중 극미량의 납 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Class 1,000 이내의 환경조건을 확보한 후 특이성, 일내 및 일간 정확도, 정밀도, 검정곡선 등을 확인하였다. 청정실의 부유 분진량을 측정한 결과, 0.3 µm 크기는 0.3~62개, 0.5 µm 크기는 0.0~28.3 개로 총 부유분진량이 최대 90.3개로 요구 환경에 부합하였다. 우태아 혈청 공시료로 조제한 시료의 MDL (Method detection limit)은 1.77 ng/L이고, LOQ (Limit of quantification)값은 5.55 ng/L 이었다. 검정곡선은 y=1.09×10−3 x+4.88×10−2이었고, 상관계수 r=0.9999이었다. 분석법 확립을 위한 특이성, 일내 및 일간 정확성, 정밀성, 그리고 검정곡선을 확인한 결과 50 ng/L 이상에서 분석법 확인 기준에 적합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석한 일반인의 혈장 중 납 농도 평균은 55.4 ng/L 이었으며, 현직 근로자는 440 ng/L 이었고, 퇴직 근로자는 132 ng/L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alytical method of lead in plasma by ICP-MS was validated after securing environment within class 1,000 classification. We tested specificity and accuracy of within-run and between-run. According to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suspended particulates in a clean room, 0.3~62 particles were d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ICP-MS를 활용하기 위하여 청정실 환경 조건에서 혈장 또는 혈청 중의 납 분석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혈장 중 납의 극미량 분석법 확립을 위하여 필요한 환경조건을 갖춘 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분석방법은 사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높은 감도, 낮은 정량한계, 우수한 직선성, 일내 재현성과 일간 재현성은 4% 이하로 기준 값 이내로 정밀성이 확인되었고 정확성도 우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 K. Lee, J. J. Kim, K. H. Woo and H. S. Kim, Health Car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Annual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2. 

  2. H. Hu, M. Rabinowitz and D. Smith, Environ. Health Perspect., 106(1), 1-8 (1998). 

  3. R. Cornelis, B. Heinzow, R. F. M. Herber, J. Molin Christensen, O. M. Paulsen, E. Sabbioni, D. M. Templeton, Y. Thomassen, M. Vahter, and O. Vesterberg, Pure & Appl. Chem., 67 (Nos 8/9), 1575-1608 (1995). 

  4. J.-W. Choi, N.-S. Kim, K.-S. Cho, J.-O Ham and B.-K. Lee, J. Korea Soc. Occup. Environ. Hyg., 20(1), 10-18 (2010). 

  5.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http://eip.kosha.or.kr/jsp/Main.jsp?OnOPEN, Assessed 29 Oct 2014. 

  6. M. M. Telléz-Rojo, M. Hernández-Avila,H. Lamadridfigueroa, D. Smith, L. Hernández-Cadena, A. Mercado, A. Aro, J. Schwartz and H. Hu, American J. Epidemiology, 160, 668-678 (2004). 

  7. F. Barbosa Jr., I. Ramires, M. H. C. Rodrigues, T. D. Saint’ Pierre, A. J. Curtius, M. R. Buzalaf, R. F. Gerlach and J. E. Tanus-Santos, Environ. Res., 102, 90-95 (2006). 

  8. M. Hernández-Avila, D. Smith, F. Meneses, R et al., Environ. Health Perspect., 106(8), 473-477 (1998). 

  9. F. J. Roberts, L. Ebdon and S. J. Hill, J. Trace Elements Med. Biol. 14, 108-115 (2000). 

  10. S. S. Choi, and S. H. Lee, J. Korean Soc. Environ. Adm., 8(4), 331-337 (2002). 

  11. G. R. C. Almeida, C. F. Freitas Tavares, A. M. Souza, T. S. Sousa, C. A. R. Funayama, F. Barbosa Jr., J. E. Tanus-Santos and R. F. Gerlach, Sci. Total Environ., 408, 1551-1556 (2010). 

