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비만 성인에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Change 10 Habits' 개인별 영양교육의 효과
Effects of Customized Nutritional Education 'Change 10 Habits' Program According to Stage of Behavior Change in Mildly Obese Adul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1 no.3, 2015년, pp.215 - 226  

김보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임현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increasing worldwide and has become a serious epidemic health problem. We developed the 'Change 10 Habits'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obesity treatment and dietary guidelines and examined its effects on customized nutrition education in mildly obese adults. The stud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비만(25kg/m2≤BMI<30kg/m2) 성인의 체중감소를 위한 실천 중심의 10가지 간단한 메시지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개인별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식행동 및 생활습관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태도 및 식행동을 확립하는데 실천적인 면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비만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난 빠른 식사속도, 짧은 식사시간, 간식과 야식 선호, 과잉섭취, 식사의 불규칙성 등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요법에 기반한 실천적인 내용으로 교육을 구성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범이론적 모델의 행동변화단계를 적용하여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단계별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생활 속에서 건강생활실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Change 10 Habits’을 개발하고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 30kg/m2 미만인 경도비만 성인 87명을 대상으로 행동변화단계에 맞는 영양교육을 12주간 실시하여 식행동 및 생활습관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도비만 성인에서 실천 중심의 영양교육, 행동변화단계에 맞는 단계별 영양교육이 대상자의 식행동 및 생활습관 향상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만 교육 시 행동변화단계를 평가하고 각 개인의 단계에 따른 순응도를 고려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천적인 측면을 강조한 ‘Change 10 Habits’ 이용하여 자발적인 건강생활실천 참여를 통해 행동변화가 일어났고 장기적으로 진행하였을 경우 긍정적인 생활습관을 확립시키고 나아가 체중감소와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실천 중심의 간단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식사 및 생활습관을 변화,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떠올려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국외 지침 등을 참고하여 숫자 1∼10번호와 연관 지어 10개 항목을 선정한 후 이를 ‘Change 10 Habits’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비만의 범위는? 본 연구는 만 20세 이상에서 60세 미만의 한국성인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12월까지 대상자모집 공고문을 의료기관, 다이어트 정보 홈페이지 등에 게시하여 공개적으로 모집하였다. 대상자는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경도비만에 해당하는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 30kg/m2 미만인 자를 선정하였다. 질환을 진단받은 자(고혈압, 당뇨, 심장, 신장, 간, 갑상선, 담낭, 통풍, 우울증, 정신질환자), 비만치료제 또는 체중조절 관련 약물(흡수저해제, 항우울제, 식욕억제제, 피임약, 스테로이드 제제, 여성 호르몬제)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연구 시작 전 30일 이내에 상업적인 비만프로그램에 참여 또는 다이어트 식품을 복용한 경우는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비만치료를 위해 첨가당이 함유된 식품과 음료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첨가당 및 가당음료의 섭취는 포만감이 낮고 섭취 후 다음 식사에서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열량보상(caloric compensation)이 일어나지 않아 총 에너지 섭취가 증가하게 되고 조직 내 체지방으로 전환되어 비만을 야기시킨다(Malik 등 2006). WHO에서는 첨가당이 함유된 식품과 음료의 섭취를 줄이고 총 에너지 섭취의 10% 이하로 줄일 것을 권고하였다.
기존 비만치료를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비만 치료로는 식사, 운동, 행동요법이 기본이 되며 단독요법으로 섭취열량을 제한하는 저열량 식이요법, 초저열량 식이요법(Niskanen 등 1996; Hellström등1997), 주 2∼3회, 1회 45∼60분 복합 운동프로그램(Lean 등 1996; Kwon 등 2012)을 실시하기도 하지만 식사, 운동, 행동요법을 병행한 다각적인 방법으로 구성된 지속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체중감소와 유지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Stunkard 198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국내에서도 다각적인 방법으로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있으나(Lee 등 2008; Choi 2009) 대부분의 연구가 지식 전달과 연구기간 내 열량 제한, 운동프로그램 진행으로 단기간의 일시적인 체중감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들은매주 각각의 주제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어 교육의 반복성이 떨어졌고 프로그램 중 포함된 운동, 식행동 및 생활습관 개선은 연구 종료 후 자발적인유지가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Epstein & Wing 1987; Choue 등 1995; Lee & Chang 2007). 따라서 단기간의 체중감소 효과가 아닌 장기적인 체중감소와 유지, 스스로 올바른 생활습관 확립을 위한 교육이 요구되며(Fitzwater 등 1991) 생활습관 변화를 통한 체중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Song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ndrade AM, Greene GW, Melanson KJ (2008): Eating slowly led to decreases in energy intake within meals in healthy women. J Am Diet Assoc 108(7):1186-1191 

