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잡지에 나타난 농촌주택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of Rural Houses in the Architectural Magazine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4, 2016년, pp.183 - 194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광우 (전북대학교) ,  김혜란 (한국지역환경문화연구원)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ral house came into the rapid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Saemaul movement in the past. This change continue to the current era, there is a such exotic forms and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new house and Saemaul housing and existing conventional farmhouse in rural area. Su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국내 건축관련 잡지에 나타난 농촌주택의 경향을 분석·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 농촌주택의 올바른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 및 주택잡지에 게재된 농촌지역에 위치한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을 구성하는 내외부 공간에 대한 요소와 기타 내용에 대한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촌지역 현장조사를 통한 농촌주택 및 마을의 특성을 분석한 방법과 건축지 및 전문서적의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주택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보았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제로 농촌주택의 확산 경향이 어떤 건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조사 분야 중에서 건축관련 잡지 분야에 한정하여 조사를 시행하고, 이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국내 건축관련 잡지에 나타난 농촌주택의 경향을 분석·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 농촌주택의 올바른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데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이와 같이 농촌주택의 시대별, 지역별 변화경향을 분석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주택관련 건축전문지를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구성요소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농촌주택의 경향과 거주자들의 성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붕 형상 및 재료와 관련된 농촌주택의 최근 경향은 어떠한가? 주택의 형태에 있어서는 단순형이 분절 형과 혼합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부속사가 없는 경우가 하나의 동만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나 주택의 구성에 있어서는 단순화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붕형상 및 재료에 있어서는 서양식 주택에서 많이 볼 수있는 경사지붕과 아스팔트싱글이 본 조사에서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 거주자들의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기타부속기와를 포함하여 한식기와를 사용하는 주택도 적지 않게 조사되어 전통적인 재료를 선호하는 경향도 함께 나타났다. 창호는 절대적으로 PVC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제품이 다양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점들이 농촌지역에서 선호되는 주 이유로 판단되고 PVC이외에 목재도 다른 재료들에 비해 많이 사용되고 있어 한옥대중화로 인한 사용량 증가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농촌의 경관과 주거공간을 전통적인 모습과 단절시킨 계기는 무엇인가? 1970년대 농촌주택개량사업을 통한 농촌주택의 근대화 과정은 농촌의 경관과 주거공간을 전통적인 농촌의 모습과 단절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80~90년도 각종사업들을 통한 농촌주택의 변화의 모습은 현 시대에 와서도 다양한 이유들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촌사회 내 다문화가족, 독거노인 등 동질적이던 농촌 인구구성의 이질성 증가와 도시인구집중 현상에 따른 과소화․공동화 및 주민 고령화 심화로 인해 주거환경은 급속도로 퇴락이 진행되고 있다(정건채 등, 2003).
농촌지역에 들어서고 있는 서양식 또는 국적불명 형태의 농촌주택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근래 농촌지역에 들어서고 있는 서양식 또는 국적불명 형태의 농촌주택들은 경관과 부조화될 뿐만 아니라, 우리 농촌지역 고유의 정체성까지 변형시키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를 증명할 수 있는 실제적인 농촌주택의 건축 현황과 실태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사회적 문제제기와 정책적 입안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W. K., Jeong, D. S., Lim, C. S., Kim, H. R., Joo, D. K., Jung, K. H., 2014, Direction and Challenges of Rural Houses Reflect the Traditional Beauty, Urban Information Service, No.384, 3-20. 

  2. Chung, I. H., Lee, S. W., 2010,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Preference of Urban Residents Who Migrate to Rural Area, The Korea Rural Sociological Society, 20(2), 163-190. 

  3. Han, G. J., Cho, Y. H., 2006, An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of the User's Additional Requirements of Reconstructed Farmhouses by Rural Residence Improving Project of Anseong, 2001,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7), 71-78. 

  4. Han, J. M., Lee, J. M., 2012,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ity in the Japanese Contemporary House-Focus on the House Contained in the Selected Architectural Designs, a Special Numbers(2006-2011) of the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Architectural Institut,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9), 165-172. 

