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 (K-WEL)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K-W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6, 2016년, pp.1609 - 1619  

김희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송영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45명이 99문항의 WEL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을 작성하였고, SPSS WIN 22.0와 AMOS 18.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는 71문항, 14개 하위척도로 구성되었다. 각 하위척도는 4개의 요인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질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신체적 자기, 적응적 자기, 모델의 적합도${\chi}^2=225.12$, p<.001, CMIN/DF=3.17, RMSEA=.08, NFI=.87, IFI=.91, CFI=.91로 나타났다. 도구의 집중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기각비 (C.R.)는 2.95~16.84로였고, 표준분산추출 (AVE)도 .61~.69로 수용 가능하였다.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 Cronbach's ${\alpha}$는 .55~.87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가 한국인의 웰니스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에 타당하고 신뢰성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K-WEL). A total of 345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99-item K-WEL. Construct validity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Myers 등 (2000)이 개발한 WEL을 번안하여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평가 척도 (KWEL)를 개발하고,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WEL은 웰니스 수레바퀴 모델에 기반하여 다차원적인 웰니스의 속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로서, 대상자의 강점에 기반한 건강증진 상담과 교육에 사용되어 왔다 (Myers와 Sweeney, 2008). 본 연구는 WEL을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한국형 웰니스생활양식 평가 척도 (K-WEL)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웰니스 수레바퀴 모형 구조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았으나, 총 71문항 14개 하위척도, 4개의 요인구조로 구성된 K-WEL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웰니스 수레바퀴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WEL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71문항 14개 하위척도,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 (K-WEL)의 구성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검증되었다.
  • 한국계 미국 청소년 (Chang과 Myers, 2003)과 한국 상담가를 대상으로 (Jang 등, 2012) 시행한 WEL의 비교문화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기와 자기 관리, 현실적 신념 등에서 미국인과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웰니스 생활양식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현실적 신념은 다른 하위척도와 별개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한국과 미국의 상담가를 대상으로 5-Factor WEL을 검증한 결과 한국 상담가에서 요인적재량이 수용이 어려운 수준으로 낮아 하부척도에서 제외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Jang 등, 2012). 현실적 신념은 사람들이 자신의 근거 없는 신념, 예를 들어1) 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거나 인정받아야 한다 2) 나는 완벽해야 한다 3) 인생은 완벽히 공평해야 한다 등의 신념을 보존함으로써 개인의 웰니스가 방해받는다는 명제를 반영하는 척도이다 (Myers 등, 2000). 실수에 대한 태도나 자신에 대한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대는 특히 한국인의 생활양식과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Park 등, 2010; Chan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지 않고 사회적 자기에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EL이란 무엇이며 어디에 사용되어 왔는가? WEL은 웰니스 수레바퀴 모델에 기반하여 다차원적인 웰니스의 속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로서, 대상자의 강점에 기반한 건강증진 상담과 교육에 사용되어 왔다 (Myers와 Sweeney, 2008). 본 연구는 WEL을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한국형 웰니스생활양식 평가 척도 (K-WEL)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웰니스란?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개념이 질병이 없는 육체적 건강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안녕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 웰니스 (wellness)는 이러한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의 건강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60년대 고차원 웰니스 (highlevel wellness) 이론을 제시한 Halbert Dunn은 웰니스를 ‘개인의 가능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기능의 통합적 방법’이라고 하였고, 80년대 육각형 모형 (hexagon model)을 제시한 Hetter는 ‘사람들이 보다 성공적인 현존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위한 선택을 하도록 하는 적극적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Myers와 Sweeny, 2005). 정의에서 드러나듯 웰니스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생활습관과 관련한 다중영역에서 복합적으로 접근하고 평가해야 한다.
K-WEL은 다양한 셋팅에서 건강증진 활동을 담당하는 간호사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는 이유는? 웰니스는 전인적 측면에서 인간의 기능을 설명하는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건강개념이며, 건강증진 활동의 궁극적 목표이다 (Parker 등, 2001). 따라서 K-WEL은 다양한 셋팅에서 건강증진 활동을 담당하는 간호사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s, T and Bezner, J. and Steinhardt, M. (1997).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perceived wellness: Integrating balance across and within dimensions.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 208-218. 

