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교사 인성교육지도역량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Scale for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5, 2016년, pp.129 - 144  

고은경 (동아대학교 휴먼라이프리서치센터) ,  전효정 (동아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velop a teaching competency scale for charact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Methods: The study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scale items were generat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s a deductive approach and foc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초점화된 집단 면담에 참여한 전문가는 박사수료 원장 4명, 현장경력 7년 이상의 유아교사 4명으로 총 8명이었다. 먼저 초점화된 집단 면담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으며 영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지도역량을 위해 필요한 구성 내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참여자 의견은 면담 과정에서 요약되었으며 당일 전사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 척도를 개발하는 것으로 전문가 면담을 통해 개념적 구인을 실시한 이후에 영유아교사 인성교육지도역량 척도를 3요인의 총 27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개발 단계에서 연역적구인으로는 Jeong등(2013)의 인성교육 원리와 OECD (2005)의 역량 개념에 근거하였으며 귀납적으로는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집단 면담 자료의 표현과 용어를 사용하여 영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생활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가도구의 요인들을 구성하는 구인단계에서, 선행연구의 개념적 구성들을 제시하고 검토하는 연역적 구인과정과 실제 경험적인 내용들에서 개념들을 추출하는 경험적 구인과정을 연구절차에 함께 포함시켰다.
  • 이를 위한 이론적 구인으로 선행연구의 인성교육 원리와 역량 개념을 토대로 할 것이며, 또한 경험적 구인을 위해 유아교육기관 현장 전문가들과의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하여 이론적 측면과 경험적 측면을 종합한 개념으로 인성교육지도역량의 내용을 구성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문항 양호도, 타당도, 그리고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척도의 개발은 유아교육 기관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며 나아가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에 대한 파악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인성교육지도역량 척도의 개발을 위한 방향은 첫째,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은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 성찰과 같은 총체적인 역량으로 정의하고 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이 교사의 전인적인 교수역량을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이다.
  • 그러나 유아 인성교육의 목적을 ‘자신에 대한 이해’, ‘타인에 대한 배려, 존중’, ‘더불어 살기 위한 능력 배양’으로 규정하고 있어, 유아 인성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자체는 자신과 타인과의 삶을 위한 ‘전인적으로 바람직한 인간상을 함양’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MEST, 2011). 한편, 구체적인 학습목표들은 이러한 인성 덕목들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기르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어 인성적 덕의 내면화 뿐 아니라 실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함을 알 수 있다.

가설 설정

  • 인성교육지도역량 척도의 개발을 위한 방향은 첫째,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은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 성찰과 같은 총체적인 역량으로 정의하고 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이 교사의 전인적인 교수역량을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이다. 둘째, 인성교육의 주요 주체가 영유아와 영유아 교사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것이다. 셋째,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맥락이 영유아 보육기관 혹은 교육기관이라는 배경적 특수성을 고려할 것이다.
  • 둘째, 인성교육의 주요 주체가 영유아와 영유아 교사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것이다. 셋째,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맥락이 영유아 보육기관 혹은 교육기관이라는 배경적 특수성을 고려할 것이다. 이러한 주요 개발방향에 근거하여 영유아 교사의 인성교육지도역량의 요인이 구성될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요인에 따라 체계적으로 인성교육이 강화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의 기초자료로서의 근거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사에게 인성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과 교사의 실천을 지원하는 기관의 풍토가 필요한 이유는? 학생의 인간으로서 행복할 권리를 회복하고 자살 및 일탈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인성교육이 영유아들이 생활하는 기관에서부터 실제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교수 행위의 주요 주체인 유아교사에게 인성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과 교사의 실천을 지원하는 기관의 풍토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유아를 위한 인성교육의 개념적 특성과 기관에서 영유아교사에 의해 수행되는 인성교육의 실행적 특성을 차례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성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시각은? 먼저, 인성에 대한 관점들을 살펴보면, 인성(character)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시각은 인성을 인간의 바람직한 도덕적 품성으로 보는 관점이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 trans.
긍정심리학에서 인간의 강점 특질이 될 수 있는 요소는? 대표적으로 Peterson과 Seligman (2004)은 철학 및 심리학적 문헌들을 고찰하여 인간의 강점 특질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VIA 분류체계로 구성하였다. 여기에는 ‘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정의’, ‘절제’, ‘초월성’, ‘영성’에 해당하는 전체 24개의 강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심리적 강점들이 개인의 안녕을 이끈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2. Arnon, S., & Reichel, N. (2007). Who is the ideal teacher? Am I?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tudents of education regarding the qualities of a good teacher and of their own qualities as teachers. Teachers and Teaching, 13(5), 441-464. 

