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가족지지가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The Effect of Ego-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s, Teaching, Effectiveness, and Family Suppor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by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7 no.3, 2011년, pp.365 - 375  

박완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한지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to develo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relationship among ego-resilience, and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education, stress coping styl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그 동기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Keller(1979)의 학습동기 ARCS 이론에서 검증된 개념적 범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학습 상황에서 임상실습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변수와 선행연구에서의 상관관계 계수가 가장 높게 확인된 변수를 선택하였다. 그 변수들의 통합관계를 설정한 후 확인적 예측모형 구축 및 점정을 통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이를 통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제적 중재개발 전략이나 임상실습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의 표본크기는 399명으로 큰데 이럴 경우 χ2검정은 모형이 적합하다는 영가설을 기각하는 제1종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LI, CFI, RMSEA, GFI, AGFI로 값을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절대부합지수인 근사원소평균제곱잔차(RMSEA)가 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횡단적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증하는 모형구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및 가족지지는 임상실습만족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웠다(Fig.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실습교육은 무엇인가? 임상실습교육은 간호대학생들이 여러 실제적인 지식과 경험을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가치관과 태도, 간호에 대한 이미지 형성 및 전문간호사로서의 역할을 학습하는 교육이다(이정애, 2004). 또한 보건의료시스템의 일원으로서 활동하고 간호전문직의 장래성을 인식하며,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형태로 사회화하면서 대인관계기술과 임상기술을 발전시키고, 문제해결 기술을 적용하면서, 실습에 이론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Edwards, Smith, Courtney, Finlayson, & Chapman, 2004).
자아탄력성이란? 자아탄력성은 개인의 내․외부 문제 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통찰력과 상황 재구성 능력, 그리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적응 능력으로 나타나는 개인의 특성이다(Klohnen, 1996). Klohnen (1996)의 C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에서 CAQ (California Adult Q-set)의 자아탄력성 문항과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가족지지와 임상실습 만족도 정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가족지지와 임상실습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한다. • 가설적 경로모형과 실제 자료간의 적합도 검증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제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익화, 김혜순 (1994). 간호학생이 지각한 수간호사의 리더십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 6(2), 144-155. 

  2. 구혜자 (2008). 간호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205-215. 

  3. 김순례, 이종은 (2005).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98-106. 

  4. 김은하, 오윤희 (2000).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186-198. 

  5. 박경은, 이성은 (2002). 간호학생의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에 대한 상관성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2), 83-96. 

  6. 박민아 (2009).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구. 

  7. 박재석, 류설영, 장은진, 김정범 (2002). 의과대학생의 불안 및 자아강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회지, 8(1), 150-157. 

  8. 박주영 (1995). A?B 성격유형?자아정체감?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9.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10.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200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4), 621-631. 

  11. 박현주, 장인순 (2010).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 방법과 임상실습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14-23. 

  12. 박현진 (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13. 서미, 최보영, 조한익 (2006).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7(2), 271-288. 

  14. 오명희, 장윤옥 (2007).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19(4), 57-74. 

  15. 유필숙, 김은실, 김혜경, 이성희, 형희경, 엄애용, 김희선 (2008). 임상실습에 대한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교수효율성 인지정도. 간호행정학회지, 14(3), 311-320. 

  16. 양진주 (2000).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 가치관과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276-286. 

  17. 윤혜정 (199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관계망 지지 지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18. 이숙자 (1980).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0(2), 41-52. 

  19. 이점덕 (2006). 프리셉터 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20.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21. 장종화, 김경희 (2000).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4(1), 175-193. 

  22. 장휘숙 (2001).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113-127. 

  23. 최공옥, 조현숙, 김정엽 (2001), 간호학생 임상실습교육에서 실습지도자 활용(preceptorship)의 교수효율성. 가천길대학논문집, 29, 51-58. 

  24. 하나선, 한금선, 최정 (1998).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 유형, 스트레스 반응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8(2) 358-368. 

  25. 한수정 (2000).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힘 복돋우기 (empowerment)와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1), 132-146. 

  26.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27. Edwards, H., Smith, S., Courtney, M., Finlayson, K., & Chapman, H. (2004). The impact of clinical placement location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e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Nurse Education Today, 24(4), 248-255. 

  28. Folkman, S., & Lazarus, R.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29. Keller, J. M. (1979).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 theoretical perspectives.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2(4), 26-34. 

  30.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31. Luthar, S. S., & Cicchetti, D.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and social polici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4), 857-885. 

  32.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 130-149. 

  33. Reeve, M. M. (199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f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1), 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