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당류 저감화 중재 프로그램의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효과 분석 : 일부 여대생 대상 연구
Mobile application-based dietary sugar intake reduction intervention study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 change in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5, 2019년, pp.488 - 500  

최윤정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현숙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에 거주하는 여대생 6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당류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중재효과를 분석 비교하였다. 하루 간식섭취횟수, 당류교육경험여부, 단맛에 대한 기호도에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당류에 관한 영양 지식 점수는 프로그램 중재 전에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이 고려전단계 대상자들에 비해 영양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프로그램 중재 후에는 고려전단계와 고려 준비단계에서 영양 지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고, 행동 유지단계도 점수가 상승하였지만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당류 섭취에 관한 식행동 점수는 프로그램 중재 전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이 고려전단계 대상자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의 점수가 모든 식행동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중재 후 모든 행동변화단계에서 당류 섭취에 관한 식행동 점수는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프로그램 중재 전 당류 섭취빈도는 음료류 중 '탄산음료', '과실주스'에서 고려 준비단계와 행동 유지단계에 따른 차이가 유의적이었고, 우유 및 유제품, 아이스크림 제품류 중 '액상 요구르트'는 고려전단계와 행동 유지단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행동 유지 단계에서는 '비스킷'과 '단맛씨리얼'을 제외한 모든 항목의 섭취 빈도가 고려전단계, 고려 준비단계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 프로그램 중재 후에는 고려전단계에서 '초콜릿', '머핀케익류', '액상 요구르트'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고려 준비단계에서는 '비스킷', '탄산음료', '과실주스', '가공우유'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섭취 빈도가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개선은 없었다. 당류 저감화를 실천하는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들에 비해 고려전, 고려준비 단계 대상자들은 영양지식, 식행동, 섭취빈도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었으나 모바일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에 의해 고려전, 고려준비단계에서 영양지식, 식행동, 섭취빈도가 개선되었다. 당류에 관한 쉽고 정확한 교육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식이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본 연구의 모바일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은 고려전, 고려준비단계에 있는 대상자들의 당류 저감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도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므로 당류 교육 참여가 어려운 청년층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연령층으로 확대가 가능하며 행동변화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적용한다면 당류 섭취 저감화에 효과적으로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앱 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에 건강 플랫폼에서 활용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기법을 사용하여 흥미가 추가되도록 보완하면, 수용성 및 지속가능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mobile app-based program to reduce the dietary sugar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behavioral change in dietary sugar reduc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monitor the dietary sugar intake after recor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행동은 영양 지식과는 다르게 단기적인 교육만으로는 즉각적인 개선이 어려우므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20,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인 교육이 아닌 카드 뉴스 등의 형식으로 읽기 쉽고 시각효과가 큰 내용의 영양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간편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앱기반 식이모니터링을 통한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의 중재가 식행동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당류 과잉섭취를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앱)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부 여대생을 대상으로 당류 저감화 중재효과를 행동 변화 단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당류 과잉섭취를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앱)기반 당류 저감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부 여대생을 대상으로 당류 저감화 중재효과를 행동 변화 단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선행연구에서 직장인은 서면 교육 자료를 이용한 당류 영양 교육을 가장 선호하였고 [12], 영양 교육 내용은 당과 건강, 그리고 당 저감화 방법을 선호하였다 [33].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선호하는 교육주제와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영양 교육 효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류의 과잉섭취가 초래하는 질병은 어떤것이 있는가? 당류의 과잉섭취는 비만,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1].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유리당 (Free sugar) 섭취 권고 수준을 섭취에너지의 10% 이내로 하였고 [2] 건강 위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5% 이내로 권고 하였다 [3].
첨가당 (Added sugar)이란?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하며 생활패턴 변화와 식생활 형태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어 가공식품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첨가당의 과잉섭취가 우려된다 [4]. 첨가당 (Added sugar)이란 식품 조리 및 가공 시에 첨가되는 당류로 설탕, 액상과당, 꿀, 시럽, 당밀, 물엿 등이 이에 속한다. 첨가당은 원재료 등을 통해 섭취되는 당과 구분하여 분석할 수 없으며, 대부분 조리 및 가공된 식품을 통해 섭취되므로 첨가당 섭취량은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으로 예측할 수 있다 [5].
모바일 교육은 접근성을 활용한 당류 섭취량 관리에 도움을 주는 방법은? 오늘날 모바일 환경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모바일 교육은 접근성이 높고 정확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7]. 또한, 식이모니터링은 실험 대상자가 섭취한 씁양소를 분석하며 음식을 얼마나 섭취하였는지 인지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18]. 따라서 식이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면 당류 섭취량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urphy SP, Johnson RK. The scientific basis of recent US guidance on sugars intake. Am J Clin Nutr 2003; 78(4): 827S-833S.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cited 2019 Jul 29].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ietphysicalactivity/publications/trs916/en/.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pens public consultation on draft sugars guidelin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9 Jul 29].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mediacentre/news/notes/2014/consultation-sugar-guideline/en/. 

