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수업 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5, 2016년, pp.717 - 727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에 10년 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지난 3주기 간의 TIMSS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현황,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환경 측면으로 범주화해 분석하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과학 수업 현황의 경우는 교수 학습 활동, 평가, 숙제로 3가지 범주로,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은 교사 연수, 교사의 교류, 교사 평가의 3가지 범주로, 학교 환경은 학교 특성, 지원 환경의 2가지 범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그동안의 과학 교육 관련 정책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 수업에서는 다양한 과학 탐구 활동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 중심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험이나 조사 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활동이 감소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평가에 있어서도 사실이나 개념 지식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의 비중이 높지만, 최근 과학적 탐구나 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가 많이 증가하고 있었다. 숙제와 관련해서는 피드백을 주거나 토론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은 낮고 숙제를 다 했는지 점검하거나 성적 산출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에서는 교사들은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과학 내용과 교육 과정, 교수법에 대한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과학과 정보 기술을 통합하거나 비판적 사고력이나 탐구 능력 향상에 대한 연수 비중은 적었다. 학교 지원 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이해나 실행 성과도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자원과 관련해서도 과학 수업을 위한 자원의 부족이 과학 수업에서 많은 영향을 주지 않고 있으며, 일부 부족한 경우도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IMSS survey data, we analyzed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over the last 10 years. Our study selected questions from teachers and school principals' questionnaires and divided them by category: science class, teacher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 수업 현황에서에서 마지막으로 과학 숙제와 관련해서는 숙제의 분량과 숙제와 관련하여 활동하는 유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숙제의 분량과 관련하여 “표집 학급의 학생들에게 대체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과학 숙제를 내줍니까?”에 대한 질문에 대해 척도 ‘15분 이하’, ‘16∼30분’, ‘31∼60분’, ‘61∼90분’, ‘90분 초과’를 각각 1∼5로 순위화하여 분석하였다.
  • 교원 능력 개발 평가에서는 2005년부터 시범적으로 운영되다가 2012년 전면 시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동료 교원 평가가 평가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다. 동료 평가는 기존의 수직적인 평가 체제에서 수평적인 평가를 보완함으로써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교원 능력 개발 평가는 평가 결과를 교사에서 제공하여 수업을 개선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하게 된다(Hong, 1999).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3주기 간의 국제 학업 성취도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분석에 사용한 국제 학업 성취도 자료는 여러 주기 동안 동일하게 사용되는 설문 문항이 많고,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되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표집을 통해 우리나라 전체의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에 10년 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지난 3주기 간의 TIMSS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현황,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환경 측면으로 범주화해 분석하였다.
  • 이러한 과학 교육 개혁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켰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의 변화를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인 TIMSS의 교사와 학교장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과학 수업 현황,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환경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과학 수업에서 다양한 과학 탐구 활동이 수행되고 있으며, 일부 활동 빈도가 낮은 활동의 경우도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 이러한 탐구에 대한 강조, 융합 지향, 토론 수업 활성화와 흥미유발을 위한 수업 방식의 변화로 대표될 수 있는 그동안의 과학 교육개선의 시도는 학습 환경 변화를 이끌어 학교 과학 교육이 가진 문제점을 바꾸어 보고자 하였다. 실제로 학습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에 의하면 학습 환경은 직⋅간접적으로 학생들의 학업 성취 및 정의적 성취, 과학탐구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학교 과학 수업의 변화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이 바로 학교의 교수 학습 지원 환경이다. 이와 관련해서 교사가 느끼는 학교의 교육 환경특성과 지원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된 설문은 교사가 생각하는 학교의 특성과 지원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과학 교육이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중에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 최근 과학 교육이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중에 대표적인 것이 ‘교육과정의 개정(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a;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Ministry of Education, 2015)’과 ‘과학 교육 발전을 위한 종합 계획(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b,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 교육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성취가 낮은 하나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렇게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성취가 낮은 하나의 원인은 그동안 과학 교육에서 끊임없이 탐구 중심의 수업을 지향하여 왔지만 여전히 학교 수업은 지식 위주의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실험 수업의 빈도는 낮은 것이 원인일 수 있다(Park, 2013b). 학생들은 탐구 실험을 통해 추상적인 과학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경험하게 되고,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과학 교육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가지는 특징은? 이러한 과학 교육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첫째, 과학적 탐구에 대한 지속적인 강조를 들 수 있다. 과학 교육에서 탐구에 대한 강조는 과학 교육 개혁 과정에서 끊임없이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제6차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에 탐구에 대한 목표를 제시하는 등 탐구를 실제 학교현장에 정착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02년부터 실시된 ‘탐구⋅실험 중심의 초⋅중등 과학 교육 활성화 계획’에 따라 실험실 현대화 및 과학교구 확충, 실험 탐구학습 지원 자료 개발⋅보급, 과학교사의 실험수업 지도역량 강화 등을 실시하여 탐구실험을 위한 기반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Leem & Kim, 2016).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둘째, 융합을 지향하고 있다. 과학기술⋅예술 융합(STEAM)으로 일컬어지는 융합 과학 교육은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학습내용 및 방식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표로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과학기술⋅예술 융합(STEAM) 교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융합 과학 교육은 미국의 STEM 교육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강조하는 융합 인재 교육은 과학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주는 방향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Baek et al., 2011; Sim, Lee & Kim, 2015). 그러나 융합 과학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교사들이 융합 인재 교육을 단순히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의 나열이나 결합으로 이해하거나, 각 교과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인식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Sim, Lee & Kim, 2015). 셋째, 수업 방식의 변화로 토론 수업 활성화 및 흥미 유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교사 중심의 지식전달에서 벗어나 구성주의를 반영한 학생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참여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흥미를 높이려는 것과 같은 맥락에 있다. 특히,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참여 중심 교수 학습방법 개선’을 강조하고 있으며, 과정 중심의 평가가 확대하고자 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k, Y., Park, H., Kim, Y., Noh, S., Park, J., Lee, J., Jeong, J., Choi, Y., & Han, H.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49-171. 

