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자아존중감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elf-estee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2, 2017년, pp.161 - 169  

최은주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황지현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장인실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done to determine the relevance and impact factor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elf-estee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May 2015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 Participa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성향의 영향요인으로 간호근무환경과 자아존중감을 확인함으로써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증진과 전문적 실무 구축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조직문화 개선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근무환경, 자아존중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서울시내 A 상급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의 근무환경, 자아존중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을 확인하고, 간호근무환경과 자아존중감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간호근무환경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간호근무환경 중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였으며, 간호근무환경과 자아존중감은 비판적 사고성향의 영향 요인으로서 43%를 설명하였다.
  • 국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을 확인한 연구에서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10]. 본 연구에서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은 간호사의 실무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등의 참여가 자리매김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는 합리적인 근거에 기초한 판단을 통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보의 합리적 분석을 포함하는 인지과정을 뜻하며[1], 단순한 이론적 추론이기 보다 실천적이고 적극적인 사고 행위이며, 특정 조건에서 사고, 판단, 행동을 하게 되는 사고 성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2]. 최근 의료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질병의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요구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이며 간호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간호근무환경 이외에 비판적 사고성향과 관련된 개념으로 자아존중감을 확인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이나 환경에 대한 평가나 지각을 말하며[14], 비판적 사고성향의 정서적 특성 중 하나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아정체성 및 도덕성과 관련이 있으며 간호 전문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15,16].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 중감은 정적인 상관관계이며, 세부항목 중 분석, 체계성, 비판적 사고 자신감, 호기심 영역이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5,17].
한국어 버전 간호근무환경도구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Lake와 Friese [11]가 개발한 간호근무환경(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PES-NWI]) 도구를 Cho 등[21]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 한 한국어 버전 간호근무환경도구(K-PES-NWI)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병원운영에 대한 간호사의 참여 9문항,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9문항, 간호관리자의 능력 ․ 리더십 ․ 간호사의 지지 4문항,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적절성 4문항,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3문항으로 5개 영역 총 2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4점 척도로 ‘매우 그렇다’ 4점, ‘약간 그렇다’ 3점, ‘별로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좋다고 할 수 있다. Cho 등 [21]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faro-LeFevre R.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a practical approach. 5th ed. St. Louis, MO: Saunders/Elsevier; 2013. 

  2. Sung KS.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Educational Idea. 2010;24(3):155-172. 

  3. Zuriguel Perez E, Lluch Canut MT, Falco Pegueroles A, Puig Llobet M, Moreno Arroyo C, Roldan Merino J.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5;21(6):820-830. https://doi.org/10.1111/ijn.12347 

  4. Lunney M. Critical thinking to achieve positive health outcomes: nursing case studies and analyses. 2nd ed.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2013. 

  5. Gang M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4):404-413.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4.404 

  6. Park SM, Kwon IG.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863-871. 

  7. Jung SC, Jung DY.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ncer cent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43-450.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43 

  8. Park JA, Kim BJ.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840-850. https://doi.org/10.4040/jkan.2009.39.6.840 

  9. Shoulders B, Follett C, Eason J. Enhancing critical thinking in clinical practice: Implications for critical and acute care nurse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14;33(4):207-214. https://doi.org/10.1097/dcc.0000000000000053 

  10. Lee JY, Pak SY.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2):145-153.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45 

  11.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1-9. https://doi.org/10.1097/00006199-200601000-00001 

  12. Cornell P, Riordan M, Townsend-Gervis M, Mobley R. Barriers to critical thinking: workflow interruptions and task switching among nurs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41(10):407-414. https://doi.org/10.1097/NNA.0b013e31822edd42 

  13. Raterink G. Critical thinking: reported enhancers and barriers by nurses in long-term care: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11;27(3):136-142. https://doi.org/10.1097/NND.0b013e318217b3f3 

  14.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5. Olthuis G, Leget C, Dekkers W. Why hospice nurses need high self-esteem. Nursing Ethics. 2007;14(1):62-71. https://doi.org/10.1177/0969733007071359 

  16. Profetto-McGrath J, Hesketh KL, Lang S, Estabrooks CA. A study of critical thinking and research utilization among nurs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3;25(3): 322-337. https://doi.org/10.1177/0193945902250421 

  17. Suliman WA, Halabi J. Critical thinking, self-esteem, and state anxiety of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007;27(2):162-168. https://doi.org/10.1016/j.nedt.2006.04.008 

  18. Chan ZC. A systematic review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013;33(3):236-240. https://doi.org/10.1016/j.nedt.2013.01.007 

  19. Kang YS, Choi YJ, Park DL,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2): 143-151.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43 

  20.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3):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21.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25 

  22.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107-130. 

  23.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Aronson S, Donohue M. Assessing individual frontline nurse critical thinking.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41(4):168-171. https://doi.org/10.1097/NNA.0b013e3182118528 

  24.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14-423.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414 

  25. Lee MH, Kim JK.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70-479.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470 

  26. Ma C, Park SH. Hospital magnet status, unit work environment, and pressure ulcer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5;47(6):565-573. https://doi.org/10.1111/jnu.12173 

  27. Song HJ, Lee SM.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220-229.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20 

  28. Choi HR, Cho DS. Influence of nurses' performance with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3):265-274. https://doi.org/10.4069/kjwhn.2011.17.3.265 

  29.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London: Addison-Wesley; 1984. 

  30. Boschma G, Einboden R, Groening M, Jackson C, MacPhee M, Marshall H, et al. Strengthen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0;7(1). https://doi.org/10.2202/1548-923X.20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