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원무행정근무자의 폭력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on the Job Stress among Hospital Employees Working at Administration and Discharging Department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4, 2016년, pp.325 - 332  

최윤영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Workplace violence was recognized to be social problems that might impact the health statu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 in hospit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violence and job stress among hospital employees working at administration and discharging depart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원무행정근무자를 대상으로 근무 중 폭력경험의 실태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원무행정근무자의 폭력경험은 언어적 폭력이 90.
  • 이처럼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폭력이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대부분 간호사, 의료기사 등에서 이루어졌다[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무행정근무자들의 일반적, 직무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 및 빈도, 직무스트레스와 이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노동자가 불쾌한 언행을 경험할 시 부작용은 무엇인가? 고객과의 접점에 있는 원무행정 근무자가 겪는 폭력은 주로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행해지는 것으로,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폭력경험은 대부분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업무수행의 어려움이나 자신감 저하, 자존감을 상실시키고[7] 직무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며, 더 나아가 이직의도에까지 영향을 끼쳐 병원 경영에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의료기관 조직의 유효성을 향상시키고 행정관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8].
병원조직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서비스를 생산하는 병원조직을 크게 구분하면 환자에 대한 치료·검진 등 진료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의료진과 조직 생산성 및 경제적 가치, 병원 운영관리를 담당하는 행정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이 중 원무행정 부서는 전체 직원의 약 7%의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으며[2], 환자 및 보호자들과 가장 먼저 접하는 부서이자 마지막에도 접하는 부서로서[3] 진료접수와 병원비 수납, 제증명 발급, 입원 및 퇴원수속을 담당한다[4].
직무스트레스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를 수행하면서 둘러싼 환경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우울을 포함하여 정신적,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의욕상실, 고객에 대한 무관심, 불친절 등을 야기시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수 없을 뿐 아니라 개인, 가정 및 병원 모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게 된다[9].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여자인 경우, 기혼인 경우, 병원형태가 병원급이고, 경력이 11-15년인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46-50시간인 경우, 근무평가가 임금이나 승진에 반영 되지 않는 경우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높았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EY.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affective commitment of general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dissertation]. Seoul: Myongji University; 2015. 

  2. Hwang KI, Lee IH, Rhee HS. The influence on metropolitan university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ob satisfaction. J Korea Cont Assoc 2014;14(10):639-648.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639. 

  3. Nam JY, Sohn M, Kang DR, Yu SH. The influence of job burnou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employees working at the admission and discharging department. J Health Inform Stat 2014;39(1):60-80. 

  4. Kim HJ, Lee BW, Hwang JH, Lee MS, Na BJ, Lee JY.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mong workers in on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2;22(1):129-14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2.22.1.129. 

  5.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2016 Health care workers survey. Seoul: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2016. 

  6. Bae YH, Lee TH. Relationship of hospital nurses' violence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J Korean Nurs Adm Acad Soc 2015;21(5): 489-500.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489. 

  7. Park KS. The relationship of violence experience,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issertation].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5. 

  8. Yeo MH.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the administrative staff in general hospital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2. 

  9. Lee WH, Kim CJ.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2006;36(6):925-932. 

  10. Dong JI, Ryu HG, Bae SK. An analysis of work stress of physical therapist and reaction.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08;2(1):37-58. 

  11. Yeo JD, Kim HS. Relations between radiologists job stress and intent of separation.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1;5(2):35-51.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1.5.2.035. 

  12. Yun YK.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 assertiveness and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0. 

  13. Yu MO. Influence of verbal abuse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dissertation]. Chungju: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14. Lee D, Kim JH, Han WS, Woo JM, Kang DW, Ko YG,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I)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K-OSI)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5):1026-1037. 

  15. Sung MH, Kim HW, Kim JW.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preceptees.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7;7(2):131-138. 

  16. Kim SM.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general nurse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17. Nam MH, Lee SH. Effect of job stress and coping strategy on job satisfaction in a hospital work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1):1-11. 

  18. Park YW, Skin HK, Lee HS, Lee HY, Kim EH, Park JS. A study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working pattern for nurses in shift work. J Korean Clin Nurs Res 2013;19(3):333-344. 

  19. Kim HS. Occupational stress of medical administrative employees in regional hospitals. Korean J Stress Res 2013;21(3):229-238. 

  20. Im Y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olence experience the violence reaction and the job stress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issertation]. G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4. 

  21. Jeong CW, Kim JW. A study on relations of police officers' stress caused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roblem drinking. Korean Assoc Police Sci Rev 2013;12(1):247-272. 

  22. Kim HJ, Choi ES. The experience of viol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v 2013;17(2):65-76. DOI: https://doi.org/10.14408/kjems.2013.17.2.065. 

  23. Yoon KA, Jin KN. Client violence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homes. J Korean Gerontol Soc 2007;27(2):285-298. 

  24. Son YJ, Gong HH, You MA, Kong SS.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 nurses. J Korean Data Anal Soc 2015;17(1):515-530. 

  25. Hong KP, Oh KC, Lee CB. A study of elderly private security guards about their victimiz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their perception of occupational stress. Korean Secur Sci Rev 2013;36:471-492. 

  26. Kim SH, Bae SY.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 Digit Converg 2014;12(10):433-443. DOI: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433. 

  27. Lee EJ, Shin SW.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4;15(4): 2256-226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4.22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