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 위반과 조직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Organizational Anomi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1, 2016년, pp.281 - 307  

배채윤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  신제구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조직 아노미 상황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열의간 심리적 계약위반과 조직 아노미의 매개효과사회교환이론, 사회정보처리이론 및 직무요구-자원모형을 바탕으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동료평가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업, 유통업, 금융업등 다양한 업종의 18개 기업들을 통하여 획득된 27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무 열의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고 심리적 계약위반 및 조직 아노미에는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계약위반 및 조직 아노미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조직의 리더들이 변혁적 리더십을 통해 구성원들의 심리적 계약 위반이나 조직 아노미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을 극복하게 한다면, 직무 열의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effectivenes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impacting work engagement with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anomie as mediating factor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org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더에 대한 신뢰란 무엇인가? 조직 수준의 분위기와 리더십은 폭포 효과(cascade effect)를 통해 조직을 담당하는 리더의 리더십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34][35]. 리더에 대한 신뢰란 리더가 구성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행동을 해줄 것이라는 구성원들의 믿음을 말한다[36] 리더가 조직을 잘 이끌 것이라고 믿는 정도가 높고 리더가 표명하는 비전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아진다면 구성원들의 아노미정도는 낮아질 것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구성원의 선행요인에 대한 지각이 아노미를 야기하거나 줄임으로써 구성원들의 행동들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37][30].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구성요소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변혁적 리더십이론은 부하들의 질적 변화 추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Burns(1978)에 의하여 시작되었고[38], Bass(1985)에 의하여 정교해지고 체계화 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 하위 구성요소로는 카리스마 (charisma), 영감적 동기부여 (inspirational motivation), 지적자극 (intellectual stimulation), 개별적 배려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네가지를 들 수 있다.
조직구성원과 조직 간의 기대가 불일치하면 어떤 결과가 초래되는가? 조직의 약속 불이행이라던가, 조직구성원과 조직간의 기대가 불일치한 결과로 인하여 생겨나는 것이다. 이는 개인수준에서 고용관계를 형성하는 믿음이나 기대에 영향을 주고, 결국에는, 구성원 행동과 직무태도의 변화를 유발시킨다[76-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9)

  1. 주원, 현 불황기의 다섯가지 특징과 시사점, 현안과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제16-18호, 2016. 

  2. Gallup Study, Q12(R) Meta-Analysis Report, 2016. 

  3. Gallup Study, State of Global Workplace Report, 2013. 

  4. M. S. Christian, A. S. Garza, and J. E. Slaugter,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Vol.64, No.1, pp.89-136, 2011. 

  5. J. D. Nahrgang, F. P. Morgeson, and D. A. Hofmann, "Safety at work: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link between job demands, job resources, burnout, engagement, and safety outcom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6, No.1, pp.71-94, 2011. 

  6.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1985. 

  7. R. J. Deluga, "Relationship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ith employee influencing strategies,"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Vol.13, No.4, pp.456-467, 1988. 

  8. J. Seltzer and B. M. Ba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yond initiation and consideration," Journal of Management, Vol.16, No.4, pp.693-703, 1990. 

  9. D. A. Nadler and M. L. Tushman, "Beyond the charismatic leader: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hang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32, No.2, pp.77-97, 1990. 

  10. D. A. Waldman, B. M. Bass, and F. J. Yammarino, "Adding to contingent-reward Behavior,"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Vol.15, No.4, pp.381-394, 1990. 

  11. F. Luthans, C. M. Youssef, and B. J. Avolio,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New York, 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2. R. Singh, "Redefining psychological contracts with the US work force: A critical task fo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ners in the 1990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7, No.1 pp.61-69, 1998. 

  13. D. M. Rousseau, "New hire perceptions of their own and their employer's obligations: A study of psychological contract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1, No.5, pp.389-400, 1990. 

  14. 박남수, "심리적 계약 위반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산업연구, 제7권, 제2호, pp.127-142, 2010. 

  15. P. M. Blau,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Wiley, New York, 1964. 

  16. H. Zhao, S. J. Wayne, B. C. Glibkowski, and J. Bravo,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work-related outcomes: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Vol.60, No.3, pp.647-680, 2007. 

  17. J. Aselage and R. Eisenberg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acts: a theoretical integr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4, No.5, pp.491-509, 2003. 

