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후기 아동의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건강증진 행위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re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3, 2015년, pp.199 - 208  

장병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동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and the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ren.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333 participants who were $5^{th}$ and $6^{th}$-grad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기 학령기 아동의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의 건강증진 방안으로서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수준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학령기 후기 아동은 자신이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보건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보건교육 후 태도나 지식이나 행동의 변화가 있다고 인식할수록 건강증진 행위를 잘 하였으며, 특히 언어적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는 아동의 발달에서 왜 중요한가? 학령기는 삶의 주기 중 신체적으로 성장하면서 사회성이 발달되고 인지적으로 본격적인 학습이 시작되는 시기로[1] 자신의 건강상태를 지각하며 건강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건강행위의 습관화로 평생 건강의 기초를 쌓는 결정적 시기이다[2]. 아동의 건강은 성공적인 학습과 삶의 토대가 되므로 국가 미래를 위해서도 귀중한 투자 가치로 인식되는 가운데WHO[3]의 건강증진학교 실천전략 제안 이후 학교는 아동의 건강증진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가에선 아동의 건강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가? 학령기는 삶의 주기 중 신체적으로 성장하면서 사회성이 발달되고 인지적으로 본격적인 학습이 시작되는 시기로[1] 자신의 건강상태를 지각하며 건강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건강행위의 습관화로 평생 건강의 기초를 쌓는 결정적 시기이다[2]. 아동의 건강은 성공적인 학습과 삶의 토대가 되므로 국가 미래를 위해서도 귀중한 투자 가치로 인식되는 가운데WHO[3]의 건강증진학교 실천전략 제안 이후 학교는 아동의 건강증진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학령기 후기인 초등학교 5,6학년부터 국가 수준의 체계적 보건교육이 시작되어 건강 관련 지식, 가치, 기술 습득을 통한 건강증진 행위의 생활화를 도모하고 있다.
아동의 건강증진을 구현하기 위한 결정적인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스스로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건강과 관련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획득하고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5].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좋은 건강을 유지 ‧ 증진하기 위해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6],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와 의도를 높여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hin MH, Seo EH, Song SG, Kim EK, Won YS, Noh WG, et al.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2013. 182 p. 

  2. Farrand LL, Cox CL. Determinants of positive health behavior in middle childhood. Nursing Research. 1993;42(4):208-21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moting health through school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7 September. Report No. 870. 

  4. Kim SH, Lee JH. Test of a hypothetical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2008;14(1):22-34. 

  5.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4. 41 p. 

  6. Nutbeam D. Literacies across the lifespan: Health literacy. Literacy & Numeracy Studies. 1999;9(2):47-55. 

  7. von Wagner C, Steptoe A, Wolf MS, Wardle J. Health literacy and health actions: A review and a framework from health psychology.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9;36(5):860-877. http://dx.doi.org/10.1177/1090198108322819 

  8. DeWalt DA, Berkman ND, Sheridan S, Lohr KN, & Pignone MP.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4;19(12);1228-1239. http://dx.doi.org/doi:10.1111/j.1525-1497.2004.40153.x 

  9. DeWalt DA, Hink A. Health literacy and chil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ics. 2009;124(3):265-274. http://dx.doi.org/doi:10.1542/peds.2009-1162B 

  10. Nutbeam D. Health promotion glossary. Health Promotion. 1986;1(1):113-127. 

  11. Davis TC, Crouch MA, Long SW, Jackson RH, Bates P, George RB, et al. Rapid assessment of literacy levels of adult primary care patients. Family Medicine. 1991;23(6):433-435. 

  12. Lee TW, Kang SJ.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Society. 2008;28(4):847-863. 

  13. Lee SH, Choi EHR, Je MJ.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1;28(3):57-65. 

  14. Ahn EJ, Kwon IS. Health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4):322-331.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322 

  15. Sanders LM, Zacur G, Haecker T, Klass P. Number of children's books in the home: An indicator of parent health literacy. Ambulatory Pediatrics. 2004;4(5):424-428. 

  16. Driessnack M, Chung S, Perkhounkova E, Hein M. Using the "newest vital sign" to assess health literacy i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14;28(2):165-171. http://dx.doi.org/10.1016/j.pedhc.2013.05.005 

  17. Moore V. Assessing health literacy.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2012;8(3):243-244. 

  18. Davis TC, Wolf MS, Arnold CL, Byrd RS, Long SW, Springer T,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apid Estimate of Adolescent Literacy in Medicine (REALM-Teen): A tool to screen adolescents for below-grade reading in health care settings. Pediatrics. 2006;118(6):1707-1714. 

  19. Weiss BD, Mays MZ, Martz W, Castro KM, DeWalt DA, Pignone MP, et al. Quick assessment of literacy in primary care: The newest vital sign. Annals of Family Medicine. 2005;3(6):514-522. 

  20. Richard CH. Newest vital sign toolkit [Internet]. NY: Pfizer Inc. 2011 [cited 2015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pfizer.com/files/health/nvs_flipbook_english_final.pdf 

  21. Pender NJ, Pender AR. Illness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provided by nurse practitioners: Predicting potential consum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0;70(8):798-803. 

  22.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23. Kim HS, Kim YI.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1):1-10. 

  24. Nah JY, Kim YI, Kim HS. The effects of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1;24(2):173-180. 

  25. Chang L. Health literacy, self-reported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urs for adolescents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1;20(1/2):190-19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3181.x 

  26. Schmidt CO, Fahland RA, Franze M, Splieth C, Thyrian JR, Plachta-Danielzik S, et al. Health-related behaviour, knowledge, attitudes, communication and social status in school children in Eastern Germany. Health Education Research. 2010;25(4):542-551. http://dx.doi.org/10.1093/her/cyq011 

  27. Brown SL, Teufel JA, Birch DA.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health and health literacy. Journal of School Health. 2007;77(1):7-15.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07.00156.x 

  28. Zullig KJ, Ubbes VA, Mann M. Early adolescent literacy influences, reading ability, and preventative health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Health Studies. 2013;28(3):134-141. 

  29. Borzekowski DL. Considering children and health literacy: A theoretical approach. Pediatrics. 2009;124(3):282-288. http://dx.doi.org/10.1542/peds.2009-1162D 

  30. Joint Committee on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s. Achieving health literacy: An investment in the future. Atlanta, GA: American Cancer Society; 1995. 88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