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닙을 제조하기 위한 카카오콩에 대한 반열풍식 로스팅 최적 조건을 탐색하고, 콘칭 온도(50, $60^{\circ}C$)와 시간(24, 48, 72 h)을 달리하여 제조한 커버춰의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커버춰의 가공조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라디칼 소거능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카카오닙은 모든 분석 항목에서 가열하지 않은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로스팅 처리군 내에서는 로스팅 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25분까지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하였으므로, 항산화능의 크기는 대체로 R0(raw cacao nib), R25($200^{\circ}C$, 25분 로스팅한 시료), R30($200^{\circ}C$, 30분 로스팅한 시료), R20($200^{\circ}C$, 20분 로스팅한 시료), R15($200^{\circ}C$, 15분 로스팅한 시료)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커버춰는 같은 카카오매스 함량(cacao mass content, CMC)의 시료 간에는 콘칭 온도가 높을수록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로스팅 및 콘칭 공정과 같은 가열 처리는 카카오닙의 기능성 성분의 조성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DPPH를 제외한 ABTS,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결과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총 플라보이드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 결과에서는 커버춰의 제작 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10% 높이는 것보다 콘칭 온도를 $10^{\circ}C$ 높이는 것이 항산화 능력을 더 많이 상승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HPLC를 이용한 대표적인 카테킨 유래 화합물 정량 결과 카카오닙에서는 생시료가 4가지 항목 모두에서 로스팅을 거친 시료들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P<0.05). Procyanidin B1은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procyanidin B2와 catechin, epicatechin의 함량은 모두 로스팅 시간이 25분 이내인 경우에 증가하였으나, 30분 로스팅을 거친 시료(R30)는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200^{\circ}C$에서 25분 동안 로스팅을 처리한 시료(R25)가 기능성 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커버춰의 경우 대체로 콘칭 시간이 경과할수록 procyanidin B1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Procyanidin B2와 catechin, epicatechin은 모든 시료에서 48시간 동안 콘칭을 거친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므로, $60^{\circ}C$에서 48시간 동안 콘칭을 거친 70% CMC의 커버춰(HH48)가 모든 시료들 중 가장 많은 카테킨 유래 화합물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in response to conching temperatures, conching times, and cacao mass content (CMC) in dark chocolat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acao nibs were highest for raw cacao nib (R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콘칭 공정의 시간 조건의 경우 7~12시간 콘칭에 따른 항산화능 특성을 분석한 연구(11) 및 270분간의 콘칭을 거쳐 제조한 초콜릿의 물성학적 차이를 규명한 연구(13) 등 상당수의 연구에서 초콜릿 공장에서 48~72시간의 콘칭을 거치는 것에 비해 짧은 공정 시간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연구 결과의 실질적인 반영이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닙을 만들기 위한 카카오콩의 반열풍식 로스팅 최적 조건을 탐색하고, 카카오닙에 대한 콘칭 온도(50, 60°C)와 시간(24, 48, 72 h)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초콜릿의 가공 조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칭 공정은 무엇인가? 콘칭 공정(conching)은 로스팅을 마친 카카오콩의 껍질을 제거한 뒤 분쇄한 배유, 즉 카카오닙(cacao nib)을 설탕과 코코아버터, 유화제 등을 혼합 및 가열하며 초콜릿 반죽(커버춰)을 만드는 단계이다(10). 커버춰는 이 단계를 거치게 되면 수분 및 불쾌취, 입자 크기 등이 감소하고 균질한 액체 상태로 변화하게 되는데(11), 진행 정도에 따라 커버춰의 살균 효과가 높아지고 질감의 부드러운 정도가 결정되므로 콘칭 시간 및 온도 조건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콘칭 공정에서 콘칭 시간 및 온도 조건 수립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콘칭 공정(conching)은 로스팅을 마친 카카오콩의 껍질을 제거한 뒤 분쇄한 배유, 즉 카카오닙(cacao nib)을 설탕과 코코아버터, 유화제 등을 혼합 및 가열하며 초콜릿 반죽(커버춰)을 만드는 단계이다(10). 커버춰는 이 단계를 거치게 되면 수분 및 불쾌취, 입자 크기 등이 감소하고 균질한 액체 상태로 변화하게 되는데(11), 진행 정도에 따라 커버춰의 살균 효과가 높아지고 질감의 부드러운 정도가 결정되므로 콘칭 시간 및 온도 조건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콘칭 공정은 주로 50°C 전후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50°C 전후에서 코코아버터가 모두 융해되어 액상형태로 바뀌기 때문이다(12).
카카오콩을 로스팅 하는 방법 중 하나인 열풍식의 장단점은? 로스팅 방법은 열의 전도와 대류방식에 따라 크게 직화식, 반열풍식, 열풍식으로 구분된다. 직화식은 가장 초기 형태이자 생두에 직접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열의 전달 효율이 낮아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 방법이고, 열풍식은 열풍을 생두에 쐬어주는 방식이므로 신속하고 고르게 로스팅을 할 수 있지만 설비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대량생산을 하는 공장에서 주로 쓰이고 있다. 반열풍식은 직화식 로스팅 방법에 이용되는 드럼(drum, 카카오콩이 투입되는 곳)의 타공을 없앰으로써 낮은 열효율을 개선한 방법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ckett ST. 2008. The science of chocolate. 2nd ed.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UK. p 11-12. 