  18. E. W. Morrison and S. L. Robinson, "When employees feel betrayed: a model of how psychologicalcontractviolation develop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2, No.1, pp.226-256, 1997. 

  19. S. L. Robinson, M. S. Kraatz, and D. M. Rousseau, "Changing Obligations a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A Longitudinal Study,"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1, pp.137-152, 1994. 

  20. S. L. Robinson, "Trust and breach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pp.574-599, 1996. 

  21. J. Kickul and S. W. Lester, "Broken Promise Equity Sensitivity as a Moderator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6, No.2, pp.191-217, 2001. 

  22. 황영호, "공공부문 조직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정보연구, 제9권, 제2호, pp.95-118, 2006. 

  23. J. M. Jensen, R. A. Opland, and A. M. Ryan, "Psychological contracts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Employee responses to transactional and relational breach,"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5, No.4, pp.555-568, 2010. 

  24. 김창환, '헬조선'의 진짜 이유, 주간동아, 제1019호, pp.56-57, 2015. 

  25. 박세준, 샐러던트와 투잡족의 끝없는 불안, 주간동아, 제1043호, pp.30-31, 2016. 

  26. 이상진, 아노미의 매개효과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조직유효성 제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27. G. R. Salancik and J. Pfeffer,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job attitudes and task 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3, No.2, pp.224-252, 1978. 

  28. D. V. Cohen, "Ethics and crime in business firm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impact of anomie," In F. Adler and W. S. Laufer, (eds.), The legacy of anomie theory,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pp.183-206, 1995. 

  29. E. Durkheim,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Trans. W. Halls, New York: The Free Press, 1893. 

  30. R. Hodson, "Organizational anomie and worker consent," Work and Occupations, Vol.26, No.3, pp.292-323, 1999. 

  31. R. K. Merton,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 No.5, pp.672-682, 1938. 

  32. R. K. Merton,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New York: Free Press,1968. 

  33. M. Orru, Anomie: History and meaning, London, UK: Allen and Unwin, 1987. 

  34. J. Antonakis and R. J.House, An analysis of the full-range leadership theory: The way forward, In B.J.Avolio and F.J.Yammarino, (eds.), Transformational and charismatic leadership: The road ahead, Amsterdam: JAI Press, pp.3-34, 2002. 

  35. J. Antonakis and R. J. House, On instrumental leadership: Beyond transactions and transform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Gallup Leadership Institute Conference, University of Nebraska, 2004. 

  36. R. C. Mayer, J. H. Davis, and F.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3, pp.709-734, 1995. 

  37. 이상진, 유왕진, 정동우, 이동명, "기업가정신과 리더십이 중소기업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노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공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59-176, 2010. 

  38. J. M. Burns, Leadership, New York : Harper and Row, 1978. 

  39. S. J. Shin and J. Zhou,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servation, and creativity: Evidence from Korea,"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No.6, pp.703-714, 2003. 

  40. 임준철, 윤정구, "부하에 의해 인지된 상사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 자기권능감(Self-Efficacy)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제7권, 제1호, pp.1-42, 1999. 

  41. B. M. Bass and B. J. Avolio, Full range leadership development: Manual for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Palo Alto, CA: Mindgarden, 1997. 

  42. A. Bandura, "Cultivate self-efficacy fo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Blackwell Handbook of Principl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ed. E. A. Locke, Oxford, UK: Blackwell, pp.120-136, 2000. 

  43. 최용득, 조직맥락에서의 긍정심리역량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44. B. S. hamir, R. J. House, and M. B. Arthur,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 science, Vol.4, No.4, pp.577-594, 1993. 

  45. 공민영, 중소기업에서의 조직학습과 변혁적 리더십, 학습문화 및 사회관계망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46. B. J. Avolio, B. M. Bass, and D. I. Jung, "Re-examining the components of transformationaland transactional leadership using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2, No.4, pp.441-462, 1999. 

  47. B.M.Bass, Handbook of leadership (3rd ed.), New York: Free Press, 1990. 

  48. R. Kark and B. Shamir, "The dual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iming relational and collective selves and further effects on followers," In B. J. Avolio and F. J. Yammarino, (eds.), Transformational and Charismatic Leadership: The Road Ahead, Amsterdam: JAI Press, Vol.2, pp.67-91, 2002. 