  12. G. A. K. Koyashiki, M. M. B. Paoliello, T. Matsuo, M. M. B. Oliveira, L. Mezzaroba, M. Fátima Carvalho, A. M. Sakuma, C. Turini, M. T. O. Vannuchi, and C. S. D. Barbosa, Environ. Res., 110, 265-271 (2010). 

  13. S.-B. Lee, J.-S. Yang, S.-B. Choi and H.-S. Shin, Anal. Sci. Technol., 25(3), 190-196 (2012). 

  14. S.-B. Lee, J.-S. Yang, S.-B. Choi, N.-S. Kim, B.-K. Lee and H.-S. Shin,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3(2), 65-74 (2013). 

  15. M. F. Montenegro, F. Barbosa Jr., V. C. Sandrim, R. F. Gerlach, J. E. Tanus-Santos, Arch Toxicol., 80, 394-398 (2006). 

  16. V. B. Rezende, J. H. Amaral, R. F. Gerlach, F. barbosa Jr., and J. E. Tanus-Santos, J. Trace Elem. Med. Biol., 24, 147-151 (2010). 

  17. K. S. Park and S. T. Kim, Anal. Sci. Technol., 10(4), 240-245 (1997). 

  18. F. Barbosa Jr., J. E. Tanus-Santos, R. F. Gerhach and P. J. Parsons, Environ. Health Perspect., 113(12), 1669-1674 (2005).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 for the Validation of Bioanalytical Method, 2010. 

  20. I. A. Bergdahl, L. Gerhardsson, I. E. Liljelind, L Nilsson and S. Skerfving, Am. J. Ind. Med., 49, 93-101 (2006). 

  21. N.-S. Kim, J.-H. Kim, B.-K. Jang, H.-S. Kim, K.-D. Ahn and B.-K. Le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7(1), 43-52 (2007). 

  22. M. F. Montenegro, F. Barbosa Jr, V. C. Sandrim, R. F. Gerlach and J. E. Tanus-Santos, Arch Toxicol., 80, 394-398 (2006). 

  23. C. D. Palmer, M. E. Lewis Jr., C. M. Geraghty, F. Barbosa Jr., and P. J. Parsons, Spectrochim. Acta B, 61, 980-990 (2006). 

  24. N.-S. Kim, K-S. Jung and B.-K. Le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1(4), 193-200 (2011). 

  25. K. S. Park and S. T. Kim, Anal. Sci. Technol., 10(4), 240-245 (1997). 

  26. D. Smith, M. Hernandez-Avila, M. M. Téllez Rojo, A. Merado and H. Hu, Environ. Health Perspect., 110(3), 263-268 (2002). 

  27. J. A. Nunes, B. L. Batista, J. L. Rodrigues, N. M. Caldas, J. A. Neto, and F. Barbosa Jr, J. Toxicol. Environ. Health A,. 73(13-14), 878-887 (2010). 

  28. G. R. Almeida, C. F. Freitas Tavares, A. M. Souza, T. S. Sousa, C. A. R. Funayma, F. Barbosa Jr, J. E. TnusSantos, and R. F. Gerlach, Sci. Total Environ., 408, 1551-1556 (2010). 

  29. E. Bárány, I. A. Bergdahl, L.-E. Bratteby, T. Lundh, G. Samuelson, A. Schütz, S. Skerfving and A. Oskarsson, Sci. Total Environ., 286, 129-141 (2002). 

  30. A. Schütz, I. A. Bergdahl, A. Ekhom and S. Skerfving, Occup. Environ. Med., 53, 736-740 (1996). 

  31. I. A. Bergdahl, A. Schütz, L. Gerhardsson, A. Jensen and S. Skerfving,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3(5), 359-363 (1997). 

  32. I. A. Bergdahl, M. Vahter, S. A. Counter, A. Schütz, L. H. Buchanan, F. Ortega, G. Laurell and S. Skerfving, Environ. Res. Sect. A, 80, 25-3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