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에 의한 유전자변형식품 홍보와 교육 효과
Effect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motion and Education by Blog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6, 2016년, pp.791 - 799  

김주현 (동서울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enetically modified (GM) food promotion and education through the blog. Methods: Education program for consumer-oriented GM foods by the blog was developed and survey was performed by the visitors for totals of twelve weeks. Th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대부분의 GMO 관련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일반적인 정보의 전달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온라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율적 온라인 정보 활용 여부는 거의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MO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블로그를 개발하여 카테고리 별 GMO와 GMO에 대한 이해와 정보, 안전성, 교육자료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직접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홍보 이벤트 행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교육 홍보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전자변형식품의 긍정적 측면은? 지금까지 GMO는 주로 제초제 내성이나 병충해 저항성과 같이 영농편이 및 생산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Oh KN 등 2005). 유전자변형식품은 적은 노동력과 생산비용으로 많은 수확량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농민에게 모두 경제적 이득을 주고, 식량난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그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Kim HY 등 2010).
GMO 표시제도가 생겨난 이유는?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은 농산물을 원료로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말하며 GMO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Kim HY & Kim MJ 2011). 유전자변형농작물이 1996년 처음으로 상업적 재배를 시작한 후 그 재배면적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1998년 유럽연합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최소한의 알 권리 및 선택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GMO 표시제도’를 실시 한 바 있다(Regulation C 1998).
유전자변형식품이란?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은 농산물을 원료로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말하며 GMO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Kim HY & Kim MJ 2011). 유전자변형농작물이 1996년 처음으로 상업적 재배를 시작한 후 그 재배면적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1998년 유럽연합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최소한의 알 권리 및 선택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GMO 표시제도’를 실시 한 바 있다(Regulation C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GE, Lee JH. 2015. Consumers'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Daejeon. Korean J Hum Ecol 24(3):387-406. 

  2. Her ES, Lee KH. 2003.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using internet for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6(5):500-507. 

  3. Hong JL, Kim MK, Jang NK. 2001. The effects of the STS classes for the domain of bioengineering on the ambivalence of attitudes and achievement of the students. Korean J Biol Educ 29(2):128-137. 

  4. Johnson TJ, Kaye BK. 2004. Wag the blog: How reliance on traditional media and the Internet influence credibility perception of weblogs among blog users. Journal Mass Commun Q 81(3):622-642. 

  5. Kang KH, Kim YN.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on consumer choic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Focused on the 'dietary life'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2(2):101-113. 

  6. Kang KM, Kim HB. 2005.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J Biol Educ Korea 33(1): 112-121. 

  7. Kim HY, Kim MJ, Kim JH, Lee MJ, Park SS. 2010. Education and promotion of GM food [repor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p 1-206. 

  8. Kim HY, Lee MR, Kim HK, An JH, Kim MG, Hong SK, Kim MJ. 2011. Consumer awarenes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Korean J Food Cult 26(4):331-343. 

  9. Kim JK, Kim HK, Park SY. 2009. A study on blog users' response to blog marketing. Inf Syst Rev 11(3):1-17. 

  10. Kim KJ. 2010. Consumers' knowledge,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GM foods. J Consum Policy Stud 38:21-42. 

  11. Kim HY, Kim MJ. 2011.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s -According to area, occupation, and education. Korean J Food Cult 26(6):657-672. 

  12. Lee BK, Kwon SJ, Kim KJ, Lee HK, Lee KP. 2009. Content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and promotion for public awareness about GMO. presented at Joint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Gwangju, Korea. pp 2-30. 

  13. Lee HJ, Lee JK, Min YS, Choi JY, Shim KC. 2010.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bou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Korean J Biol Educ 38(1):52-62. 

  14. Oh KN, Lee SH, Lee WY, Park HK, Park SH. 2005.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food sanitation officers towar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J Food Hyg Saf 20(1):22-35. 

  15. Regulation C. 1998. of 26 May 1998 concerning the compulsory indication of the labelling of certain foodstuff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f particular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Directive 79/112/EEC. Off J Eur Communities 159: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