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습일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및 보육실습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wn in Practice Teaching Journal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6, 2016년, pp.227 - 248  

이미란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e teaching journ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52 practice teaching journals of 26 pre-servi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양성을 위한 현장실습이 사전실습, 정규실습, 사후실습 등으로 세분화 되어 실시되기도 하지만(윤기영 등, 2011; 문혁준, 백혜리, 김정희, 김혜연, 김민희, 2010) 본 연구에서는 실습지도교사와 대학의 실습지도교수의 협조 아래 4-6주에 걸쳐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정규실습을 현장실습으로 다루고자 한다. 정규실습은 현장에서 교사로서의 직무 수행을 전체적으로 경험해보는 과정으로서 수업실습과 실무실습으로 구분된다(윤기영 등, 2011).
  •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실습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일지와 보육실습일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 실습내용 분석을 위해 실습일지에 나타난 실습 운영형태, 예비유아교사가 직접 계획하고 준비하여 수행한 교육 및 보육 활동을 조사하였다.
  • 특히, 연구대상의 대학은 실습기관 선정과정과 현장실습 지역의 다양성 등에서 다른 대학의 실습운영과정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내용을 실습일지 기록내용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예비유아교사의 기록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실습일지 기록은 실습경험의 주관적 회고에 의존하지 않은 실습 중의 즉시적 기록이라는 점에서 유용성을 제기할 수도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을 모두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에서 어떠한 실습내용을 경험하였는지 조사,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두 실습유형의 실습과정을 통해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실습내용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이 때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은 정서나 갈등 등의 개인내적 측면보다 실습과정에서의 운영내용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에서 어떠한 실습을 경험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수업실습을 반영하여 실습의 운영형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지도 실습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자신이 계획하고 준비하여 수행한 활동의 유형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장실습이 교사로서의 역할과 직무를 사전에 경험하여 교직에 대한 태도 및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회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정규실습과정 중 실무실습에 해당하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을 조사하고자 한다.
  •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지도 실습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자신이 계획하고 준비하여 수행한 활동의 유형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장실습이 교사로서의 역할과 직무를 사전에 경험하여 교직에 대한 태도 및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회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정규실습과정 중 실무실습에 해당하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매일 자신의 반성과 소감을 기록한 저널쓰기에 어떠한 교사의 역할, 직무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며 분석의 도구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2016)에서 개발한 보육교사 직무능력단위를 적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에서 어떠한 실습을 경험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수업실습을 반영하여 실습의 운영형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지도 실습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자신이 계획하고 준비하여 수행한 활동의 유형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 종료 후 대학에 제출한 실습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실습일지에 기록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각 실습일의 실습운영형태가 5가지 형태 중 어느 형태에 해당하는지 조사하였다.
  • 그리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두 실습유형의 실습과정을 통해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실습내용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이 때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은 정서나 갈등 등의 개인내적 측면보다 실습과정에서의 운영내용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을 모두 포함한 연구가 소수 보고되고 있다(이정미, 김은정, 2009; 이희경, 2011; 임효진,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을 모두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에서 어떠한 실습내용을 경험하였는지 조사,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두 실습유형의 실습과정을 통해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실습내용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유아교사는 교사양성과정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무엇을 얻는가? 이러한 교사양성프로그램 중 현장실습은 교사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학습기회이며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예비교사는 양질의 실습 프로그램을 경험하여야 한다(Clement, 2002; Darling-Hammond, 2006; Ferrier-Kerr, 2009). 예비유아교사는 교사양성과정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태도와 역할, 일과운영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총체적으로 습득하고 실습과정을 통해 형성된 실천적 지식과 전문성은 교사가 되었을 때 교사로서의 역량을 발휘하는데 초석이 된다(박은혜, 2013; 이선미, 2012).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현장실습을 이전에는 교사양성과정 마무리 단계에서 대학에서 학습한 이론 및 지식을 단지 현장에서 연습하거나 훈련하는 제한된 과정으로 간주하였는데 근래에는 실습과정을 예비교사가 교육활동 및 교직생활을 경험함으로써 교수능력 등의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함양하고 교육적 신념을 확립하여 자신의 교직적성을 파악하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연속적인 단계의 의미로 확대하여 인식하고 있다(김미경, 2011; 배소연, 윤기영, 조부경, 1994). 그러므로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은 유아교사의 다양한 역할과 직무를 체험하고 시도해보고 수행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현장실습에서의 경험은 교사로서의 역량 및 정체성 확립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교육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교사교육은 현직에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현직교육과 교사가 되기 이전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양성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의 교사양성과정은 유아교육 및 보육에 관한 이론적 지식은 충분히 다루고 있지만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Korthagen, Kessels, Koster, Lagerwerf, & Wubbles, 2001)를 반영하여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이론과 실제 사이의 거리를 좁히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Bencze, Hewitt, & Pedretti, 2001; Stacey,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국가직무능력표준 (2016). 2016년 NCS개발매뉴얼 개정(안). https://www.ncs.go.kr/ncs/page.do?skP1A4_PG09_002에서 2016년 8월 8일 인출 

  2. 권혜진 (2015). 교직사회화 맥락에서 본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경험의 의미 탐색. 학교사회복지, 32, 27-52. 