  49. W. Zhu, I. K. H. Chew, and W. D. Spangler, "CE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he mediating role of human-capital-enhanc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6, No.1, pp.39-52, 2005. 

  50. J. J. Sosik, "Full range leadership: Model,research, extensions and training," in Inspiring leaders, ed. R. J. Burke and C.L.Cooper, pp.33-66, 2006. 

  51. B. J. Avolio, Full leadership development: Building the vital forces in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Inc., 1999. 

  52. J. U. Chun, K. Cho, and J. J. Sosik, "A multilevel study of group­focused and individual­ focus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in tea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7, No.3, pp.374-396, 2016. 

  53. J. B. Wu, A. S. Tsui, and A. J. Kinicki "Consequences of differentiated leadership in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3, No.4, pp.90-106, 2010. 

  54. X. Zhang, N. Li, J. Ullrich, and R. van Dick, "Getting everyone on board: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CEOs on top management team effectiveness and leader-rate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Vol.41, No.7, pp.1898-1933, 2015. 

  55. 전정아, 백운일, "호텔직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5권, 제5호, pp.293-313, 2012. 

  56. 이상규, 이혜린, 유창근,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이 조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식음료부서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5권, 제4호, pp.129-151, 2012. 

  57. 이형룡, 정태완, 황서현, "호텔 기업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창의성과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2권, 제2호, pp.21-40, 2013. 

  58. 나소영, 김진모,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변화태도와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 HRD연구, 제18권, 제1호, pp.29-64, 2016. 

  59. 변재우, 고재윤, "호텔 식음료 종사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제18권, 제2호, pp.64-81, 2012. 

  60. 권봉헌, 이광옥, "외식기업 조직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태만의 매개효과검증,"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5호, pp.247-261, 2012. 

  61. 김호균,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조직 공정성, 정서적 조직몰입간 관계-배분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5권, 제4호, pp.1-35, 2015. 

  62. 이정원, 박정우, "호텔기업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조직몰입과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2호, pp.393-409, 2015. 

  63. D. C. Atwater and B. M. Ba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groups" In B. M. Bass and B. J. Avolio, (eds.),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pp.48-83, 1994. 

  64. M. B. Brewer and W. Gardner, "Who is this 'we'? Levels of collective identity and self repres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1, No.1, pp.83-93, 1996. 

  65. D. M. Rousseau, "Psychological and implied contracts in organizations,"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Vol.2, No.1, pp.121-139, 1989. 

  66. C. Argyris,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behavior, London: Tavistock, 1960. 

  67. E. H. Schein, Organizational psychology(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68. D. M. Rousseau, Psychological contracts in organizations: Understanding written and unwritten Agreements, Thousand Oaks, CA: Sage, 1995. 

  69. 이수광, 최훈태, "고용조정의 공정성과 심리적 계약파기에 관한 연구: 호텔 기업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1-179, 2006. 

  70. L. M. Shore and L. E. Tetrick, The psychological contract as an explanatory framework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In C. L. Cooper & D. M. Rousseau, (eds.) Trends in Organizational Behavior, New York: Wiley, pp.91-109, 1994. 

  71.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Books/DC Heath and Com, 1988. 

  72. S. L. Robinson and E. W. Morrison, "Psychological Contracts and OCB: The Effect of Unfulfilled Obiligations on Civic Virtue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6, No.3, pp.289-298, 1995. 

  73. R. Eisenberger, P. Fasolo, and V. Davis-LaMastr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5, No.1, pp.51-59, 1990. 

  74. M. A. Cavanaugh and R. A. No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relational components of the new psychological contra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0, No.3, pp.323-340, 1999. 

  75. A. T. Hall and P. H. Mirvis, "The new career contract: Developing the whole person at midlife and beyond,"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7, No.3, pp.269-289, 1995. 

  76. S. L. Robinson and D. M. Rousseau, "Violating the Psychological Contract: Not the Exception but the Norm,"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5, No.3, pp.245-259, 1994. 

  77. 박은주, 장용선, "조직의 심리적 계약 기대-이행차이에 대한 구성원 지각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조직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27권, 제6호, pp.55-77, 2012. 

  78. 유민봉, 심형인, "심리적 계약위반이 조직구성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문화적.정서적 성향 및 조직상황변수의 조절효과,"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2호, pp.421-449, 2012. 