  2. Cho, J., Kim, S., Lee, S., Kim, M., Ok, H., Rim, H., Park, Y., Lee, M., Han, H., & Son, S. (2011). The trend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s acience study (TIMSS 2011) : a technical report of the main survey in Korea. Seoul: KICE, research report RRE 2011-4-1. 

  3.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93-108). NY: Routledge. 

  4. Hong, K. (1999). Comparative study of teacher's evalu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6(1), 310-328. 

  5. Hong, M., Kang, M. & Kim J. (2010).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68-79. 

  6. Hwang, Y. (2008). An exploratory study of connecting assessment and learning : based on the assessment 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4), 47-72. 

  7.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 (2008). IEA study data repository. Retrieved May. 15, 2016 from http://rms.iea-dpc.org/. 

  8.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 (2016).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timssandpirls.bc.edu/ 

  9. Jeong, E., & Choi, W. (2014) A survey on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 168-181. 

  10. Joo. H., Lee, J., & Kim, Y. (2012). An investigation of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3), 410-422. 

  11. Kang, C., Kang, K., & Lee, S. (2013).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338-347. 

  12. Kwak, Y., Kim, C., Lee, Y., & Jeong, D.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0-268. 

  13. Kim, H., Fisher, D., & Fraser, B. (2000).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er interpersonal behaviour in secondary science classes in Korea. Evaluation and Research in Education, 14(1), 3-22. 

  14. Kim, H., Kwack, H., & Sung, M. (2000).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01-111. 

  15. Kim, H., & Song, J. (2003). Middle school students' ideas about the purposes of laboratory wor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3), 254-264. 

  16. Kim, K., & Woo, A. (2016). The effects of active-based science instruction considering context of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6), 1-25. 

  17. Kim, M., & Kim, Y. (2012). Preference and actuality for science laboratory and teaching environment of science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10), 1567-1579. 

  18. Kim, S., Park, J., Kim, H., Jin, E., Lee, M., Kim, J. Ahn, Y., & Seo, J. (2012a). Trends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IMSS. Seoul: KICE, research report RRE 2012-4-1. 

  19. Kim, S., Park, J., Kim, H., Jin, E., Lee, M., Kim, J. Ahn, Y., & Seo, J. (2012b). Findings from TIMSS for Korea :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Seoul: KICE, research report RRE 2012-4-3. 

  20. Kwon, C., Hur, M., Yang, I., & Kim, Y. (2004). A caus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of change in science attitude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256-1271. 

  21. Lazarowitz, R. & Tamir, P.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pp. 94-128). New York: Macmillan. 

  22. Lee, J. (2015).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5), 885-893. 

  23. Lee, J., & Kim, B. (1999).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by science teacher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2), 315-328. 

  24. Leem, Y., & Kim, Y. (2016). A historical study on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plan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iology Education, 44(2), 210-221. 

  25. Martin, M. O., Mullis, I. V. S., Foy, P., & Stanco, G. M. (2012). The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26.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a).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7.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b). Science education substantial plan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alented person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09).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1). Activating plan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science, technology, art and mathematic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0.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31. Noh, H. (2004).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10.0. Seoul: Hyungseul. 

  32. Park, C. (2013a). Resurgence of formative assessment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6(4), 719-738. 

  33. Park, H. (2013b). A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lessons with experi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79-86. 

  34. Sim, J., Lee, Y., & Kim, H. (2015). Understanding STEM, STEAM education, and addressing the issues facing STEAM in the Korean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709-723 

  35. Sim, J., Noh, E., & Kim, M.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supply-type items and scoring method among domestic, foreign, and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4), 159-185. 

  36. Woolnough, B. E. (1999). School science - real science? personal knowledge, authentic science and student research projects. In M. Bandiera, S. Caravita, E. Torracca & M. Vicentini (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Europe (pp. 245-251).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