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1, 2016년, pp.1 - 10  

박안나 (광주보훈병원) ,  정경희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김원경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an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능력[13],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1], 비판적 사고성향과 근무만족도 및 간호수행능력, 문제해결과정[14-16]과 자기주도학습의 적용에 관한 연구[17]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간의 관계를 제시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보건의료환경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향후 임상간호사들의 실무능력 향상 및 간호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이 실무를 잘하도록 하는 기초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의료기술의 발전, 질병의 복잡한 변화와 중증 환자의 증가, 의료기관 인증평가 시행과 관련된 대상자와 의료기관의 질적 간호에 대한 요구 증가 등의 의료 환경의 변화는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실무를 잘 하도록 하는 기초적인 요인으로 간호사-의사와의 협력관계, 간호관리자의 리더십, 동료 간호사의 지지,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과 더불어[1], 간호사가 대상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이 필요하다[2]. 
비판적 사고는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는 어떤 견해를 받아들일지 또는 어떤 행위를 할지 결정하기 위해 상황에 대한 논리적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 개념, 증거, 준거, 방법, 맥락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판단을 내리고자하는 성찰적 합리적 사고를 말한다[3]. 비판적 사고는 단순한 이론적 추론이라기보다 실천적, 적극적 사고 행위를 말하며 특정 조건에서 사고, 판단, 행동을 하게 하는 사고 성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4].
간호사에게 필요한 비 구조화된 교육 체계는 무엇인가? 간호사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을 위해서는 간호조직이 주도가 되는 구조화된 교육체계 보다는 간호사 각자가 주도가 되어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해 나가는 비 구조화된 교육 체계가 선호되어야 한다[7]. 즉, 타인의 도움이 있건 없건 간에 개인 스스로 자발성을 가지고 그들의 학습요구를 진단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며 적절한 학습전략을 세우고 평가하는 자기주도 학습이 필요하다[9]. 이러한 자기주도 학습을 위해 지니는 개개인의 태도, 능력, 성격, 특성을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라고 하며[10], 이는 문제해결능력을 많이 요구하는 직업이나 업무의 변화가 많은 직업, 전문기술직에 종사할수록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 높아 실무수행능력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JY, Pak SY.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2):145-153. http://dx.doi.org/10.1111/jkana.2014.20.2.145 

  2. Park SM, Kwon IG.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863-871. 

  3. Ennis R. Critical thinking: A streamlined conception. Teaching Philosophy. 1991;14(1):44-48. 

  4. Sung KS. Th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2010;24(4):155-172. 

  5. Yoon 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4. p. 10-35. 

  6. Zhang ZX, Luk W, Arthur D, Wong T. Nursing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effectiv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3(4):467-476.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1.01688.x 

  7. Williams B. Self direction in a problem based learning program. Nurse Education Today. 2004;24(4):277-285. http://dx.doi.org/10.1016/j.nedt.2004.01.008 

  8. Choi JH, Jeong JH.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tice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16-26. 

  9. Knowles M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NY: Association Press; 1975. 

  10. Wiley K. Effects of a self-directed learning project and preference for structure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Nursing Research. 1983;32(3):181-185. 

  11. Yang NY, Moon S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4):473-480. 

  12. Guglielmino PJ, Guglielmino LM. Moving toward a distributed learning model based on self-managed learning.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2001;66(3):36-43. 

  13. Choi EY, Kim JY. The relationship of core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critical think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4):412-419. 

  14. Sung MH, Eum OB.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1):26-36. 

  15. Park JA, Kim BJ.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840-850.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40 

  16. Choi HR, Cho DS. Influence of nurses' performance with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3):265-274.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65 

  17. Adamson KA. Integrating human patient simulation to nursing curriculum.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09;5(3):e129-e155. http://dx.doi.org/10.1016/j.ecns.2009.04.002 

  18. Lee MJ. A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19. Park JH. A study on the self-initiative of enterprises within the adult learne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1998. 

  20. Park SA, Park KO, Kim SY, Seong YH. A development of standardized nurse performance appraisal too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197-211. 

  21. Kim YS, Kim JM, Park MM.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2):143-153.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2.143 

  22. Lim EJ.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6;18(1):31-40. 

  23. Martin C. The theory of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2;23(5):243-247. 

  24. Lunyk-Child OI, Crooks D, Ellis PJ, Ofosu C, O'Mara L, Rideout E. Self-directed learning: Faculty and student perception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1;40(3):116-123. 

  25. Chang YH, Cho YS, Kwak MJ. A study of factors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7-19. 

  26. Song KJ, Park SH, Cho JS, Kwon MK, Park JS, Nam SN, et al. A study on the nurse performance appraisal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97-108. 

  27. Natale S, Ricci F. Critical thinking in organizations. Team Performance Management. 2006;12(7/8):272-277. http://dx.doi.org/10.1108/135275906107118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