  3.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ademic of Marketing Science, 16, 76-94. 

  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5. Berkowitz, M. W., & Bier, M. C. (2004). Research-based character education.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91(1), 72-85. 

  6. Berkowitz, M., & Grych, J. H. (2005).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1), 55-72. 

  7.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 variables. New York: John Wiley & Sons. 

  8. Brown, T. A. (200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NY: Guilford Press. 

  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0. Character.org. (n.d.). 11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Web page]. Retrieved October 4, 2016, from http://character.org/more-resources/11-principles 

  11. European Commission. (n.d.). Key competences [Web page]. Retrieved October 4, 2016, from http://ec.europa.eu/education/policy/school/competences_en 

  12. Kelley, T. L. (1939). The selection of upper and lower groups for the validation of test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0(1), 17-24. 

  13. Kirschenbaum, H. (1977). In support of values clarification. Social Education, 41(5), 398-402. 

  14. Gorsuch, R. L. (1983).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 Lickona, T. (1996).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25(1), 93-100. 

  16. Lickona, T., & Davidson, M. (2005). Smart and good high schools: Integrating excellence and ethics for success in school, work, and beyond. Cortland, NY: Center for the 4th and 5th Rs (Respect and Responsibility), and Washington, DC: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17.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arly Education and Care. (2010). Core competencies for early education and care and out-ofschool time educators (1st ed.). Retrieved from http://www.mass.gov/edu/ 

  18. Milson, A. J., & Mehlig, L. M. (20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1), 47-53. 

  19.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Press. 

  20.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1. Shields, D. L. (2011). Character as the aim of education. Phi Delta Kappan, 92(8), 48-53. 

  22. R Development Core Team. (2016).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Computer software]. Vienna, Austri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Retrieved from http://www.R-project.org 

  23. Rosseel, Y. (2012). Lavaan: An R package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8(2), 1-36. Retrieved from http://www.jstatsoft.org/v48/i02/ 

  24. Rumelt, R. P. (1991). How much does industry matter?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2(3), 167-185. 

  25. The New Zealand Curriculum Online. (n.d.). Key competencies [Web page]. Retrieved October 4, 2016, from http://nzcurriculum.tki.org.nz/Key-competencies 

  26. Ullman, J. B.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B. G. Tabachnick & L. S. Fidell (Ed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pp. 653-771).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7. Wernerfelt, B. (1984). A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5(2), 171-180. 

  28. Yoo, S. H. (2015). Young children's use of trait similarity information to make inference of others.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5(2), 83-94. Retrieved from http://www.e-csac.org/html/sub04_01.asp In Korean 

  29. Aristotele (2011). Nicomachean ethics (S. J. Kim, Trans.). Seoul: Ghil Publish. 

  30. Bae, S. S., & Suh, M. O. (2012). The teachers' and pare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a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3(1), 57-76. 

  31. Chi, E. L., & Ju, U. H. (2012). Exploring the construct and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5(1), 69-94. 

  32. Jeon, J. S.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sonality (insung) self assessment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307422 

  33. Jeong, C.-W., Son, K.-W., Kim, N.-J., Shin, H. J., & Han, H. M. (2013). Survey studies and activation method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4. Kim, E. S. (2015).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self assessment scale of early child hood teachers.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9(3), 1-15. 

  35. Kim, K. H. (2013). A study on role of teacher for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1), 133-150. 

  36. Lee, H.-J. (2005). A study of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s humani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925866 

  37. Lee, K. M., Lee, J. H., & Lee, G. S. (2006). A study of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3(1), 169-193. 

  38. Lim, J. H., Kim, K. M., & Jo, E. Y. (2015).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teaching-efficacy instrument for prospectiv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57, 27-44. 

  3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Fostering talented individuals through a blend of creativity and care: Basic strategies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kindergarten curriculum substantialit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1. Moon, S. B. (2009).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KJISA corp. 

  42. Park, B. K., & Doh, H. S. (2002). Correlates of peer victimization: Personality traits, parent attachment, and marital conflic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5), 51-64. Retrieved from http://kiss.kstudy.com 

  43. Park, K.-O. (2010). A study on would-be young child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 character educatio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54105 

  44. Yoon, H. 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eaching practices in movement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1), 255-274. Retrieved from http://www.riss. kr.ca.skku.edu:8080/link?idA60039676 

  45. Yoon, Y. D. (2015). Current character education for students and needs for teacher competency. Thesis Collection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38, 33-58. Retrieved from http://www.newnonmun.com/article194786 

  46. Yu, B. Y. (2008). Moral education. Paju: YSWPUB.CO.LT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