  4. Lim YO, Kim YN. The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obesity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mall c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5): 705-714. 

  5. Yoon EK. Current status of Korean sugar intake and reduction policy. Food Ind Nutr 2018; 23(2): 10-13. 

  6. Charlton KE, Kolbe-Alexander TL, Nel JH. Micronutrient dilution associated with added sugar intake in elderly black South African women. Eur J Clin Nutr 2005; 59(9): 1030-1042. 

  7. Oh KS, Lee HJ, Hu SJ, Shin YW, Oh JM, Hwang KM, et al. A Study on the Dietary Pattern and intake of Potentially Hazardous Nutrients among Korean Adults. Cheongju: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7. 

  8. Lee HS, Kwon SO, Yon MY, Kim DH, Lee JY, Nam JW, et al.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9. Sigman-Grant M. Stages of change: a framework for nutrition interventions. Nutr Today 1996; 31(4): 162-170. 

  10. Mirmiran P, Azadbakht L, Azizi F. Dietary behaviour of Tehranian adolescents does not accord with their nutritional knowledge. Public Health Nutr 2007; 10(9): 897-901. 

  11. Contento I, Balch GI,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et al.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policy, programs,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1995; 27(6): 277-418. 

  12. Yoon JW. A study on office workers intake of the sweetened food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13. Shin EK, Doo YT. The sugars Intake through processed foods and its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6; 41(2): 85-97. 

  14. Jee YM. A study on sugar intak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15. Kim MH, Bae YJ, Yeon JY. Dietary behaviors and total sugar intake from snack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weet taste perception. Korean J Food Nutr 2016; 29(2): 267-274. 

  16. Lee YM, Bae YJ, Kim EY, Yeon JY, Kim MH, Kim MH, et al. Relationship between total sugar intake and obesity indices in female collegians. Korean J Nutr 2012; 45(1): 57-63. 

  17. Cho SK. Smartphones used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Multimed Assist Lang Learn 2009; 12(3): 211-228. 

  18. Wang DH, Kogashiwa M, Ohta S, Kira 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dietary assessment method: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camera with a mobile phone card attachment.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02; 48(6): 498-504. 

  19. Pem D, Jeewon R. Fruit and Vegetable Intake: Benefits and Progress of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s- Narrative Review Article. Iran J Public Health 2015; 44(10): 1309-1321. 

  20. Dunneram Y, Jeewon R. Healthy diet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a necessity of multilevel strategies or community responsibility. Health Promot Perspect 2015; 5(2): 116-127. 

  21. Lee JW, Lee HS, Chang N, Kim JM.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2009; 42(4): 338-349. 

  22. Sharma SV, Gernand AD, Day RS. Nutrition knowledge predicts eating behavior of all food groups except fruits and vegetables among adults in the Paso del Norte region: Que Sabrosa Vida. J Nutr Educ Behav 2008; 40(6): 361-368. 

  23. Lee YJ, Kim GM, Chang KJ.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2000; 6(2): 86-96. 

  24.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Food nutrition data sheet [Internet]. Cheongju: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7 [cited 2019 Jul 29].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nutrient/simpleSearch.do?menu_grpMENU_NEW03&menu_no2805.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Consumer friendly food composition table. 2nd rev. ed. Seoul: Kyomunsa; 2013.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27. Ahn SH, Kwon JS, Kim K, Yoon JS, Kang BW, Kim JW, et al.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practicability of guidelines for reducing sodium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house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24-736. 

  28. Joo N, Kim SK, Yoon JY. High school students' sugar intake behaviors and consumption of sugary processed food based on the level of sugar-related nutrition knowledge in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1): 1-12. 

  29. Kim YS, Lee MJ.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social cognitive theo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focusing on the nutrition education of sugar intake. Korean J Food Nutr 2011; 24(2): 246-257. 

  30. Choi EY. Evalu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otal suga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for Korean adolescents [dissertation].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4. 

  31. Ha K, Chung S, Joung H, Song Y. Dietary sugar intake and dietary behaviors in Korea: a pooled study of 2,599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9-14 years. Nutr Res Pract 2016; 10(5): 537-545. 

  32. Seo YM.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ugar intake reducti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for the elementary 3rd grade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33. Lee KA.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ar intake and perception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J Korean Pract Arts Educ 2016; 29(4): 111-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