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운동 훈련을 병행한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The Effects of Task-Related Circuit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Sensorimotor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in Persons with Stroke : A pilot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4 no.4, 2016년, pp.21 - 32  

김선민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강순희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ask-related circuit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sensorimotor training for 4 weeks could improve the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Method: Fifteen stroke patients who had agreed with the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 15개 과제로 구성된 운동을 초기 2주 동안 단단한 지지면 위에서 수행하게 한 후에 다음 2주 동안 불안정한 지지면 위에서 동일한 과제의 운동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4주간의 감각운동 훈련을 병행한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과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간의 역할은 무엇인가? 뇌졸중 후에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마비측의 근력약화이며, 이러한 근력의 약화는 마비측의 체간 근력에도 나타난다. 체간은 신체의 중심으로서 기능적 움직임 시의 자세를 조정해 중력에 대항하고 사지의 움직임을 준비하며 동적 움직임 시의 중심이동을 조절하여 새로운 자세로의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체간의 강한 안정성은 균형과 사지의 움직임에 필수적이며 상지와 하지의 능숙한 사용은 숙련된 기술과 일상생활동작의 필수 조건이다(Ryerson 등, 2008).
뇌졸중 환자에게 균형과 보행능력 저하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에서는 마비측이 비마비측에 비해 좌우의 안정성 한계가 절반 이하로 나타나 마비측으로의 무게중심 이동능력이 어려워 균형과 보행능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황병용, 2002). 최근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 향상을 위해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프로그램이 강조되고 있 으며, 강제적으로 환측 사용을 유도하는 강제 유도 운동치료는 많은 선행 연구에서 피질의 재조직화를 보고하였고 (Coote 등, 2013),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과제 지향 및 목적 지향 훈련의 다양한 치료 효과성이보고되었다(Coote 등, 2013; 김재욱 등, 2003; 박현식, 2005; 조규행 등, 2004).
뇌졸중 환자의 균형회복을 위하여 지금까지 적용된 치료적 중재방법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뇌졸중 환자의 균형회복을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치료적 중재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 방법으로는 측방 체중이동(Davies, 1985), 공을 이용한 방법(Edwards, 2002), 시각적 피드백 훈련(Wollacott와 Shumway-Cook, 2002), 환측 체중 이동 훈련(Laufer 등, 2003), 특정 과제 훈련(Dean 등, 2000) 등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김경태, 안재두, 김범영 등(2003). 뇌졸중의 최근 역학적 동향. 대한재활의학회지, 27(2), 178-185. 

  2. 김영록, 박종욱, 이상헌 등(2005).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훈련과 중단이 대근육 운동능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3(4), 75-89. 

  3. 김재욱, 김수민, 박래준(2003). 과제 지향적 기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5(4), 923-936. 

  4. 박유형(2008). 발목 관절 고유수용성 운동조절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5. 박재국, 류정숙, 강대옥(2006). 감각통합 훈련이 발달장애 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8(1), 1-23. 

  6. 박현식(2005). 집단순환식 과제지향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적 독립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서흥원(2012). 만성 뇌졸중 환자의 지지면에 따른 체중이동 훈련이 하지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신은경(2007).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조규행, 이석민, 우영근(2004). 뇌졸중 환자에서 순환식 과제지향 프로그램이 기능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1(3), 59-70. 

  10. 지상구, 김명권, 차현규(2013). The effect of dual motor task training on balance of subacute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8(1), 1-9. 

  11. 통계청(2013). 2013년 사망원인별 통계보고서. http://www.nso. go.kr 

  12. 황병용(2002).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Beninato M, Portney LG, Sullivan PE(2009).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clinical assessment tools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89(8), 816-825. 

  14. Borg FG, Laxaback G(2010). Entropy of balance-some recent results. J Neuroeng Rehabil, 7(1), 1. 

  15. Boyle M(2016). New functional training for sports. Human Kinetics, USA, 

  16. Bruhn S, Kullmann N, Gollhofer A(2004). The effects of a sensorimotor training and a strength training on postural stabilisation, maximum isometric contraction and jump performance. Int J Sports Med, 25(1), 56-60. 

  17. Carr JH, Shepherd RB(2003).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1 $^{st}$ ed, New York, Butterworth Heinemann Medical. 

