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ce Education Lectur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4, 2014년, pp.97 - 118  

이은진 (계명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정희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demand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lectures. In order to verify this purpose, it was applied to 228 pre-service teachers in a 3-year early childhood teacher - training department. There were 3 grades which finish the teacher p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유아들의 과학활동을 접해보고 유아들과 함께 유아과학활동을 운영해 본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대학의 아동과학지도수업 운영 가운데 교육 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문제별로 나온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대학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교육과정 및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선행연구들(강민정 등, 2009; 남소현, 2006; 서지원, 2007; 황해익 등, 2004)과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전공수업과 다양한 교수방법의 특징과 의미를 알아본 선행 연구들(박은혜, 2002; 성원경 등, 2010; 이대균 등, 2009)을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 교사교육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기본 방향은 자질 있는 교사를 양성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임에는 변함이 없다(조부경, 김정화, 2005).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유아들의 과학활동을 접해보고 유아들과 함께 유아과학활동을 운영해 본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아동과학지도수업 운영, 특히 아동과학지도수업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아동과 학지도수업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기관에서 질적 수준이 높은 교육 펼치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질적 수준이 높은 교육을 펼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적정 수준 이상의 교사 자질이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교사양성을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교육의 본질을 올바로 이해하고 유아에 대한 이해는 물론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유아교육 현장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갖춘 전문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교육의 초점을 두어야 한다(강민정, 이연승, 유희정, 2009).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 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의 특수성과 지역의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만 0-2세를 위한 표준보육과정과 만 3-5세를 위한 누리과정을 기본으로 유아교육기관의 특수성과 지역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각 기관 나름대로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하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의 특수성과 지역의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한다는 것은 교사에 따라 특정 교육과정이 유아교육현장에 도입되어 운영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아 교사는 초·중등 교사처럼 정규 교과목을 규칙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자율성이 부여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민정, 이연승, 유희정(2009).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유아교육연구, 29(6), 301-319. 

  2. 교육부(2012). 유치원 및 초등.중동, 특수학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12-27호. 

  3. 김기예, 박은주(2012).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487-508. 

  4. 김낙흥(2008). 유아교사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2), 195-212. 

  5. 김다영, 황은희, 이경옥(2012).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에 있어서 과학교수 불안의 매개효과 연구. 유아교육연구, 32(6), 287-305. 

  6. 김선구, 이대균(2010). 교수 및 동료 예비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을 활성화한 '유아과학교육' 교과목 수강 경험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35-61. 

  7. 김영숙((2008). 예비초등영어 교사를 위한 반성적 모의 수업 모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24(2), 159-181. 

  8. 김영실, 임양금, 최인숙, 안진경(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21-136. 

  9. 김정주(2006). 과학영역 운영에 관한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지영(2002).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의 변화: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5(4), 133-151. 

  11. 김춘희, 남기원, 우영숙, 최순덕(2011).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69-597. 

  12. 김현진(2008).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4), 169-187. 

  13. 남소현(2006).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은혜(2002). 수업사례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평가. 유아교육연구, 22(1), 105-124. 

  15. 박은혜, 김소혜(1999). 유아교육기관에서 교과내용의 성격과 전문성. 대한어린이 교육협회 제6차 연구발표회자료, pp.54-95. 11월 20일. 서울 : 한국어린이육영회. 

  16. 배지희(2005). 예비유아교사의 관점에 본 실제 교수활동 중심의 유아과학교사교육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25-146. 

  17. 보건복지부(2011).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12 제1항. 

  18. 서지원(2007).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성원경, 이춘자(2010).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전공수업의 특징 및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6(1), 55-78. 

  20. 송연숙(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태도 증진을 위한 포트폴리오 수업 효과 및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55-174. 

  21. 유승연(2000).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수방법에 대한 반성적 사고 증진과 전문성 함양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1), 163-184. 

  22. 이대균, 김선구(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313-338. 

  23. 이연섭, 이석순, 박은미, 이명순, 손혜숙(2004). 유아교육실습. 서울 : 양서원. 

  24. 이은진(2010).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강좌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임경희(2006). 예비교사의 성격, 학습양식, 수업선호 및 지향하는 수업양식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19(1), 81-104. 

  26. 조덕주(2011).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적용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39-167. 

  27. 조부경, 김정화(2005). 유아교육실습: 이론과 실제의 통합. 서울 : 학지사. 

  28. 조부경, 백성혜, 이은진(2005). 물에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 것에 대한 탐색 활동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59-85. 

  29. 황해익, 송연숙, 조영기(2004).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4), 129-150. 

  30. BBecher, R. M., & Abe, W. (1982). The relationship of field placement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potential field performance abilities to clinical experiences performance rating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2), 24-30. 

  31. Bryan, L. A., & Aell, S. K. (1999). Reconceptualising the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using a reflection orient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8, 153-166. 

  32. Henderson, L. W., Basile, K. C., & Henry, G. T. (1999). Prekindergarten longitudinal study: 1997-1998 school year annual report. Atlanta : Georgia State University Applied Research Center. 

  33. Korthagein, F. A. J.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34. Lundsteen, C. T. (1997). Reflections on the process and product of a unit constructed by a pre-service cla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8(2), 12-23. 

  35. Ozgun-Koca, S. A., & Sen, A. I. (2006). The beliefs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subject-area dominant teacher education program about effective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7), 946-960. 

  36. Plonczak, I. (2008). Science for all: Empow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Citizenship and Social Justice, 3, 167-181. 

  37. Van Aalderen-Smeets, S. I., Walma van der Molern, J. H., & Asma, L. J. F. (2012). Primary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 new theoretical framework. Science Education, 96(1), 158-182. 

  38. Weiss, I. R. (1987). Report on the 1985-1986 national survey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riangle Park, North Carolina :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Evaluation, Research Triangle Institute. 

  39. Yayli, D. (2009). Reflection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a listening skill course in an ELT department.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 1820-18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