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긍정사고,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Nursing Students' Positive Thinking, Ego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4, 2016년, pp.495 - 503  

김수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보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improving positive thinking, ego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of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78 student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사와 행복 키우기 단계’인 5-6회기는 감사와 행복을 돌아 볼 수 있는 단계로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하여 자신의 삶에서 긍정적인 경험들을 더욱 의미부여 하며, 자기의 가치와 자존감을 강화하기 위해 감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감사 편지쓰기와 용서를 통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부정적인 체험을 긍정적으로 재해석 하는 적응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 단계인 7-8회기는 긍정적 정서를 배양할 수 있도록 회피하거나 수정하려는 전략을 대학생이 공감할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여 대응하는 전략을 익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긍정사고, 자아 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긍정사고 및 자아탄력성을 증진하여 임상현장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한국의 정서나 사고방식과 차이가 있는 외국의 프로그램을 번안한 기존의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단점을 배제하고 좀 더 대상자들과 상호작용하고 실제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긍정사고, 자아 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ㆍ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긍정사고, 자아 탄력성,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에서 대학생들은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활동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4-5회를 넘어가는 단계에서 자신의 긍정적인 표현이 시작되었고, 점차 작업에 대한 집중시간이 늘어나고 몰입하는 자세와 상대방의 긍정적인 모습에 칭찬과 격려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이러한 모습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행동특성이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긍정사고 및 자아탄력성을 증진하여 임상현장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한국의 정서나 사고방식과 차이가 있는 외국의 프로그램을 번안한 기존의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단점을 배제하고 좀 더 대상자들과 상호작용하고 실제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정 보완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정신건강전문가와 보조 인력이 투입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 대상으로 우리나라 문화와 정서에 맞는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전략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프로그램과 선행 프로그램의 차별성은 자기 인식, 사고 변화, 감사와 행복 키우기, 스트레스 대처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선행 프로그램처럼 인지행동 등의 다소 어려운 기법들을 사용하는 대신, 개인의 강점과 긍정적인 정서에 초점을 두고 주변 사람에 대한 감사와 긍정 상태가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연구 대상자가 간호 대학생이므로 긍정 기관 즉, 학교와 임상실습 기관에서 관계 맺는 인간관계에서 가치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서 감사하기, 감사 실천하기를 증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보다 긍정사고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 2가설 :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 탄력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 3가설 :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심리란 무엇인가? 긍정심리는 인간의 긍정적 특성을 강화하고 강점들을 개발하여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자기실현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Seligman, Rashid, & Parks, 2006).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는 서로 독립적이나, 부정 정서를 제거하면 중립적인 정서가 남을 뿐 긍정 정서가 자동적으로 유발되지는 않는다(Kwon, 2008).
어려움이 처했을때 새로운 방향과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도록 전화이 필요하고 이게 긍정적 사고를 통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긍정심리는 인간의 긍정적 특성을 강화하고 강점들을 개발하여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자기실현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Seligman, Rashid, & Parks, 2006).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는 서로 독립적이나, 부정 정서를 제거하면 중립적인 정서가 남을 뿐 긍정 정서가 자동적으로 유발되지는 않는다(Kwon, 2008). 그러므로 어려움이 처했을 때 오히려 상황의 새로운 방향과 긍정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도록 전환이 필요하며 이것은 바로 긍정적 사고를 통해 가능하다(Lee, 1998).
간호 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간호 대학생의 경우 간호학 전공에 대한 전문적 지식 습득 이외에도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해야 하고, 타과 학생들에 비해 국가고시와 임상실습에서 오는 과중한 스트레스까지 압박하고 있다(Yoo, Chang, Choi, & Park, 2008). 이러한 현실은 간호 대학생들에게 좌절과 결핍, 고통 등을 겪게 하여 정신건강을 위협 하지만 모든 학생들이 이러한 상황을 동일하게 인식하거나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ne, E. (2007). Working collaboratively to build resilience: A CHAT Approach. Social Policy and Society, 6(2), 255-264. 

  2.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8-361. 

  3. Cheong, J. H., & Son, J. N. (2014).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optimis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1), 99-117. 

  4. Doh, B. N., Kim, Y. S., Kim, T. K., Kim, H. S., Kim, H. S., Park, H. S., et al. (2015)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Seoul: Jeongdam media. 

  5. Heo, J. S., & Chun, S. Y. (2013).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on self resil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20(1), 187-213. 

  6. Hong, H. J., & Kim, S. J. (2014).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depression, hope and optimism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2), 1045-1059. 

  7. Jung, Y, S., & Ha, H. J. (2016). The relationships of cognitive appraisal and emotion regulation, sport ego resilience among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5(1), 465-475. 

  8. Kim, B. Y. (2015). Predictors of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adolescent using decision making tree analysi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5), 375-385. 

  9. Kim, C. H. (1995). Relationship of the daily hassle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ategies with emotional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7(1), 44-69. 

  10. Kim, H. J.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affects, subjective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11. Kim, J. Y., & Ko, Y. G. (2009).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focusing on mental fitness and positive psychotherapy.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5(1), 155-168. 

  12. Kim, K. S., & Koh, Y. M. (2011). The effects of happiness enhancement counseling program based positive psychology on children's happiness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2(3), 129-152. 

  13. Kwon, S. M. (2008).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14. Lee, H. J., & Kim, J. N. (2014).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automatic thought, affect and stress coping styl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5), 85-104. 

  15.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11-131. 

  16. Min, D. I. (2007).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school life health and ego-resilience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17. Naseem, Z., & Khalid, R. (2010). Positive thinking in coping with stress and health outcomes: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Research and Reflections in Education, 4(1), 42-61. 

  18. Park, J. A., & Lee, E. K. (2011).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3), 267-276. 

  19. Por J., Barriball L, Fitzpatrick, J., & Roberts, J.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8), 855-60. 

  20.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New York: Simon& Schuster. 

  21.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44-788. 

  22.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ew York: Free Press. 

  23. Sheldon, K. M., & King, L. (2001).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American Psychologist, 56(3), 216-217. 

  24. Sim, H. S., & Hwang, K. J. (2013).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e thinking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3(2), 1-19. 

  25. Son, Y. J., Choi, E. Y., & Song, A. Y.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4), 345-351. 

  26.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27. Yi, M. Y., Park, J. K., & Park, J. R. (2012). Group mental fitness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the disabled vocational traine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8. Yoo, J. S., Chang S. J., Choi E. K., & Park J. W. (2008).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10-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