  3. 김남행 (2007).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남희 (2009). 보육실습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에 대한 인식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8(4), 85-114. 

  5. 김미경 (2011).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과 극복요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15(2), 135-160. 

  6. 김안나 (2011). 교육실습에 비춰진 예비유아교사의 감정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9-49. 

  7. 김은영, 김길숙, 이연주 (2016).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에 대비한 교사자격제도 개선 방안: 교사 양성기관 교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141-160. 

  8. 김창복, 김근규, 이일랑 (2013). 미국예비유아교사의 사전실습에 대한 연구: 현장참여와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1), 163-193. 

  9. 문혁준, 백혜리, 김정희, 김혜연, 김민희 (2010). 보육실습. 서울: 창지사. 

  10.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1. 박정옥, 김태인 (2011). 반성적 저널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371-394. 

  12. 배소연, 윤기영, 조부경 (1994).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의 교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4(1), 173-198. 

  13. 백지희 (2016).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의 주된 활동 및 직무와 정서 탐색. 유아교육연구, 36(4), 201-222. 

  14. 서혜정, 김은영 (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15. 성원경(2007). 실습 전.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송연숙, 박영옥 (2015).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219-242. 

  17. 송주승, 정혜명 (2009). 유아교육과 재학생의 교육실습 실태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41-57. 

  18. 신은수 (1996). 4년제 유아교사양성대학의 정규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현장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 25, 315-328. 

  19. 신은희 (200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지영 (2015).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하는 유아와의 관계 맺기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9(5), 393-417. 

  21. 양옥승, 조유나, 나은숙, 김호인, 손복영 (2011). 영아발달과 보육. 서울: 신정. 

  22. 엄은나 (2013).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현장실습의 어려움. 아동보육연구, 9(1), 45-64. 

  23.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223-248. 

  24. 오선영 (2003).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7(1), 69-91. 

  25. 오영희, 이성희 (200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관찰 및 참여. 서울: 양서원. 

  26. 오욱환 (2005). 교사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서울: 교육과학사. 

  27. 유병예 (2013). 예비보육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흥옥 (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예비교사의 발달적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육선희 (2001). 교육실습일지 분석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기영, 정현숙, 류칠선, 조인경, 신현주, 신은희 (2011). 유아교육실습. 경기: 양서원. 

  31. 윤향미, 장영희 (2013).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유아교육연구, 33(4), 267-289. 

  32. 이대균, 김선구 (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313-338. 

  33. 이명순, 곽승주, 전영희 (2010). 영아보육과정. 경기: 정민사. 

  34. 이선미 (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35. 이정미, 김은정 (2009). 예비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03-325. 

  36. 이희경 (2011). 유아교육과 학생이 유치원현장실습과 보육실습 기간에 경험하는 유아 교사의 역할. 영유아교육연구, 14, 41-55. 

  37. 임경심 (2009). 유치원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효진 (2007). 교육.보육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지형 (2015). 자유선택활동 계획 및 실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갈등.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203-229. 

  40. 정남미 (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 분석: 실습생, 지도교사, 원감, 원장입장에서. 유아교육연구, 12(6), 215-235. 

  41. 조부경, 고영미 (2004).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과의 협력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4(3), 47-76. 

  42. 조양순, 나귀옥 (2015, 11). 유아교육.보육현장에서 보는 바람직한 통합 유아교사 양성체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43. 조운주 (2004).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 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5-25. 

  44. 최명아 (2013). 유치원교육실습 현황과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요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은아, 탁정화 (2015).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에 따른 실습 불안과 소진의 변화양상.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727-757. 

  46. Barber, M., & Mourshed, M. (2007). How the world's best performing schools come out on top. London: McKinsey and Company. 

  47. Bencze, L., Hewitt, J., & Pedretti, E. (2001). Multi-media case methods in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Enabling an apprenticeship for praxi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191-209. 

  48. Bransford, J., Darling-Hammond, L., & LePage, P. (2005). Introduction. In L. Darling-Hammond & J. Bransford (Eds.),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pp. 1-39).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9. Clement, M. C. (2002). What cooperating teachers are teaching student teachers about classroom management. The Teacher Educator, 38(1), 47-62. 

  50. Darling-Hammond, L. (2006). Powerful teacher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1. Ferrier-Kerr, J. L. (2009). Establishing 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practicum setting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6), 790-797. 

  52. KOC, K. (2012). Using a dilemma case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Does it promote theory and practice connection?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2(4), 3153-3163. 

  53. Korthagen, F. A. J., Kessels, J., Koster, B., Lagerwerf, B., & Wubbles, T.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54. Sibert, S. M., & Rieg, S. (2016).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self-confidence in traditi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field placements. National Teacher Education Journal, 9(2), 47-56. 

  55. Stacey, S. (2009). Emergent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settings: From theory to practice. St. Paul, MN: Redleaf Press. 

  56. Wyss, V. L., Siebert, C. J., & Dowling, K. A. (2012). Structuring effective practicum experiences for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132(3), 600-6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