  5. Hwang, Y. W., 2010, A Study on the Change to the Elevation and Roof of the Standard Rural-House Design After 1990's, The Korean Hosing Association, 21(1), 23-30. 

  6. Jang, S. J., 2010, A Study on the Typology and Evolution of Villages and Houses in Rural Areas - Case Study of 13 Villages between the 1980s and 2010,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7), 63-74. 

  7. Jeong, G. C., Kim, G. T., 2003, A Study on the Structural Types and Changable Aspects of Living Space Form of Rural Housing in Village Typ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2), 11-18. 

  8. Jeong, Y. J., 2012, A study on the Types of Facade Design of Korean Sub-urban Housing : Focused on Structural Types, Korea University. 

  9. Kang, H. Y., 2011, Research Reports : Pattern Design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of Chungnam Old Roads,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2), 12-25. 

  10. Kang, S. H., 2009, The Transformations of the Farm Houses since the 1980s : A Case Study of Pallangri, Dongjabuk, Hyodong Village, the University of Seoul. 

  11. Kim, H. A., Kang, M. S., 2004, An Analytic Study on the Features and Changes of Modern Korean Houses Illustrated on Popular Magazine. as Gender Categories-Based on Korean Houses Illustrated on Popular Magazine in the 1980-2000,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 295-298. 

  12. Kim, H. R., Lim, C. S., Kim, S. B., Kim, E. J., Hong, K. W., 2013, A Study on Analysis with Present Archtectural Conditions of Rural Housing - Focus on Area of Rural Village Remodeling Projects, The Korea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386-387 

  13. Kim, S. J., Lee, S. M., 2011, A Study on the Tendancy of Architecturalizing in lighting for a Residential building - Focus on the Interior Magazine from 2000 to 2009,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 61-70. 

  14. Kim, Y. J., Kim, S. I., 1995, A Study on the Prototype of Site and Floor Plan Patterns of Rural House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9), 15-26. 

  15. Lee, H. W., 2009, A Study on the Rural House Planning Directions - Focused on the Life Style Analysis of the Rural Resident,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2), 43-57. 

  16. Lee, J. M., Byun, H. R., Choi, R., 2010, Analysis of Studies on Rural Housing and Use of Spac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10(1), 123-124. 

  17. Lee, J. O., Han, P. W., 2012,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History, 21(1), 171-186. 

  18. Lee, J. S., Lee, E. H., 2004, Trend Analysis of the Image and Component Features of Periodical Interior of Korean House Living Rooms Since the 1970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3), 153-162. 

  19. Lee, S. J., Kim, J., Yoo, J. W., 2013, A Study on House Plans and Life Conditions of Do-Jin Village in An-Dong,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5), 83-90. 

  20. Park, G. B., Park, J. M., 2013, A Study on the Housing Survey on Material and Structure Type of Rural House in Chungcheong,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3(2), 643-644. 

  21. Park, J. H., Rhee, S. H., 1997, Research Paper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for the Rural House Constructed by Standard Plan by the Investigation of Existing Conditions,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3(1), 105-113. 

  22. Park, K. B., Choi, C. H., 2006, A Study on the Multi-family Housing Published on the Architectural Magazin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3), 99-106. 

  23. Park, M. L., Ryu, Y. S., Kim, j. W., Joo, H. J., Lee, Y. H., 2012,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tatus and Heating Energy Use in Rural Housing : with Focus on the Cases of Six Villages, Daeha-ri etc., Pyeongchang-gun and Four Villages, Gusan-ri etc., Iksan-si,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344-350. 

  24. Yi, S. S., Sung, D. C., 2012, A Study on the Type of Plane at Hanok in Haengbok Villag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4(2), 27-34. 5(3), 65-74. 

  25. Yoon, J. S., Kim, S. W., Choi, B. S., 1989, The Study on the Pattern of Architectural Changes of the Rural Houses near Seoul,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3), 65-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