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능동적 및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가 예방접종 시 학령전기 아동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Distraction Intervention on Pain Responses of Preschool Children during Immuniz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2, 2016년, pp.102 - 112  

임은선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진선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예방접종을 위해 병원을 방문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고, 중재가 그들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실험 1군에는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만화 동영상)를, 실험 2군은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상호작용이 가능한 장난감)를 제공한 후 일상적인 통증관리 이외에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는 2014년 10월 22일부터 11월 5일까지 집단 별로 30명씩 수집하였고, 통증반응은 아동, 부모 및 연구자에 의해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과 대조군은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F=68.92, p=< .001),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반응(F=42.63, p=< .001) 및 연구자가 관찰한 아동의 통증반응(F=114.56, 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전환 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의 예방접종과 관련된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이고, 수동적 방법이 능동적 방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관심전환 중재 및 관심전환 중재물의 형태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straction strategies compared to usual pain management,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passive and active distraction on pain responses of preschool children during immunization. A quasi experimental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맨 왼쪽 ‘0mm(통증 없음)’에서 맨 오른쪽 ‘100mm (통증 심함)’으로 기술된 수평선상에 예방접종 주사를 맞는 아동이 느꼈을 것으로 추정되는 통증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예방접종 시 적용한 관심전환 중재 형태가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1군에는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만화 동영상)를, 실험 2군은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상호작용이 가능한 장난감)를 제공한 후 일상적인 통증관리 이외에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소아청소년과 병원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해 방문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고, 중재가 그들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과 대조군 사이에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반응 및 연구자가 관찰한 아동의 통증반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89로 수렴 타당도가 입증되었다[26]. 본 연구에서는 예방접종이 끝난 후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 정도를 직접 표시하도록 하였다.
  • 74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예방접종이 끝난 후 연구자가 아동의 통증정도를 관찰한 후 직접 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방접종을 받는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한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와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를 적용한 후, 관심전환 중재가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반응 및 연구자가 관찰한 아동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관심전환 중재 유형에 따른 아동 통증반응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1) 제 1가설: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대조군 간에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1) 제 1가설: 실험 1군, 실험 2군, 대조군 간에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제 2가설: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대조군 간에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제 2가설: 실험 1군, 실험 2군, 대조군 간에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제 3가설: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 대조군 간에 연구자가 관찰한 아동의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제 3가설: 실험 1군, 실험 2군, 대조군 간에 연구자가 관찰한 아동의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설은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군(만화 동영상),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군(상호작용이 가능한 장난감), 대조군 간에 아동의 통증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심전환은 어떠한 방법인가? 예방접종 시 아동의 통증 및 두려움을 경감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중재 중 관심전환(distraction)은 청각, 시각, 촉각자극에 주의를 집중시켜서 통증 자극의 지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6], 예방접종과 같은 짧은 통증 경험에 대한 통증 경감 전략으로 유용하며[7], 학령전기 아동에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외국의 경우 예방접종 시 통증 경감을 위해 아동에게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으며[8-11], 연구결과 아동이 자가보고한 통증반응과 부모나 의사가 지각하는 아동의 통증반응[9], 객관적 통증행동반응[1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학령전기까지 총 몇회의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4가지 질병에 대해서 단독 또는 혼합 백신의 형태로 학령전기까지 총 34회의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1]. 대부분의 예방접종은 바늘을 사용하여 시행되며, 선행연구에서 아동의 예방접종이 아동, 부모 및 예방접종을 하는 의료진에게 불안 및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절차로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2][3], 의료진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예방접종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절차이고, 통증과 공포가 순간적으로는 존재할 수 있지만 건강 전체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부분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아동에게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는 없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4].
관심전환 중재 중 능동적 유형은 어떤 경향이 있는가? 관심전환 중재는 수동적 유형과 능동적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동적 유형은 아동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활동이나 자극 요인에 대해 관찰하면서 관심전환이 이루어진다. 반면, 능동적 유형의 경우 의료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아동의 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아동의 활동적인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감각적 요소들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13]. 관심전환 중재의 유형에 따른 효과를 비교한 연구결과에서 일부는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가 더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를 하고 있는 반면[14][15], 일부는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가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10][16][17], 수동적 관심전환 중재와 능동적 관심전환 중재 간에 효과 차이가 없다고 나타난 연구도 있어서[18]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s://nip.cdc.go.kr/irgd/index.html 

  2. E. S. Im and J. S. Kim, "Distraction techniques for children undergoing procedures: A critical review of korean intervention research,"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0, No.4, pp.340-349, 2014. 

  3. N. L. Schechter, W. T. Zempsky, L. L. Cohen, P. J. McGrath, C. M. McMurtry, and N. S. Bright, "Pain reduction during pediatric immunizations: evidence-based review and recommendations," Pediatrics, Vol.119, No.5, pp.1184-1198, 2007. 

  4. D. Soetenga and T. A. Pellino, "Assessment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university of wisconsin children's hospital pain scale for preverbal and nonverbal children," Pediatric Nursing, Vol.25, No.6, p.670, 1999. 

