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노인 입원환자의 특성 및 ADL (일상생활수행능력) 관련 요인 : 환자조사 자료 (2013-2014)를 이용하여
Characteristics and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Factors of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A Survey of Patients (2013-2014)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3, 2016년, pp.159 - 171  

박영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factors of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wide data of 'Survey of Patients (2013-2014)' administerd by the Ministr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ADL 분류에 따른 인적, 상병별 입원이용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ADL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및 상병 요인과 요양병원 기관 특성을 파악하여, 요양병원의 환자 관리와 기능 정립 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요양병원 입원 노인들의 ADL 현황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표본조사에 의한 소규모 연구들이 있으며[9][10][11][12], 전국단위로 시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전국단위의 환자조사에서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ADL 점수를 포함시키고 있는 점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의 주 역할은? 또한 일부 요양병원에서는 가정에서 노인을 돌볼 인력이 부족한 이유 등으로 장기요양 등급 시설입소 대상이 되지 않는 노인의 사회적 입원 수요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6][7]. 회복 치료, 재활치료, 호스피스 등이 요양병원의 주 역할이고, 신체적, 정신적 기능저하로 거동이 불편한 자에 대한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지원이 요양시설의 역할이나 의료필요성이 없고 돌봄 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사람이 요양병원에 입원하기도 하여,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이 모호하다[8].
ADL 평균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ADL 평균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성, 연령, 건강보험, 타기관 의뢰환자, 호전 않됨과 사망, 전원, 국공립, 백병상당간호직수였고, 병상수와 백 병상당 의사수는 음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다른 조건을 통제했을 때 병상수는 ADL평균에 음의 영향을 주고 있다.
요양병원 입원 노인 환자들 중 가정에서 노인을 돌볼 인력이 부족한 이유로 입원하는 경우로 제기되는 문제는? 요양병원 입원 노인 환자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환자들의 70% 이상이 치매나 뇌졸중등의 질병을 갖고 있어 사물을 판단하는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며, 질병의 후유증 등으로 인한 신체장애나 마비로 식사하기나 화장실 이용하기, 이동하기 같은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요실금 등의 배뇨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가 상당수를 차지하며 장기간 입원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4][5]. 또한 일부 요양병원에서는 가정에서 노인을 돌볼 인력이 부족한 이유 등으로 장기요양 등급 시설입소 대상이 되지 않는 노인의 사회적 입원 수요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6][7]. 회복 치료, 재활치료, 호스피스 등이 요양병원의 주 역할이고, 신체적, 정신적 기능저하로 거동이 불편한 자에 대한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지원이 요양시설의 역할이나 의료필요성이 없고 돌봄 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사람이 요양병원에 입원하기도 하여,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이 모호하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ress paper(2016. 2. 29), "2015 Main Statistic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16. 

  2. K.J. Yoon, Y.H. Oh, S.H. Lee, S.I. Ha, J.Y. Yeo, J.H. Kim, K.J. Lee(2014), Issues and Improving Strategies on Korea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82-83. 

  3. S.K. Park(2014), The Currency and Analysis of Hospital Foundation and Enlargement, The Forum of Medical Policy, Vol.12(3);24-30. 

  4. Y.J. Jang(2015), Inpatient Characteristics by Patient Evaluation Chart in Long-term Care Hospital,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p.4-38. 

  5. H.Y. Lee(2014), Cooperation Method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Medical institution, The Latter 2014 Symposium of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pp.196-210. 

  6. J.H. Kang(2013), Social Admission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pp.57-58. 

  7. S.H. Kim(2014),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asons for Hospitalization of 'Social Hospitalization' Patients and Their Needs-Focused on the Patients in a Convalescent Hospita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pp.57-58. 

  8. Y.S. Shin(2015), How to Make Healthcare Resources Allocation More Efficient, The Forum oh Health and Welfare, Vol.230(1);6-16. 

  9. Y.H. Kim(2013),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Nursing Satisfaction and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57-58. 

  10. J.Y. Kim(2015),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DL and Depression among the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p.13-21. 

  11. J.M. Kim(2010), Pressure Ulcers, Dependenci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Elders in Nursing Home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26-35. 

  12. Y.M. Kim(2015), Relationship among Leg Muscle Strength, Pain,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Hospitalized Elderly,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24-35. 

  13. S.R. Do, Y.S. Jang, Y.H Jung, J.S. Choi, Y.H. Oh, M.A. Oh, E.J. Kim, E.S. Shin, J.H. Jin, D.L. Jin(2013), 2013 Patients Survey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27-296. 

  14. Y.M. Kim(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between the Elderly Residing Institution and Home,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pp.23-34. 

  15. H.K. Cho(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pp.24-34. 

  16. H.Y. Jung, K.I. Jung(2015),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3);95-106. 

  17. J.M. Chae, H.J. Song(2015),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Decline in Activity of Daily Living among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1(3);101-110. 

  18. E.H. Kim, E.J. Lee(2015), Nursing Outcomes of Inpatient on Level of Nursing Staff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26(3);715-727. 

  19. J.H. Park(2013), The Effect of Nurse Staffing on Patient Outcom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 University, pp.96-88. 

  20. H.Y. Jung, Y.K. Jung(2013), Recogni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3);131-141. 

  21. H.J. Song(2012), Long-term Care Hospital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Implications for Korea,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16(3);114-120. 

  22. D.H. Kim(2016), The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Long-term Care Hospital, The Former 2016 Symposium of Kore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pp.79-88. 

  23. Press paper(2015.11.5),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in Health Insuran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7. 

  24. Y.K. Lee, D.J. Kim, S.J. Kwon, S.K. Jang, J.A. Kang(2011), Introduction Plan for Korean Medical and Facility Complex,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pp.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