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취학 아동의 시력검진 실태와 시력저하 관련요인
State of Visual Acuity Test and Factors Related to Vision Deterioration of Preschool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2, 2016년, pp.132 - 142  

이성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취학아동의 시력검진실태와 시력저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15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다니는 5세~7세의 아동 172명과 그 부모 중 1인 172명을 대상으로, 보호자에게는 설문조사를, 아동에게는 시력측정을 실시하였다. 시력검진 실태는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 서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시력저하 관련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전체 아동 172명 중 128명 (74.4%)이 시력검진 경험이 있었으며, 77명(44.8%)이 시력저하로 나타났다. 7세 이후에 시력검진을 처음 수행한 경우(OR=7.43, CI=2.84-19.39), 눈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OR=3.08, CI=1.20-7.91), 아동연령이 어릴수록(OR=10.34, CI=3.25-32.85) 시력저하 경향이 높았고, 단말기를 주로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는 아동인 경우(OR=.08, CI=.02-.26), 시력저하 경향이 낮았다. 미취학아동의 시력저하에는 유전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눈 이상 증상, 눈검사 시기, 단말기 사용방법, 아동의 연령과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 양육기관과 보호자, 검진기관을 대상으로 아동의 눈 이상증상과 단말기 사용방법, 눈검사 시기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시력저하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e of visual acuity tests in preschoolers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ir vision. A total of 172 pair, child aged 5-7 years and either one of their parents, were recruited from childcare centers or kindergarten between August 2015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 다니는 미취학아동의 시력검진 실태와 시력저하관련 요인을 확인하여 아동시력 검진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시력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참여 아동의 44.
  • 아동의 눈 이상 증상에 대한 체크리스트 항목으로 안관련 자료[28][29]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안과전문의의 자문을 받아 검토된 자가보고형 설문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상 부모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인이 아동의 관찰된 행동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아동의 시력검진 실태를 파악하고 아동의 눈 건강 관련 생활습관, 눈 이상 증상, 부모의 안보건 지식정도 등과 시력저하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아동의 시력 검진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시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미취학 아동의 시력검진 실태를 파악하고 시력저하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취학아동의 시력저하와 관련있는것은? 26), 시력저하 경향이 낮았다. 미취학아동의 시력저하에는 유전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눈 이상 증상, 눈검사 시기, 단말기 사용방법, 아동의 연령과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 양육기관과 보호자, 검진기관을 대상으로 아동의 눈 이상증상과 단말기 사용방법, 눈검사 시기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시력저하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안보건 관련 지식’도구는 어떻게 구성되고 평과 결과를 어떻게 판단하나? 김과 이[28]의 연구에서 개발한 ‘안보건 관련 지식’도구를 이용하여 부모의 안보건 관련 지식을 측정하였다. 총 25문항으로 구성되면, 문항의 내용은 눈의 기능과 구성, 시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정상시력, 시력교정, 시력증진을 위한 습관, 눈 건강 이상 등이 포함되며, ‘아니오’ 0점, ‘예’ 1점의 반응점수가 주어지며, 총점의 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2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안보건 관련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시력은 몇세 전후에 정상시력에 도달하는가? 시력은 5∼6세 전후에 1.0의 정상 시력에 도달하게 되는데[1], 이 때 시력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정보수집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정확한 판단 및 환경 변화 부적응으로 학습능력도 떨어지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 D. Harley, Pediatric Ophthalmology, 2nd ed., WB Saunders, Philadelphia, p.285, 1983. 

  2. 홍양자, 장애자체육-시각장애자, 한국사회체육진흥회, 1986. 

  3.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 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 EQ317564&page1 

  4. A. L. Webber and J. Wood, "Amblyopia: prevalence, natural history, functional effects and treatment," Clinical and experimental optometry, Vol.88, No.6, pp.365-375, 2005. 

  5. N. Calonge, D. B. Petitti, and K. D. Gregory, "Vision screening for children 1 to 5 years of ag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Vol.127, No.2, pp.340-346, 2011. 

  6. F. C. Ching, M. M. Parks, and D. S. Friendly, "Practical Management of Amblyopia," Journal of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Vol.23, No.1, pp.12-16, 1986. 

  7. M. Oliver, R. Neumann, Y. Chaimovitch, N. Gotesman, and M. Shimshoni,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ears old," Journal of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102, No.3, pp.340-345, 1986. 

  8. L. Kohler and G. Stigma, "Vision screening of four-year-old children," Acta Paediatrica, Vol.62, No.1, pp.17-27, 1973. 

