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증진행위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adolesc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3, 2016년, pp.570 - 582  

김지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  석민현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212 third-year midd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외국의 경우, 대만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연구(Chang, 2010),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계(Zulling, Ubbes, & Mann, 2013), 또는 불건강 행위와의 관계(DeWalt & Hink, 2009) 등이 보고되었으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일부 개념만을 측정하여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통한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은 어떤 도움이 되는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는 예방위주의 건강관리와 건강증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초기 청소년기부터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여 건강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키고 건강행위의 실천 수준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기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은 체계적인 건강교육이나 일상생활에서 습득된 건강정보와 관련 있으며, 건강과 관련된 정보의 습득과 이해는 건강에 대한 지식수준과 태도를 변화시켜 건강증진행위 실천수준을 향상시킨다(Glanz, Rimer, & Viswanath, 2008).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고교 및 대학입시가 중요 한 발달과업이 되는 환경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다른 선진국에 비해 여가활동의 기회가 적을 뿐 아니라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만한 시간도 매우 부족하다 (Seo, 2009).
생활수준의 향상과 서구화 된 식습관 등은 어떤 문제를 일으켰는가?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서구화 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주요 사망원인과 질병 구조가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전환되었으며, 인구노령화와 더불어 건강문제와 함께 살아가는 기간도 증가하게 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는 예방위주의 건강관리와 건강증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초기 청소년기부터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여 건강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키고 건강행위의 실천 수준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건강정보이해 능력에서 요구하는 점이 현실에서 맞지 않는 부분은 무엇인가? 즉, 건강정보이해 능력은 건강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용어나 단어를 정확하게 알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알게 된 내용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을 보면, 일반인들이 접하는 대부분의 건강정보는 의학용어로 이루어져 있거나 고도의 전문화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 이해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대부분 은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의학용어를 제시하고 어느 정도로 알고 있는지 측정하고 있다(Guzys, Kenny, Dickson-Swift, & Threlkeld,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D. W., Williams, M. V., Parker, R. M., Gazmararian, J. A., & Nurss, J. (1999) Development of a brief test to measure functional health literac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8(1), 33-42. 

  2. Chang, F. C., Chiu, C. H., Chen, P. H., Miao, N. F., Lee, C. M., Chiang, J. T., & Pan, Y. C. (2015).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nd adolescent ehealth literacy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in Taiwan. Cyberpsychology, Behavior Social Networking, 18(10), 618-624. http://dx.doi.org/10.1089/cyber.2015.0110 

  3. Chang, L. (2010) Health literacy, self-reported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adolescents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 190-196. 

  4. Davis, T. C., Long, S. W., & Jackson, R. H. (1993).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Family Medicine, 25, 391-395. 

  5. DeWalt, D. A. & Hink, A. (2009). Health literacy and chil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ics, 124(3), 265-274. http://dx.doi.org/10.1542/peds.2009-1162B 

  6. Edelman, C. & Mandle, C. L. (2010). Health promotion throughout the life span (7th ed.). Missouri: Mosby. 

  7. Ghaddar, S. F., Valerio, M. A., Garcia, C. M., & Hansen, L. (2012). Adolescent health literacy: the importance of credible sources for online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82(1), 28-36.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11.00664.x 

  8. Glanz, K., Rimer, B. K., & Viswanath, K.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9. Guzys, D., Kenny, A., Dickson-Swift, V., & Threlkeld, G. (2015). A critical review of population health literacy assessment. BMC Public Health, 15, 215. http://dx.doi.org/10.1186/s12889-015-1551-6 

  10. Hong, I. H. (2011). A study on health literacy of hospitalize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1. Hong, W. H. (1998).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ymyung University, Daegu. 

  12. Hwang, T. Y. (2010). Understanding health literacy-implication for medicine and public health. Seoul: Academic express. 

  13. Jain, A. V. & Bickham, D. (2014). Adolescent health literacy and the interne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urrent Opinion Pediatrics, 26(4), 435-439. 

  14. Jang, B. S. & Kim, D. H. (2015).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199-208.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3.199 

  15. Jeong, J. H. & Kim, J. S. (2014).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5(1), 65-73.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1.65 

  16. Kang, S. J., Lee, T. W., Kim, G. S., & Lee, J. (2012).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Seoul, Korea. Journal of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75-89. 

  17. Kim, K. Y., Park, S. W., Kim, J. Y., Bae, J. S., Lee, W. K., Jeong, S. H., Kim, K. S., Kim, Y. H., & Park, S. M. (2012). Trends in the prevalence of health risk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2005-2009: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29(1), 13-25. 

  18. Kim, N. S. & Kwon, M. G. (2008).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4), 388-395. 

  19.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20.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51-227. 

  21. Lee, J. E. & Lee, S. Y. (2015). The influence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6), 1427-1438. 

  22. Lee, S. H., Eun, H. R. C., Min, J. J., Heung, S. H., Byung, K. P., & Sung, S. K.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57-65. 

  23. Lee, Y. T. (2012). Study on patient's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healthcare provider's expla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4. Lim, J. E.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of som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health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I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3(No. 11-1351159-000027-10), Sejong: Author. 

  26. Park, J. Y. (2010).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27. Park, H. J. & Hwang, S. K. (2014). Linguistic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community dwelling old adults. Global Health Nursing, 4(2), 29-88. 

  28. Seo, J. Y. (2009).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and stress response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357-365. http://dx.doi:10.4040/jkan.2009.39.3.357 

  29. Walker, S. B., Sechrist, K. R., & Pender, D.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30. Zulling, K. J., Ubbes, V. A., & Mann, M. (2013). Early adolescent literacy influences reading ability and preventative health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Health Studies, 28(3), 134-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