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between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6년, pp.406 - 415  

이여진 (용현남초등학교) ,  최선영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between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e subjective students are composed of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survey o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had been conducted to 106 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성을 비교하고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성 간의 상관관계 및 자기조절 능력의 하위요인이 사회성과의 인과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이를 영재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성의 하위 요인별 상관관계를 살펴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 한 Y초등학교의 일반학급 학생과 단위학교 영재학급 학생, G교육대학교 영재교육원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성이란 무엇인가? , 2013). 사회성이란 인간이 환경 속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며 더불어 공동생활을 하려는 성향으로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의 지식, 가치, 규범 등을 내면화하여 자기가 속한 집단이나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Ha & Kim, 2013). 따라서 장차 미래의 리더로 성장할 영재 학생들에게는 그들이 성장하여 역량을 발휘하는데 있어 사회성이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최근에 영재학생의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특히 과학영재는 21세기 우리나라 미래의 과학기술을 이끌어 갈 리더로서 이들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Lim, 2016). 그런데 최근에는 고급 두뇌 양성을 위한 인지적 측면의 영재교육뿐만 아니라, 영재학생의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정의적 측면의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2005). 그러나 영재 교육의 발전은 영재교육의 대상자의 수와 성과 위주의 속진교육의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영재 학생 개개인의 사회․정서적 측면에 관한 이해는 간과되어 왔다(Bae et al.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우수한 인재 육성을 위해 어떤 법을 제정하였나? 세계 각국의 무한 경쟁 체제 속에서 우리나라가 살아남고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우수한 인재 육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영재 교육을 위해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진흥법을 제정하였고, 이후 꾸준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결과, 영재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환경이 성립되었으며, 발전을 위한 다양한 모색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Kim & Hwa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C. H., Kang, Y. S. & Shin, H. K. (2013). Analysis on social & emotional abilities of students' of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1(3), 607-631. 

  2. Bae, S. G. & Ryu, C. (2005). The effect of laborious working learning program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8(4), 225-236. 

  3. Bennis, W. (1984). The four competencies of leadership.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August, 15-19. 

  4. Brar, S. (1992).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Relationship to intelligence and maturity. Punjab Agricultural University, India. 

  5. Cheon, K. W. (2000).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영재교육학]. Seoul: Hakmoonsa. 

  6. Ha, Y. & Kim, E. (2013). The relationship among hope,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4(3), 233-249. 

  7. Han, S. H. (2005). Analysis of leadership skills, social maturity and action control between gifted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Doctoral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8. Han, S. H., Kang, S. H. & Yoo, S. H. (2005). A comparison of leadership skills and social maturity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2(1), 277-298. 

  9. Hollingworth, L.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ld Book. 

  10. Huh, J. K. (2003). A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and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 in the school age. Doctoral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1. Hwang, H. & Cho,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 388-399. 

  12. Karnes, F. A. & Worton, J. E. (1988). Attitudes of intellectually gifted youth toward school. Roeper Review, 10(3), 173-175. 

  13. Kim, M. Y. (2013). A comparison of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er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2), 289-311. 

  14. Kim, S. K. & Kim, O. K. (1991).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oul: Choungang Juksung Publisher. 

  15. Kim, S. Y. & Hwang, D. J. (2012). The correlative analysis of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A survey of 7th and 8th grades students in the biological science class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4(2), 93-102. 

  16. Kopp, C. B. (1982).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43-54. 

  17. Kuhl, J. (1985). Volitional mediators of cognition-behavior consistency: Self-regulatory process and action versus state orientation. In J. Kuhl & J. Beck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p. 101-128).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Springer-Verlag. 

  18. Lee, K. H., Choi, B. Y. & Park, S. H. (2005). The gifted education [영재교육]. Seoul: BarkHarksa. 

  19. Lee, S. (2005). The influence of parents' and families' characteristic on the creativity of gifted and non-gifted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 Lee, W. & Lee, S. (2008). A study on self-concept,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gifted elementary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1), 169-189. 

  21. Lim, H. (2016).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2. McCall, M. W. Jr. & Lombardo, M. M. (1983). Off the track: Why and how successful executives get derailed (Technical Report No. 21). Greensboro, NC: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23. Miller, D. C. (2000). Adolescents' decision making in academic and social contexts: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4. Moon, B. S. (2000). A difference of academic self-regulation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4(1), 181-197. 

  25. O'Malley, J. M. (1997). Research perspective on social competence, Merill Quarterly, 23, 29-44. 

  26. Park, H. & Lee, S. (2015). Comparing constru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giftednes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4(1), 267-288. 

  27. Schunk, D. H. (1989).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83-110), NY: Springer Verlag. 

  28. Shin, H. J. (2004). Effect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raining on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29. Terman, L. M. (1925). Genetic study of genius: Vol. 1.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Zimmerman, B. J. (1990).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San Diego: Academic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