  2. Anspaugh, D. J., Hamrick, M. H. and Rosato, F. D. (2003). Wellness: Concept and applications, 5th Ed., McGraw-Hill, Boston. 

  3. Bae, B. R.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Chungram Books, Seoul. 

  4. Baek, H. Y., Han, J. R. and Lee, H. S. (2015). Analysis of mortality after death of spouse in relation to duration of bereavement and dependence relation between married couple: Using married couples data from survivor's pension of National Pens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931-946. 

  5. Chan, C., Kim Y. and Owens, R. (2010). Perfectionism and eating disturbances in Korean immigrants: Moderating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ethnic identity.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 293-302. 

  6. Chang, C. Y. and Myers, J. E. (2003). Cultural adaptation of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 style (WEL): An assessment challeng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5, 239-250. 

  7. Edlin, G. and Golanty, E. (2004). Health and wellness, 8th Ed .,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nc, Sudbury. 

  8. Hattie, J., Myers, J. E. and Sweeney, T. J. (2004). A factor structure of wellness: Theory, assessment, analysis, and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2, 354-364. 

  9. Hong, D. W. and Kim, C. K.(2008). The development of wellness scale for adolescents in Ko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 67-82. 

  10. Jang, Y. J., Lee, J., Puig, A. and Lee, S. M. (2012). Factorial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for the five factor wellness inventory with korean and american counselors.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5, 71-83. 

  11. Kang, B. S. and Kim, G. S. (2009). Social science statistical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Co., Seoul. 

  12. Kang, H. C.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e, 43, 587-594. 

  13. Kim, S. K. (2000). Development of lifestyle assessment inventory for wellness of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9, 963-982. 

  14. Kwon, S. H. (2015). Wheel of wellness counseling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eld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es, 45, 459-468. 

  15. MacCallum, R. C., Widaman, K. F., Zhang, S. and Hong, S. (1999).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4, 84-99. 

  16. Moo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0 , Hakjisa, Seoul. 

  17. Myers, J. E. (2003). Manual for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2nd Ed., MindGarden Inc, Palo Alto. 

  18. Myers, J. E. and Sweeney, T. J. (2005). Counseling for well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Alexandria. 

  19. Myers, J. E. and Sweeney, T. J. (2008). Wellness counseling: The evidence base for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6, 482-493. 

  20. Myers, J. E., Luecht, R. M. and Sweeney, T. J. (2004). The factor structure of wellness: Reexamin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models underlying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WEL) and the five factor WEL.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6, 194-208. 

  21. Myers, J. E., Sweeney, T. J. and Witmer, M. (2000). Counseling for wellness: A 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8, 251-266. 

  22. National Wellness Institute (1983). Life style assessment questionnaire, 2nd Ed., Steven Point, Wisconsin. 

  23. Park, H., Heppner, P. and Lee, D. (2010). Maladaptive coping and self-esteem as mediators betwee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48, 469-474. 

  24. Parker, M. W., Fuller, G. F., Koenig, H. G., Bellis, J. M., Vaitkus, M. A., Barko, W. F. and Eitxen J. (2011). Soldier and family wellness across the life course: A developmental model of successful aging, spirituality, and health promotion, Part II. Military Medicine, 166, 561-570. 

  25. Renger, R. F., Midyett, S. J., Mas, F. G., Erin, T. E, McDermott, H. M., Papernfuss, R. L., Eichling P. S., Baker D. H., Johnson K. A. and Hewitt M. J. (2000). Optimal living profile: An inventory to assess health and wellnes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4, 403-412. 

  26. Song, J. J. (2011).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21c books, Gyunggido. 

  27. Travis, J. W.(1981). The wellness inventory, Wellness Associates, Mill Valley. 

  28. Woo, J. P. (2012).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e Publishing Co.,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