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행정직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0, 2014년, pp.433 - 443  

김승희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배상윤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의 30개 병원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직자 189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 1일부터 두달 동안에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A형 행동유형 점수가 높을수록, 우연신념이 높을수록, 외적통제신념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투입된 변수들의 설명력은 55.8%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A형 행동유형 및 통제신념을 관리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울 낮추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among some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It surveyed 189 staff working in Jeonbuk area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st to July 31th, 2014. The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aires were delivered and they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의 개념으로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나 신뢰도가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보았다[6]. 본 연구는 개인의 인성을 나타내는 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아존중감과 병원 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장생활 특성, 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아존중감, 피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 우울증은 유병률이 15-20%에 이르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심리적, 사회적 및 정신적으로 심각한 곤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7], 우울과 스트레스는 관련된 것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접근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7].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이 병원 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관련성을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장생활 특성, 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아존중감, 피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보는 것이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피로 및 정신건강 특성에 대한 종합적 접근으로 병원 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장생활 특성, 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아존중감, 피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보는 것이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피로 및 정신건강 특성에 대한 종합적 접근으로 병원 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병원 행정직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위험요인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2]으로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등, 건강관련행위 특성[3]으로 음주 여부, 커피 음용 여부, 규칙적 식사, 규칙적 운동, 수면시간, 건강상태 등, 직장생활 특성[3]으로 직장근무기간, 연소득, 직위, 고용형태, 근무형태, 근무시간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병원 행정직 근무자는 어떤 직무 수행을 하는가? 병원 행정직 근무자는 병원에서 총무, 인사, 노무, 기획, 예산, 경리, 회계, 구매, 자산관리, 원무, 보험, 교육과 진료지원 사무 등 병원의 운영에 관한 행정 직무를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병원 행정직 근무자는 직무수행 과정에서 돌발적인 변화나 사건의 경험, 만성적인 긴장, 인간관계의 갈등, 업무과중, 업무의 자율성 결여, 역할 모호성, 보상 부적절, 비합리적 및 권위적 직장문화 등에서 유발되는 직무스트레스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1].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조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의 30개 병원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직자 189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 1일부터 두달 동안에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A형 행동유형 점수가 높을수록, 우연신념이 높을수록, 외적통제신념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투입된 변수들의 설명력은 55.8%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A형 행동유형 및 통제신념을 관리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울 낮추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J. Chang, S. B. Koh, D. M. Kang, M. K. Kang,, C. G. Lee, J. J. Jung, J. J. Cho, M. Son, C. H. Chae, J. W. Kim,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17, No. 4, pp. 297-317. 2005. 

  2. J. H. Lee, W. H. Cho, S. J. Chang, Y. H. Kim, The Effects of work and psychosoci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female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7, No. 1, pp. 1-22, 2012. 

  3. S. J. Chang, S. B. Koh, M. G. Kang, S. J. Hyun, B. S. Cha, J. K. Park, J. H. Park, S. A. Kim, D. M. Kang, S. S. Chang, K. J. Lee, E. H. Ha, M. N. Ha, J. M. Woo, J. J. Cho, H. S. Kim, J. S. Park, Correlates of self-rated fatigue in Korean employees. Korean J Prev Med, Vol. 38, No. 1, pp. 71-81, 2005. 

  4. M. Friedman, RH. Rosenman, Association of specific overt behavior pattern with blood and cardiovascular findings. JAMA, Vol 169, No. 12, pp. 1286-1296, 1959. 

  5. J. Rotter, Social learning and clinic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entice-Hall, Inc. 1954. 

  6. S. J. Chang, S. B. Koh, M. G. Kang, B. S. Cha, J. K. Park, S. J. Hyun, J. H. Park, S. A. Kim, D. M. Kang, S. S. Chang, K. J. Lee, E. H. Ha, M. Ha, J. M. Woo, J. J. Cho, H. S. Kim, J. S. Park,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Korean J Prev Med, Vol. 38, No. 1, pp. 25-37, 2005. 

  7. N. Y. Kim, J. M. Woo,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J. Str. Res, Vo. 14, pp. 85-89, 2006. 

  8. S. G. Haynes, S. Levine, N. Scotch, M. Feinleib, W. Kannel,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to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framingham study. Am J Epidemiol, Vol. 107, No. 5, pp. 362-383, 1978. 

  9. S. J. Chang,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distress, and the development work site stress reduc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2001. 

  10. H. Levenson, Multidimensional locus of control in psychiatric patients. J Cons Clin Psychol, Vol. 41, No. 3, pp. 397-404, 1973. 

  11.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pp. 46-68, 1965. 

  12. BJ. Jo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Journal, Vol. 11, 107-129. 1974. 

  13. J. E. Schwartz, L. Jandorf, L. B. Krupp,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 Psychosom Res, Vol. 37, No. 7, pp. 753-762, 1993. 

  14. D. Goldberg,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Nfer-Nelson, 1978. 

  15. S. J. Chang,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p. 92-143, 2000. 

  16. MM. Weissman, BZ. Locke,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Vol. 102, pp. 430-431, 1975. 

  17.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 32, No. 3, pp. 381-399, 1993. 

  18. S. J. Chang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OSHRI). pp. 17-41, 2004. 

  19. K. H. Cho, D. B. Lee, Y. C. Cho, Psychosoci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9, No. 1, pp. 26-37, 2007. 

  20. D. H. Kim, N. S. Ki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stress of workers in general hospitals and special.special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 3704-3714, 2013. 

  21. S. J. Chang, et 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second yearly report,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2004. 

  22. H. Y. So,, H. S, Yoon,, Y. C. Cho, Effects of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for fatigue symptoms of nurses in an university hospital,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0, No. 4, pp. 513-525, 2008. 

  23. J. J. Chung, The effect of hospital environment on employees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Vol. 28, No. 3, pp.72-76, 2002. 

  24. H. S.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0, pp. 5069-507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