  9. 김흥수, "유, 소아기 아동의 비정상 시력에 대한 영향요소 분석," 대한시과학회지, 제3권, 제2호, pp.1-11, 2001. 

  10. S. Hopkins, G. P. Sampson, P. Hendicott, and J. M. Wood, "Review of guidelines for children's vision screenings," Clinical and Ewperimental optpmetry, Vol.96, No.5, pp.443-449, 2013. 

  11. M. Eibschitz-Tsimhoni, T. Friedman, J. Naor, N. Eibschitz, and Z. Friedman, "Early screening for amblyogenic risk factors lowers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amblyopia," Journal of AAPOS, Vol.4, No.4, pp.194-199, 2000. 

  12. 이미자 미취학 아동의 시력저하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13. W. L. Marsh-Tootle, E. Funkhouser, M. G. Frazier, K. Crenshaw, and T. C. Wall, "Knowledge, Attitudes, and Environment: What Primary Care Providers Say about Pre-School Vision Screening,"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87, No.2, pp.104-111, 2010. 

  14. 오원근, 김성철 "유소년 약시환자의 생활환경 특성과 학교신체검사 안검진의 신뢰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62-271, 2014. 

  15. 임형택, 박현주, 우영제, 김성수 "소아 안검진 현황 및 관련 요인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2," 대한안과학회지, 제56권, 제6호, pp.944-949, 2015. 

  16. 조명진, 송홍락 "성장기 아동의 여가활동상태에 따른 시력저하요인 및 실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295-1315, 2001. 

  17. 신희선, 오진주, "학령기 아동의 시력저하 실태 및 관련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64-173, 2002. 

  18. Y. Guo, L. Liu, Y. Lu, P. Tang, and Y. Feng, "Outdoor activity and myopia among 681 primary students in urban and rural regions of Beijing," Zhonghua yi xue za zhi, Vol.94, No.3, pp.191-194, 2014. 

  19. 예기훈, 이완석, "소득에 따른 성장기 영양소 섭취와 굴절력과의 관계," 한국안광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13-229, 2013. 

  20. 문경애, 이무식, 나백주,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제11권, 제2호, pp.677-680, 2010. 

  21. 이정하, 최운상, 이명숙, "부산시내 중고등학생의 시력과 안경착용 실태," 한국안광학회지, 제14권, 제2호, pp.53-59, 2009. 

  22. Asbury Vaughan and Riorgan-Eva, General Ophthalmology, 13th ed., Appltone and Lange, 1992. 

  23. B. P. Yawn, E. G. Lydick, R. Epstein, and S. J. Jacobson, "Is school vision screening effective?," Journal of School Health, Vol.66, No.5, pp.171-175, 1996. 

  24. M. W. Preslan and A. Novak, "Baltimore Vision Screening Project," Ophtholmology, Vol.103, No.1, pp.105-109, 1996. 

  25. B. P. Yawn, M. Kurland, L. Butterfield, and B. Johnson, "Barriers to seeking care following school vision screening in Rochester, Minnesota," Journal of School Health, Vol.68, No.8, pp.319-324, 1998. 

  26. H. Mark and T. Mark, "Parental reasons for non-response following a referral in school vision screening," Journal of School Health, Vol.69, No.1, pp.35-38, 1999. 

  27. 이승희, 윤현경, 최미숙, 최규일, "어머니의 구강건강 지식과 신념이 자녀의 교정치료시기 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위생학회지, 제14호, 제3권, pp.169-178, 2012. 

  28. 김혜금, 이옥진, "유아기 어머니의 안보건관련 지식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제12권, 제3호, pp.59-63, 2007. 

  29. http://chorongi.org/youth/baby.php 

  30. http://www.who.int/blindness/GLOBALDATAFINALforweb.pdf?ua1 

  31. 김은주, 고성덕 "서울시내 고등학생의 시력저하 원인과 시력변화 실태에 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11권, 제2호, pp.68-86, 1994. 

  32. 이철희, "서부경남 소재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3호, pp.51-65, 1997. 

  33. G. Kvarnstrom, P. Jakobsson, and G. Lennerstrand, "Screening for visual and ocular disorders in children, evaluation of system in Sweden," Acta Paediatr, Vol.87, Issue.11, pp.1173-1179, 1998. 

  34.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40999&page1 

  35. S. Mehravaran, P. B. Duarte, S. I. Brown, B. J. Mondino, K. Handler, and A. L. Coleman, "The UCLA preschool vision program, 2012-2013," Journal of AAPOS, Vol.20, No.1, pp.163-67, 2016. http://dx.doi.org/10.1016/j.jaapos.2015.1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