  5. R. M. Kennedy, J. L. Luhmann, and W. T. Zempsky, "Clinical implications of unmanaged needle-insertion pain and distress in children," Pediatrics, Vol.122, pp.S130-133, 2008. 

  6. M. McCaffery and A. Beebe, Pain: Clinical manual for nursing practice, St. Louise: Mosby, 1989. 

  7. C. Kleiber and D. C. Harper, "Effects of distraction on children's pain and distress during medical procedures: A meta-analysis," Nursing Research, Vol.48, No.1, pp.44-49, 1999. 

  8. F. R. Berberich and Z. Landman, "Reducing immunization discomfort in 4-to 6-year-old childre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ediatrics, Vol.124, No.2, pp.e203-209, 2009. 

  9. J. M. Boivin, L. Poupon-Lemarquis, W. Iraqi, R. Fay, C. Schmitt, and P. Rossignol, "A multifactorial strategy of pain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less pain in scheduled vaccination of children. A study realized by family practitioners in 239 children aged 4-12 years old," Family Practice, Vol.25, No.6, pp.423-429, 2008. 

  10. K. L. Cassidy, G. J. Reid, P. J. McGrath, G. A. Finley, D. J. Smith, C. Morley, E. A. Szudek, and B. Morton, "Watch needle, watch TV: Audiovisual distraction in preschool immunization," Pain Medicine, Vol.3, No.2, pp.108-118, 2002. 

  11. G. M. French, E. C. Painter, and D. L. Coury, "Blowing away shot pain: A technique for pain management during immunization," Pediatrics, Vol.93, No.3, pp.384-388, 1994. 

  12. L. L. Cohen, "Behavioral approaches to anxiety and pain management for pediatric venous access," Pediatrics, Vol.122, No.3, pp.134-139, 2008. 

  13. D. Koller and R. D. Goldman, "Distraction techniques for children undergoing procedures: A critical review of pediatric research,"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27, pp.625-681, 2012. 

  14. C. V. Bellieni, D. M. Cordelli, M. Raffaelli, B. Ricci, G. Morgese, and G. Buonocore, "Analgesic effect of watching TV during venipuncture,"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Vol.91, No.12, pp.1015-1017, 2006. 

  15. J. E. MacLaren and L. L. Cohen, "A comparison of distraction strategies for venipuncture distress i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30, No.5, pp.387-396, 2005. 

  16. S. Mason, M. H. Johnson, and C. Woolley, "A comparison of distracters for controlling distress in young children during medical procedur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Vol.6, pp.239-248, 1999. 

  17. S. Nilsson, K. Enskar, C. Hallqvist, and E. Kokinsky, "Active and passive distraction in children undergoing wound dressing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28, pp.158-166, 2013. 

  18. J. Y. Son, The effects of video distraction by a mobile phone on pain during intravenous injection for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Inh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19. M. H. Cho, Effects of distraction on pain and fear behavioral responses during immuniz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20. M. J. Hong,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on the pain behavioral responses on infant Immuniz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21. S. Caprilli, L. Vagnoli, C. Basani, and A. Messeri, "Pain and distress in children undergoing blood sampling: Effectiveness of distraction with soap bubble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Giornale Italiano di Scienze Infermieristiche Pediatriche, Vol.4, No.1, pp.15-18, 2012. 

  22. D. L. Wong and C. M. Baker, "Pain in children: Comparison of assessment scales," Pediatric Nursing, Vol.14, No.1, pp.19-27, 1988. 

  23. C. T. Chambers, K. Giesbrecht, K. D. Craig, S. M. Bennett, and E. Huntsman, "A comparison of faces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pediatric pain: Children's and parents' ratings," Pain, Vol.83, No.1, pp.25-35, 1999. 

  24. J. F. Keck, J. E. Gerkensmeyer, B. A. Joyce, and J. G. Schad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ces and word descriptor scales to measure procedural pai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11, No.6, pp.368-374, 1996. 

  25. E. C. Huskisson, "Measurement of pain," Lancet, Vol.304, No.7889, pp.1127-1131, 1974. 

  26. E. Sanchez-Rodriguez, J. Miro, and E. Castarlenas, "A comparison of four self-report scales of pain intensity in 6- to 8-year-old children," Pain, Vol.153, pp.1715-1719, 2012. 

  27. S. Lebaron and L. Zeltzer, "Assessment of acute pain and anxie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y self-reports, observer reports, and a behavior checklis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2, No.5, pp.729-738, 1984. 

  28. H. Y. Koo, H. R. Park, and J. H. Lim, "Effects of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on pain during intravenous injections in pre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3, No.1, pp.66-72, 2007. 

  29. J. H. Lim and Y. Shin, "Effects of distraction by a cellular phone on pain and fear during venipuncture procedure for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3, No.4, pp.506-511, 2007. 

  30. M. Ipp, E. Cohen, M. Goldbach, and C. Macarthur, "Effect of choice of measles-mumps-rubella vaccine on immediate vaccination pain in infants," Archives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Vol.158, No.4, pp.323-32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