  79. M. Wellin, Managing the psychological contract using the personal deal to increase business performance, England: Gower Publishing, 2007. 

  80. J. Coyle-Shapiro and L. Kessler, "Consequences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37, No.7, pp.903-930, 2000. 

  81. J. Kickul, S. W. Lester, and E. Belgio, "Attitudinal and behavioral outcome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Hong Kong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Vol.4, No.2, pp.229-252, 2004. 

  82. R. A. Guzzo, K. A. Noonan, and E. Elron, "Expatriate managers a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9, No.4, pp.617-626, 1994. 

  83. W. H. Turnley and D. C. Feldma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during corporate restructur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7, No.1, pp.71-83, 1998. 

  84. G. D. Kissler, "The new employment contract,"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3, No.3, pp.335-352, 1994. 

  85. 박영석, "심리적 계약의 위반과 그 효과," 산업 및 조직, 제11권, 제2호, pp.105-125, 1998. 

  86. 김명언, 민혜경, "심리적계약: 계약내용과 계약위반의 부정적 효과," 산업 및 조직, 제12권, 제1호, pp.155-180, 1999. 

  87. 정윤길, "심리적계약의 유형과 역할내.외 성과의 관계 및 공공서비스동기의 조절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제7권, 제2호, pp.1-23, 2010. 

  88. 김용순,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무태도의 관계에 대한 가족후원의 조절효과,"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3호, pp.169-184, 2014. 

  89. 한주원, 김정진, 박경규,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저항행동 관계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 공정성과 심리적 계약위반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0권, 제3호, pp.831-857, 2011. 

  90. 임현명, 노명화, 정원호, "심리적 계약위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8권, 제10호, pp.2519-2540, 2015. 

  91. 류수민, 유태용, "역할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8권, 제4호, pp.723-747, 2015. 

  92. 배성현, 정기준, "심리적 계약위반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61-84, 2006. 

  93. 홍계훈, 윤정구, "조직공정성과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안모델의 탐색,"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1호, pp.59-85, 2013. 

  94. 정영미, 서경도, "심리적 계약위반이 근로의욕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제1호, pp.111-128, 2011. 

  95. 곽선화, 김미희, "심리적 계약위반이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뢰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3권, 제4호, pp.2219-2249, 2010. 

  96. 유민봉, 홍혜승, 박윤,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도 및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족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행정논총, 제50권, 제4호, pp.135-162, 2012. 

  97. U. Raja, G. Johns and F. Ntalianis, "The impact of personality on psychological contract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7, No.3, pp. 350-367, 2004. 

  98. D. C. Thomas, K. Au and E. C. Ravlin, "Cultural variation a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4, No.5, pp.451-471, 2003. 

  99. 김민수, 박지은, "심리적 계약위반의 영향에서 집단 절차공정성 풍토의 조절효과," 산업 및 조직, 제19권, 제3호, pp.421-445, 2006. 

  100. S. L. D. Restubog, P. Bordia, and S. Bordia, "The interactive effects of procedural justice and equity sensitivity in predicting responses to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 interactive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4, No.2, pp.165-178, 2009. 

  101. 정윤길, 이규만, "심리적 계약위반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공정성 민감도의 조절효과," 한국행정논집, 제18권, 제2호, pp.495-513, 2006. 

  102. S. S. Kuczmarski and T. D. Kuczmarski, Values-based leadership, Paramus, NJ: Prentice-Hall. 1995. 

  103. E. Durkheim, Suicide, Trans. G. Simpson, New York: Free Press. 1897. 

  104. R. K. Merton,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Toward the codification of theory and research, 1949. 

  105. B. H. Allen and W. R. LaFollette, "Perceiv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lienation among management traine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0, No.2, pp.334-341, 1977. 

  106. 김혜정, 금융산업 조직구성원들의 정보보호 규정 위반 행위에 관한 연구: 정보보호 아노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7. R. Zschoche, A multi-level model of police corruption: Anomie, decoupling, and moral disengagement,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11. 

  108. F. Adler, Synnomie to anomie: A macrosociological formulation. in F. Adler and W. S. Laufer, (eds.), The legacy of anomie theory,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pp.271-286, 2000. 

