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강력 범죄 발생 추이 및 통제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violent crime and control factor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6, 2016년, pp.1511 - 1523  

권태연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  전새봄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5대 강력범죄 (살인, 강도, 강간, 폭력, 절도) 발생의 증가추세는 우리나라의 사회, 경제적 요인의 변화 추세와 무관하지 않으며, 이와 관련한 논의는 여러 사회과학 연구에서 논의되어져왔으나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력범죄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통제 요인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통제 요인들을 살펴봄에 있어 시간, 계절 및 순환과 같이 시계열 자료로써 갖는 내재적 요인들과 경제적, 사회변동 및 범죄통제에 관련한 외재적 요인들로 범주화 하여 고려하였다. 또한 시계열자료가 본질적으로 갖는 자기상관성을 반영한 모형 역시 고려하여 비교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시계열 모형들을 통하여 5대 강력범죄의 발생요인을 점검하는 한편 발생건수를 예측함으로써 강력 범죄에 대한 예방적 정책적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trend of the five violent crimes (murder, robbery, rape, violence, theft) in Korea is not independent of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everal social science research have discussed about this issue but most of them do not properly reflect the nature of the time-series data. Based 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추가로 공개된 2013년 이후 자료는 범죄에 대한 정의 및 범주 구분이 이전 자료와 차이가 있어 범죄발생에 대한 시계열 자료의 내적 일치성을 위하여 분석에 제외하고 2013년까지의 자료만을 이용하였다. 범죄 발생의 현상 및 범죄 발생 요인을 보다 잘 파악함으로써 미래의 범죄발생에 대한 예방적 정책적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본 연구는 범죄 발생 건수 자체에 대한 시계열적 접근으로 설명하는 모형과 외부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하는 회귀적 접근을 모두 고려하고, 이를 각각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명명하여 비교 분석하고 있다.
  • 국내 연구로는 Park 등 (2009) 및 Park (2002)에서 국내총소득, 실업률 및 지니계수등의 경제적 범죄요인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범죄의 경제적 요인으로 국내총생산 (GDP)을 고려함으로써, 전반적인 사회의 경제규모 및 경기를 파악하여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범죄의 원인이 되는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실직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은 빈곤이나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환경에 보다 더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범죄행위를 저지를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비경제활동 인구수의 증가를 5대 강력범죄 발생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5대 강력범죄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5대 강력범죄는 살인, 강도, 강간, 폭력 그리고 절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강력 범죄는 점점 증가 추세에 있다 (Ju와 Cho, 2012; Park과 Kim, 2015). 강력 범죄 발생 건수의 증가는 많은 피해자를 양산할 뿐 아니라,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국민들의 심리적 동요와 불안정을 심화시켜 사회적 안정을 저해하므로 강력 범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 및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범죄 발생을 심층적으로 살피기 위해서는 어떠한 접근이 필요한가? 그러나 범죄 발생을 단순히 현황 측면에서 살피는 것이 아니라, 시간 흐름에 따른 발생 추이 및 변동 요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피기 위해서는 기존의 횡단면적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해석 역시 바로 적용하여 예방 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범죄 발생 증가 추세 및 변동은 내재적으로 시간에 대해 자기상관성을 갖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회귀모형을 근간으로 하는 방법이 아닌 시계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시도한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범죄 발생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외국에서는 다양한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주요 국가 및 대도시의 범죄 발생의 사회, 경제, 범죄 통제적 요인을 파악하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러한 시계열 접근은 미비한 현실이다. Park 등(2009)이 자기상관 오차항을 갖는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한국의 범죄율 관련 요인 연구를 시도한 바 있으나, 최근 다양한 공공 자료의 공개로 인해 자료 접근의 한계가 극복되었으므로 이러한 자료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범죄 발생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ki, C., Zeelenberg, K. and Montfort, K. (1999). An analysis of the crime rate in the Netherlands 1950-93.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39, 401-415. 

  2. Chow, G. C. (1960). Tests of equality between sets of coefficients in two linear regressions. Econometrica, 28, 591-605. 

  3. Choi, Y. (2007). Illegal stay of foreigners and their crime.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18, 1319-1340. 

  4. Corman, H. and Mocan, H. N. (2000). A time-series analysis of crime, deterrence, and drug abuse in New York city.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0, 584-604. 

  5. Corman, H., Joyce, T. and Lovitch, N. (1987). Crime, deterrence and the business cycle in New York city: A VAR approach.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9, 695-700. 

  6. Deadma, D. and Pyle, D. (1997). Forecasting recorded property crime using a time-series econometric model.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37, 437-445. 

  7. Godfrey, L. (1978). Testing for high order serial correlation in regression equations when the regressors include lagged endogenous variables. Econometrica, 46, 1303-1310. 

  8. Ju, I. and Cho, K. (2012). Analysis of seasonal factors on crime occurrenc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8, 101-124. 

  9. Kutner, M. H., Nachtsheim, C. J. and Neter, J. (2004). Applied linear regression models, 4th Ed., McGraw-Hill Irwin, Chicago. 

  10. Kim, H. (2004). The effect of the green space on the crime in the city,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1. Lee, H. (2015). Analysis of statistical models on temperature at the Suwon cit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409-1416. 

  12. Lee, S. (2007). A study on the foreigners' crimes in Korea.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6, 79-110. 

  13. Lee, T. (2010). A study on crime factors : Focusing on urban areas,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4. Lim, S. S. (2014). A study on the forecasting models using housing price index.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65-76. 

  15. Park, M. R. and Kim, Y. S. (2015). Crime risk implementation for safe retur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097-1104 . 

  16. Park, S., Jang, A. and Lee, J. (2009). Social change and crime trends in Korea, 1966-2007. Social Research, 18, 45-72. 

  17. Park, Y. and Kim, K. (2002). Time series analysis using SAS/ETS 1, Freedom Academy, Seoul. 

  18. Park. Y. and Song, S. (1998). Business & economic data analysis using SAS/ETS, Freedom Academy, Seoul. 

  19. Park, H.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rates and economic indicator: focusing on unemployment,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 Ryu, S. R. and Kim, J. T. (2013).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for forecasting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21-332. 

  21. Shah Habibullah, M. and Baharom, A. H. (2009). Crime and economic conditions in Malaysia.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36, 1071-10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