  2. Arif AA, Rohrer JE (2005): Patterns of alcohol drin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obesity: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BMC Public Health 2005;5:126 

  3. Boschmann M, Steiniger J, Hille U, Tank J, Adams F, Sharma AM, Klaus S, Luft FC, Jordan J (2003): Water-induced thermogenesis. J Clin Endocrinol Metab 88(12):6015-6019 

  4. Cardinal BJ, Sachs ML (1996): Effects of mail-mediated, stage-matched exercise behavior change strategies on female adults' leisure-time exercise behavior. J Sports Med Phys Fitness 36(2):100-107 

  5. Choi MS (2009):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health and diet quality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42(1):48-58 

  6. Choue RW, Hong YJ, Lee HW, Lee SL (199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in weight management program. Korean J Obesity 4(1):23-32 

  7. Chow CK, Redfern J, Thiagalingam A, Jan S, Whittaker R, Hackett M, Graves N, Mooney J, Hillis GS (2012): Design and rationale of the tobacco, exercise and diet messages (TEXT ME) trial of a text message-based intervention for ongoing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eople with coronary diseas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rotocol. BMJ Open 2(1):e000606 

  8. Clark M, Hampson S, Avery L, Simpson R (2004): Effects of a brief tailored intervention on the process and predictors of lifestyle behaviour chang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Psychol Health Med 9(4):440-449 

  9. Colditz GA, Giovannucci E, Rimm EB, Stampfer MJ, Rosner B, Speizer FE, Gordis E, Willett WC (1991): Alcohol intake in relation to diet and obesity in women and men. Am J Clin Nutr 54(1):49-55 

  10. Cox KL, Burke V, Gorely TJ, Beilin LJ, Puddey IB (2003): Controlled comparison of retention and adherence in homevs center-initiated exercise interventions in women ages 40-65 years: The S.W.E.A.T. Study (sedentary women exercise adherence trial). Prev Med 36(1):17-29 

  11. Dennis EA, Dengo AL, Comber DL, Flack KD, Savla J, Davy KP, Davy BM (2010): Water consumption increases weight loss during a hypocaloric diet interven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besity (Silver Spring) 18(2):300-307 

  12. Epstein LH, Wing RR (1987): Behavioral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Psychol Bull 101(3):331-342 

  13. Fitzwater SL, Weinsier RL, Wooldridge NH, Birch R, Liu C, Bartolucci AA (1991): Evaluation of long-term weight changes after a multidisciplinary weight control program. J Am Diet Assoc 91(4):421-426, 429 

  14. Franklin VL, Waller A, Pagliari C, Greene SA (2006):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weet Talk, a text-messaging system to support young people with diabetes. Diabet Med 23(12):1332-1338 

  15. Gangwisch JE, Malaspina D, Boden-Albala B, Heymsfield SB (2005): Inadequate sleep as a risk factor for obesity: analyses of the NHANES I. Sleep 28(10):1289-1296 

  16. Gluck ME, Venti CA, Salbe AD, Krakoff J (2008): Nighttime eating: commonly observed and related to weight gain in an inpatient food intake study. Am J Clin Nutr 88(4):900-905 

  17. Haskell WL, Lee IM, Pate RR, Powell KE, Blair SN, Franklin BA, Macera CA, Heath GW, Thompson PD, Bauman A;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7):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6(9):1081-1093 

  18. Hellstrom L, Rossner S, Hagstrom-Toft E, Reynisdottir S (1997): Lipolytic catecholamine resistance linked to alpha 2-adrenoceptor sensitivity--a metabolic predictor of weight loss in obese subjec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1(4):314-320 

  19. Hollis JF, Gullion CM, Stevens VJ, Brantley PJ, Appel LJ, Ard JD, Champagne CM, Dalcin A, Erlinger TP, Funk K, Laferriere D, Lin PH, Loria CM, Samuel-Hodge C, Vollmer WM, Svetkey LP; Weight loss maintenance trial research group (2008): Weight loss during the intensive intervention phase of the weight-loss maintenance trial. Am J Prev Med 35(2):118-126 