  2. Herrmann K. 1995. Recent findings about cocoa ingredients. II: catechin, procyanidins, their oxidative condensation, and dietary fiber of peeled cacao. Gordian 95: 141-144. 

  3. Payne MJ, Hurst WJ, Miller KB, Rank C, Stuart DA. 2010. Impact of fermentation, drying, roasting, and Dutch processing on epicatechin and catechin content of cacao beans and cocoa ingredients. J Agric Food Chem 58: 10518-10527. 

  4. Lee ES, Kum JY, Hwang YO, Tu OJ, Jo HB, Kim JH, Chae YZ. 2012.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 cont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cocoa-containing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56-1362. 

  5. Ramli N, Hassan O, Said M, Samsudin W, Idris NA. 2006. Influence of roasting conditions on volatile flavor of roasted Malaysian cocoa beans. J Food Process Preserv 30: 280-298. 

  6. Nascimento MS, Brum DM, Pena PO, Berto MI, Efraim P. 2012. Inactivation of Salmonella during cocoa roasting and chocolate conching. Int J Food Microbiol 159: 225-229. 

  7. Lee HS. 2010. Coffee roasting technique. Seoul Commune, Seoul, Korea. p 8-100. 

  8. Nebesny E, Rutkowski J. 1998. Effect of roasting and secondary fermentation on cocoa bean enrichment. Pol J Food Nutr Sci 3: 437-445. 

  9. Oliviero T, Capuano E, Cammerer B, Fogliano V. 2009. Influence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HMF formation of a cocoa bean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57: 147-152. 

  10. Hoskin JM, Dimick PS. 1980. Observations of chocolate during conching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viscometry. J Food Sci 45: 1541-1545. 

  11. Mattia CD, Martuscelli M, Sacchetti G, Beheydt B, Mastro cola D, Pittia P. 2014. Effect of different conching processes on procyanidin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hocolate. Food Res Int 63: 367-372. 

  12. Afoakwa EO. 2000. Chocolate science and technology. Wiley-Blackwell, Chichester, UK. p 43-47. 

  13. Konar N. 2013. Influence of conching temperature and some bulk sweeteners on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rebiotic milk chocolate containing inulin. Eur Food Res Technol 236: 135-143. 

  14. Wan Rosli WI. 1997. Effect of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on precursors, volatile components and flavour quality of cocoa beans during nib roasting. MS Thesis. Universiti Putra Malaysia, Serdang, Malaysia. p 1-25. 

  15. Duarte SMS, Abreu CMP, Menezes HC, Santos MH, Gouvea CMCP. 2005. Effect of processing and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brews. Cienc Tecnol Aliment 25: 387-393. 

  16. Komes D, Belscak-Cvitanovic A, Skrabal S, Vojvodic A, Busic A. 2013. The influence of dried fruits enrichment on sensory properties of bitter and milk chocolates and bioactive content of their extracts affected by different solvents. LWT-Food Sci Technol 53: 360-369. 

  17.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8. Jeon G, Han J, Choi Y, Lee SM, Kim HT, Lee J. 2008.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79-1083. 

  19. Singleton VL, Rossi Jr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20.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1. Arlorio M, Locatelli M, Travaglia F, Coisson JD, Grosso ED, Minassi A, Appendino G, Martelli A. 2008. Roasting impact on the contents of clovamide (N-caffeoyl-L-DOPA)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coa beans (Theobroma cacao L.). Food Chem 106: 967-975. 

  22. Jolic SM, Redovnikovic IR, Markovic K, Sipusic DI, Delonga K. 2011.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cocoa beans processing. Int J Food Sci Technol 46: 1793-1800. 

  23. Jinap MS, Nazamid BJS. 2004. Effect of polyphenol concentration on pyrazine formation during cocoa liquor roasting. Food Chem 85: 73-80. 

  24. Lee KW, Kim YJ, Lee HJ, Lee CY. 2003. Cocoa has more phenolic phytochemicals and a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eas and red wine. J Agric Food Chem 51: 7292-7295. 

  25. Cooper KA, Donovan JL, Waterhouse AL, Williamson G. 2008. Cocoa and health: a decade of research. Br J Nutr 99: 1-11. 

  26. Lamuela-Raventos RM, Izquierdo-Pulido M, Estruch R. 2013. Industrial and home processing of cocoa polyphenols. In Chocolate in Health and Nutrition. Watson RR, Preedy VR, Zibadi S, eds. Humana Press, New York, NY, USA. Vol 7, p 119-122. 

  27. Kim H, Keeney PG. 1984. Epicatechin content in fermented and unfermented cocoa beans. J Food Sci 49: 1090-1092. 

  28. Dallas C, Ricardo-da-Silva JM, Laureano O. 1995. Degradation of oligomeric procyanidins and anthocyanins in a Tinta Roriz red wine during maturation. Vitis 34: 51-56. 

  29. Ortega N, Romero MP, Macia A, Reguant J, Angles N, Morello JR, Motilva MJ. 2008. Obten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cocoa sources. J Agric Food Chem 56: 9621-9627. 

  30. Schumacher AB, Brandelli A, Schumacher EW, Macedo FC, Pieta L, Klug TV, Jong EV.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aboratory scale conch for chocolate production. Int J Food Sci Technol 44: 616-6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