  109. Z. M. Manrique de Lara and T. F. Espinoza-Rodriguez, "Organizational anomie as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unfavorable attitudinal environment and citizenship behavior (OCB): An empirical study among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services personnel," Personnel Review, Vol.36, No.6, pp.843-866, 2007. 

  110. 오아라, 박경규, 용현주, "공감(compassion)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2호, pp.41-74, 2013. 

  111. 하홍재, 조직문화와 리더십 그리고 아노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 테크노경영대학원, 2011. 

  112.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and A. B. Bakker, "The measurement of burnout and engage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3, No.1, pp.71-92, 2002. 

  113.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1990. 

  114. W. B. Schaufeli, A. B. Bakker, and M. Salanova,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study. Educational &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6, No.4, pp.701-716, 2006. 

  115. W. B. Schaufeli am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116. 이철희, 신강현, 허창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1, pp.147-169, 2012. 

  117. J. E. Bono and T. A. Judge, "Self-Concordance at work: Toward understanding the motivational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No.5, pp.554-571, 2003. 

  118. H. Wang, K. Law, R. Hackett, D. Wang and Z. Chen, "Leader-Member Exchang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Followers'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3, pp.420-432, 2005. 

  119. R. F. Piccolo and J. A. Colquit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Behaviors: The Mediating Role of Core Job Characteristic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9, No.2, pp.327-340, 2006. 

  120. 정예지, 이수정, 김문주, "변혁적 리더 대 진성리더: 변혁적 리더십의 재조명," 경영학연구, 제41권, 제3호, pp.539-573, 2012. 

  121. O. Epitopak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Vol.2003, No.1, pp.M1-M6, 2003. 

  122. O. Epitopaki, "A multi-level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rough the len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membership: Testing a moderated-mediated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4, No.1, pp.65-86, 2013. 

  123. J. K. Harter, F. L. Schmidt and T. L. Hayes, "Business-unit-level relation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engagement, and business outcomes: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2, pp.268-279, 2002. 

  124. B. M. Ba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ustrial, military, and educational impact,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8. 

  125. 김호석, 김민성, 구동우, "호텔 기업 총지배인의 변혁적 리더십이 외식종사원의 직무열의, 직무성과,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9권, 제3호, pp.29-43, 2013. 

  126. S. Vincent-Hoper, C. Muser, and M. Janneck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rk engagement, and occupational success,"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17, No.7, pp.663-682, 2012. 

  127. M. Y. Ghadi, M. Fernando, and P. Caput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work,"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34, No.6, pp.532-550, 2013. 

  128. J. H. Song, J. A. Kolb, U. H. Lee, and H. K. Kim,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Effectiv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Practices: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s' Work Eng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23, No.1, pp.65-101, 2012. 

  129. K. Breevaart, A. B. Bakker, J. Hetland, E. Demerouti, O. K. Olsen, and R. Espevik, "Daily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aily employee engage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7, No.1, pp.138-157, 2014. 

  130. S. Kovjanic, S. C. Schuh, and K. Jon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6, No.4, pp.543-555, 2013. 

  131. P. M. Bal and D. Kooij, "The relations between work centrality, psychological contracts, and job attitudes: The influence of age,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0, No.4, pp.497-523, 2011. 

  132. M. R. Parzefall and J. Hakanen, "Psychological contract and its motivational and health enhancing proper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5, No.1, pp.4-21, 2010. 

  133. P. M. Bal, R. D. Cooman, and S. T. Mol, "Dynamics of psychological contracts with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enure,"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2, No.1, pp.107-122, 2013. 

  134. B. A. Rayton and Z. Y. Yalabik, "Work engagement,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job satisfac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5, No.17, pp.2382-2400, 2014. 

  135. B. M. Bass and R.E.Riggi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6. 

  136. D. R. May, R. L. Gilson, and L. M. Harter,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of meaningfulness, safety and availability and the engagement of the human spirit at work,"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7, No.1, pp.11-37, 2004. 

  137. A. Olivier and S. Rothmann, "Antecedents of Work Engagement in a Multinational Oil Company,"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3, No.3, pp.49-56, 2007. 

  138. 김윤성, 이규용,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파기의 매개효과 검증,"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27권, 제4호, pp.223-252, 2003. 

