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A중학교 학교변화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School Change of A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Free Semester Poli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 2016년, pp.33 - 42  

이인회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학교변화의 사례를 분석하여 2016년의 전면 실시를 앞두고 있는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중학교의 학교변화 사례를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통해 전반적인 학교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교 운영 구조적 측면과 학교 구성원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운영의 초점을-학습 개선 또는 진로체험 중 어디에 둘 것인지를 선택하여 실천 전략을 구체화해야 한다. 셋째, 자유학기제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기대와 신뢰를 향상시키고, 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사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수업시수 조정, 학급당 학생수 감축과 평가부담 해소 및 교사의 교육활동 이외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e of school change according to the free semester policy and provide its suggestions for the entir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 2016. For the study, a middle school case was examined qualitative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학교변화가 단위 학교 수준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가에 초점을 두고, 학교의 내부 변화인 학교 구조적 측면, 학교 구성원의 심리적 측면, 그리고 교수-학습의 실제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A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학교변화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에 분석틀을 구안하여 학교 운영 구조, 학교 구성원 및 교육프로그램의 3가지 측면에서 학교변화를 분석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A중학교의 학교변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변화의 개념과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 분석틀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 학교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A중학교의 학교변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변화의 개념과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 분석틀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 학교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6년의 전면 실시를 앞두고 있는 자유학기제의 운영과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학기제 정책이 도입된 주요 배경은? 자유학기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보다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며 자신의 꿈과 끼를 발견하고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지닌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교육정책이자, 학교변화의 실천 방안으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 정책이 도입된 주요 배경으로는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미래지향적 역량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교육 흐름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1,2].
자유학기제가 도입된 이유는 무엇인가? 자유학기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보다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며 자신의 꿈과 끼를 발견하고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지닌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교육정책이자, 학교변화의 실천 방안으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 정책이 도입된 주요 배경으로는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미래지향적 역량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교육 흐름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1,2].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A중학교의 학교 변화 사례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중요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통해 전반적인 학교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교 운영 구조적 측면과 학교 구성원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운영의 초점을-학습 개선 또는 진로체험 중 어디에 둘 것인지를 선택하여 실천 전략을 구체화해야 한다. 셋째, 자유학기제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기대와 신뢰를 향상시키고, 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사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수업시수 조정, 학급당 학생수 감축과 평가부담 해소 및 교사의 교육활동 이외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 H. Lee, & M. S. Kwon, An inquiry in to revitalization of free semester through case analysis of research school. The Research of Educational Culture, Vol. 21, No. 1, pp. 51-74, 2015. 

  2. S. Cho, & K. An, Educational policy plan balanced with excellence and equality based on humanis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1, pp. 733-745, 2013. 

  3. Ministry of Education, Operation plans for middle school free semester, 2013. 

  4. C. K. Shin, E. H. Hwang, & E. Y. Kim, An analytical study on the operation and actual state of the free-semester program,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6, No. 3, pp. 27-55, 2015. 

  5. S. D. Choi, et al., A study on overall extension plans of free semester, KEDI, 2015. 

  6. C. K. Shin, & M. J. Park, The case study of three schools with free-semester poli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3, No. 1, pp. 309-338, 2015. 

  7. Y. Seo, & C, Joo, A Comparative study on successful school innovation cases in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7, No. 3, pp. 191-215, 2007. 

  8. D. S. Jin et al., Exploring new factors of school change: Case study of J elementary D branch school which has overcome crisis of school clos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31, No. 2, pp. 345-371, 2014. 

  9. K. Lee, & S. Chun, Why are there no changes in elementary A?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 3, pp. 223-247, 2011. 

  10. S. W. Park, A case study on the open autonomous school innov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7, No. 2, pp. 177-201, 2009. 

  11. S. C. Purkey, & M. S. Smith, Effective schools: A review,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 83, No. 4, pp. 426-452, 1983. 

  12. A. Hargreaves, & D. Shirley, The fourth way: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 CA: SAGE Publications Inc., 2009. 

  13. B. Park, School development and change, Hakgisa, 2006. 

  14. J. Park, The impact of a principal leadership style of facilitating change on teacher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Vol. 6, No. 4, pp. 89-111, 2011. 

  15. E. J. Hong, Providing a direction to interactive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T environment: Focusing on colleg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265-276, 2014. 

  16. D. D. Han et. al.,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and caring, Hakgisa, 2012. 

  17. M. Oh, "Minister Hwang came to Jeju and promised increasing the budget of free semester", Headline Jeju, 2014. 12. 8. 

  18. A Middle School, School education and management plans, 2014. 

  19. A Middle School, 2nd year plan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2014. 

  20. M. Fullan, & A. Hargreves,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NY: Teachers College Press, 2006. 

  21. H. Jang, J. Lee, S. Yoon, & Y. Lee, Success factors and supporting strategies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focusing on career explor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4. 

  22. J. Kim, & S. Moon,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ol. 8, No. 1, pp. 12-24, 2015. 

  23. S. Pi,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era,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6, pp. 29-37, 2015. 

  24. H. Heo, H. W. Lee, E. Kang, H. Kim, & K. Y. Lim, Localization of SMART education: Focused on Jeollanamdo,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5, pp. 25-37, 2014. 

  25. E. G. Kim, & S. B. Min, Does the introdu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increase teachers' workload?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2, No, 2, pp. 181-20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