  18. Coote S, Stokes EK(2013). Physiotherapy for upper extremity dysfunction following stroke. Phys Ther Rev, 6(1), 63-69. 

  19. Davies PM(1985). Steps to follow: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based on the concept of K. and B. Bobath. New York, Springer-Verlag. 

  20.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1(4), 409-417. 

  21. Edwards S(2002). Neurological Physiotherapy: A problem-solving approach. 2 $^{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2.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2001).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 out biofeedback force plate training. Phys Ther, 81(4), 995-1005. 

  23. Granacher U, Gollhofer A, Strass A(2006). Training induced adaptations in characteristics of postural reflexes in elderly men. Gait & Posture, 24(4), 459-466. 

  24. Heitkamp HC, Horstmann T, Mayer F, et al(2001). Gain in strength and muscular balance after balance training. Int J Sports Med, 22(4), 285-290. 

  25. Hiengkaew V, Jitaree K, Chaiyawat P(2012). Minimal detectable changes of the Berg Balance Scale, Fugl-Meyer Assessment Scale, Timed "Up & Go" Test, gait speeds, and 2-minute walk test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with different degrees of ankle plantarflexor tone. Arch Phys Med Rehabil, 93(7), 1201-1208. 

  26. Hocherman S, Dickstein R, Pillar T(1984). Platform training and postural stability in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65(10), 588-592. 

  27. Hoffman M, Payne VG(1995).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ankle disk training on healthy subjects. J Orthop Sports Phys Ther, 21(2), 90-93. 

  28. Horak FB, Diener HC(1994). Cerebellar control of postural scaling and central set in stance. J Neurophysiol, 72(2), 479-493. 

  29. Isakov E(2007). Gait rehabilitation: a new biofeedback device for monitoring and enhancing weight-bearing over the affected lower limb. Eura Medicophys, 43(1), 21-26. 

  30. Laufer Y, Sivan D, Schwarzmann R, et al(2003).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of patients with right and left hemiparesi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17(4), 207-213. 

  31. Lin SI(2005). Motor function and joint position sense in relation to gait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6(2), 197-203. 

  32. Mudge S, Barber PA, Stott NS(2009). Circuit-based rehabilitation improves gait endurance but not usual walking activity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0(12), 1989-1996. 

  33. Perera S, Mody SH, Woodman RC, et al(2006). Meaningful change and responsiveness in common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54(5), 743-749. 

  34. Piirainen JM, Avela J, Sippola N, et al(2010). Age dependency of neuromuscular function and dynamic balance control. Eura J Sport Sci, 10(1), 69-79. 

  35. Plummer-D'Amato P, Altmann LJ, Behrman AL, et al(2010). Interference between cognition, double-limb support, and swing during gait i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post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4(6), 542-549. 

  36. Plummer-D'Amato P, Altmann LJ, Saracino D, et al(2008). Interactions between cognitive tasks and gait after stroke: A dual task study. Gait & Posture, 27(4), 683-688. 

  37. Rothwell J, Lennon S(1994). Control of human voluntary movement. Physiother, 80(12), 869. 

  38. Ryerson S, Byl NN, Brown DA, et al(2008).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 Neurol Phys Ther, 32(1), 14-20. 

  39. Shumsway-Cook A, Woollacott MH(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0. Taube W, Gruber M, Beck S, et al(2007). Cortical and spinal adaptations induced by balance training: correlation between stance stability and corticospinal activation. Acta Physiol, 189 (4), 347-358. 

  41. Tilson JK, Sullivan KJ, Cen SY, et al(2010). Meaningful gait speed improvement during the first 60 days post stroke: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Phys Ther, 90(2), 196-208. 

  42. Verhahen E, Bobbert M, Inklaar M, et al(2005). The effect of a balance training program me on centre of pressure excursion in one-leg stance. Clin Biomech, 20(10), 1094-1100. 

  43. Winter DA(1995). Human balance and posture control during standing and walking. Gait & Posture, 3(4), 193-214. 

  44. Wollacott M, Shumway-Cook A(2002).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 Posture, 16(1), 1-14. 

  45. Wu G, Chiang JH(1996). The effects of surface compliance on foot pressure in stance. Gait & Posture, 4(2), 122-129. 

  46. Yang YR, Wang RY, Chen YC, et al(2007). Dual-task exercise improves walking ability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8(10), 1236-1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