  20. Johnson SS, Driskell MM, Johnson JL, Dyment SJ, Prochaska JO, Prochaska JM, Bourne L (2006): Transtheoretical model intervention for adherence to lipid-lowering drugs. Dis Manag 9(2):102-114 

  21. Joo NS, Kim BT (2007): Mobile phone short message service messaging for behaviour modification in a community-based weight control programme in Korea. J Telemed Telecare 13(8):416-420 

  22. Kausman R, Murphy M, O'Connor T, Schattner P (2003): Audit of a behaviour modification program for weight management. Aust Fam Physician 32(1-2):89-91 

  23. Kim MS, Choi MS, Kim KN (2007):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reducing and maintaining weight in obese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2(1): 80-89 

  24. Kim SH, Yu OK, Byun MS, Cha YS, Park TS (2014): Effects of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 age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Korean J Obes 23(2): 106-115 

  25.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Management of obesity 2012 recommenda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Seoul. pp.43-86 

  26. Kwon HJ, Sun SO, Hur S (2012):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severely obese women. J Korean Phys Educ Assoc Girls Women 26(2):1-13 

  27. Lean ME, Han TS, Deurenberg P (1996): Predicting body composition by densitometry from simpl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 J Clin Nutr 63(1):4-14 

  28. Lee JS, Park JS, Lee GH, Ko YS, Kim EK (2008): Effect of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and resting metabolic rate by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Diet Assoc 14(1):64-76 

  29. Lee SH, Chang N (2007):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habits and diet quality in the weight loss and weight gain groups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40(5): 463-474 

  30. Malik VS, Schulze MB, Hu FB (2006):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84(2):274-288 

  3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pp.1 

  3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Eating habits guide for weight managemen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pp.129-130 

  3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pp.50-51 

  34.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013): Australian dietary guidelines.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Australia. pp.61-63 

  35.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Drinking levels defined. Available from: http://www.niaaa.nih.gov/alcohol-health/overview-alcohol-consumption/moderatebinge-drinking. Accessed June 17, 2015 

  3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Bethesda. pp.11-14 

  37. National Sleep Foundation. How much sleep do we really need? Available from: http://sleepfoundation.org/how-sleepworks/how-much-sleep-do-we-really-need. Accessed June 17, 2015 

  38. Niskanen L, Uusitupa M, Sarlund H, Siitonen O, Paljarvi L, Laakso M (1996): The effects of weight loss on insulin sensitivity, skeletal muscle composition and capillary density in obese non-diabetic subjec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2):154-160 

  39. Patel SR, Ayas NT, Malhotra MR, White DP, Schernhammer ES, Speizer FE, Stampfer MJ, Hu FB (2004): A prospective study of sleep duration and mortality risk in women. Sleep 27(3):440-444 

  40. Pollard CM, Miller MR, Daly AM, Crouchley KE, O'Donoghue KJ, Lang AJ, Binns CW (2008):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success of the Western Australian Go for 2&5 campaign. Public Health Nutr 11(3):314-320 

  41. Rokholm B, Baker JL, Sorensen TI (2010): The levelling off of the obesity epidemic since the year 1999--a review of evidence and perspectives. Obes Rev 11(12):835-846 

  42. Rolls BJ, Ello-Martin JA, Tohill BC (2004): What can intervention studies tell u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weight management? Nutr Rev 62(1):1-17 

  43. Snyder LB (2007):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and their impact on behavior. J Nutr Educ Behav 39(2 Suppl):S32-S40 

  44. Song SJ, Ahn HS, Khil JM (2013): Comparison of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among male workers. J Nutr Health 46(3):276-284 

  45. Stunkard AJ (1987): Conservative treatments for obesity. Am J Clin Nutr 45(5):1142-1154 

  4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1-9 

  47.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USDA. Washington, DC. pp.1-54 

  48. Weyer C, Funahashi T, Tanaka S, Hotta K, Matsuzawa Y, Pratley RE, Tataranni PA (2001): Hypoadiponectinemia in obesity and type 2 diabetes: close association with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J Clin Endocrinol Metab 86(5):1930-1935 

  4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s 201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p.1-138 

  5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Guideline: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p.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