  139. 권상순, 이진규, "심리적 계약의 불이행 지각에 대한 반응과 조절변수의 영향," 인사조직연구, 제5권, 제2호, pp.135-166, 1997. 

  140. J. D. Abu-Doleh and M. D. Hammou,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Organizational Outcomes: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Beliefs," Journal of Competitiveness Studies, Vol.23, No.1&2, 2015. 

  141. W. B. Schaufeli, T. W. Taris and W. V. Rhenen, "Workaholism, Burnout, and Work Engagement: Three of a Kind or Three Different Kinds of Employee Well-being?,"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7, No.2, pp.173-203, 2008. 

  142. 신강현, 한영석, 김완석, 김원형,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3, pp.475-491, 2008. 

  143. J. J. Hakanen, E. Demerouti, D. Xanthopoulou, and A. B. Bakker, "Job Resources Boost Work Engagement, Particularly When Job Demands Are Hig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9, No.2, pp.274-284, 2007. 

  144. J. Cho, H. Laschinger, and C. A. Wong, "Workplace Empowerment,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Graduate Nurses," Nursing Leadership, Vol.19, No.3, pp.43-60, 2006. 

  145. A. J. Heidenheimer, Perspectives on the perception of corruption, In A. J. Heidenheimer, M. Johnston, and V.T.LeVine, (eds.), Political corruption: A handbook.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Transaction Publishers, 1970. 

  146. C. A. Henle, "Predicting workplace devianc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sonality,"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17, No.2, pp.247-263, 2005. 

  147. S. Rose-Ackerman, Corruption and government: Causes, consequences, and refor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48. S. Sonnentag, "Recovery,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A New Look at the Interface between Nonwork and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3, pp.518-528, 2003. 

  149. 박근수, 일몰입에 대한 이해: 한국형 일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와 일몰입의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 규명,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7. 

  150. 김현욱, 유태용, "직무관련 변인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 및 직무열의에 대한 일-가정 갈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2, No.2, pp.155-182, 2009. 

  151. 박노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효과," 경영교육연구, Vol.26, No.5, pp.543-573, 2011. 

  152. D. Robinson, S. Perryman and S. Hayday, The Drivers of Employee Engagement, Institute for Employment Studies, Brighton, UK, 2004. 

  153. 이미현, 진정성 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154. 박원우, 김미숙, 정상명, 허규만, "동일방법편의 (Common Me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제15권, 제1호, pp.89-133, 2007. 

  155. B. M. Bass and B. J. Avolio, MLQ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Redwood City, CA: Mind Garden, 1995. 

  156. 김동욱, H기업 OJT트레이너의 변혁적 리더십이 트레이니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7. 정설경, 심리적 계약위반이 조직구성원 태도에 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서강대학교대학원, 2008. 

  158. E. E. Tsahuridu, "Anomie and ethics at work,"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69, No.2, pp.163-174, 2006. 

  159. 정예지, 홍계훈, "구성원이 인지한 경영진 디커플링, 팀장에 대한 신뢰와 팀 정치지각이 구성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 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제23권, 제2호, pp.93-129, 2015. 

  160. 이학식, 임지훈, SPSS 18.0 매뉴얼, 집현재, 2011. 

  161. J. Singh and Gary K. Rhoads, "Boundary Role Ambiguity in Marketing-Oriented Positions: A Multidimensional Multifaceted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8, pp.328-338, 1991. 

  162.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NEW)(SPSS 아카데미 시리즈), 한나래, 2010. 

  16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164. J. Barling, T. Weber and E. K. Kelloway, attitudinal and financial outcomes: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6, pp.827-832, 1996. 

  165. K. J. Klein, F. Dansereau, and R. J. Hall, "Levels Issues in Theory Developme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9, No.2, pp.195-229, 1994. 

  166. D. M. Rousseau, "Issues of level in organizational research: Multi-level and cross-level perspectives," In L.L.Cummings and B.M.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7, pp.1-37, 1985. 

  167. 최훈석, 이지현, "집단에서 신입 성원의 변화 시도: 신입 성원의 상호작용 지향성 및 집단구성변화 특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4권, 제3호, pp.1-15, 2010. 

  168. 이상현, 김민수, 권성우, "팀 내 갈등이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 연구 발표회 발표논문집, pp.57-83, 2008. 

  169. 배병옥,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766-77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